전북 다이노스/1996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


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종합 순위경기 수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5 / 932107154149-837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전북 다이노스 1996 시즌
구단주신준호
감독차경복
시즌 결과
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5위(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위)
(32전 10승 7무 15패 41득점 49실점 37승점)
파일:아디다스컵.png7위(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3위)
(8전 2승 3무 3패 8득점 8실점 9승점)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
FA컵
8강(-)
(2전 0승 2무 0패 4득점 4실점 2승점)
합산 성적42전 12승 12무 18패 53득점 61실점
최다 득점자비탈리 (11골)
최다 도움자-

1. 프롤로그
2. 1996 시즌 선수단
3. 이적 시장
3.1. 영입
3.2. 방출 및 은퇴
5.1. 1R, 03월 30일 (토) vs. 대우 (원정, 1:1 무)
5.2. 2R, 04월 03일 (수) vs. 포항 (홈, 0:0 무)
5.3. 3R, 04월 07일 (일) vs. LG (원정, 4:0 승)
5.4. 4R, 04월 10일 (수) vs. 일화 (홈, 0:0 무)
5.5. 5R, 04월 14일 (일) vs. 유공 (원정, 0:2 패)
5.6. 6R, 04월 18일 (목) vs. 전남 (홈, 1:3 패)
5.7. 7R, 04월 25일 (목) vs. 수원 (원정, 0:1 패)
5.8. 8R, 04월 28일 (일) vs. 현대 (홈, 2:1 승)
7.1. 16강, 11월 30일 (토) vs. 상무 (홈, 1:1 무/PSO 4:1)
7.2. 8강, 12월 02일 (월) vs. 부천 (중립, 3:3 무/PSO 3:2)
8. 시즌 평가
8.1. 주요 기록
8.2. 수상 내역
8.3. 시즌 총평



1. 프롤로그[편집]


창단 2년 째 지난 시즌 후기리그 4위에 오르며 한국 프로축구의 새바람을 일으키며 전북은 올 해 기대를 가졌다.


2. 1996 시즌 선수단[편집]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전북 다이노스 1996시즌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번호이름포지션국적생년월일신체조건
1알렉세이GK파일:러시아 국기.svg1960년 03월 20일189cm
2고성민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09월 07일-
3정종선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6년 03월 20일-
4최진규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9년 05월 11일-
5이경춘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9년 04월 14일183cm
6최진철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03월 26일-
7오동천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6년 01월 20일171cm
8김범수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06월 26일178cm
9김도훈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07월 21일183cm
10잔코FW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1965년 10월 14일-
11비탈리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1969년 05월 04일187cm
12김용갑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9년 10월 29일-
13김경량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12월 22일-
14황득하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5년 06월 08일-
15장철민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05월 19일-
16김대식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03월 02일175cm
17김봉현[1]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4년 07월 07일180cm
18김경래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4년 03월 18일173cm
19정경구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10월 01일-
20강원길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8년 03월 17일176cm
21성원종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09월 27일175cm
22정철호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8년 12월 01일-
23이정인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02월 10일-
24김태인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05월 21일177cm
25강성민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4년 04월 24일182cm
26강금철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03월 19일175cm
27조승연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03월 13일-
28박종필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0월 17일170cm
29유성우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05월 23일178cm
31발랑가DF파일:카메룬 국기.svg1972년 02월 13일-
32이태훈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06월 07일-
[1] 김인수로 개명, 울산 현대 코치(2017~)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3. 이적 시장[편집]



3.1. 영입[편집]


[영입] 김용갑
일화 천마에서 영입했다.

[영입] 발랑가
카메룬 국적의 수비수 발랑가를 영입했다.

[드래프트] 최진철, 이정인, 김득, 황득하, 조승연, 김경량


3.2. 방출 및 은퇴[편집]


[은퇴] 김성호, 문영래, 박승국, 백송, 유승관


4. 유니폼[편집]


1996 시즌 유니폼
파일:external/footballk.net/%EC%9D%B4%EA%B2%BD%EC%B6%98.jpg파일:훼르자 로고.jpg
원정 유니폼유니폼 메이커

• 디자인은 작년과 동일하지만 브랜드는 훼르자 유니폼으로 변경 되었다. 스폰서 마킹은 아반떼 혹은 티뷰론을 달았다.
• 자세한 정보는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참고.


5. 1996 아디다스컵[편집]


1996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 96 아디다스컵)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창단으로 팀이 9팀으로 증가하였다.


5.1. 1R, 03월 30일 (토) vs. 대우 (원정, 1:1 무)[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1R
03.30(토) 15:00
||
부산 사직 운동장
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1 : 1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대우 로얄즈전북 다이노스
46' 마니치파일:득점 아이콘.svg4' 비탈리
(도움 : 김경래)

  • 경기 요약
부산 사직 운동장에서 벌어진 아디다스컵 첫 경기 비탈리가 전반 4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시작과 함께 대우의 외국인 용병 마니치에게 실점을 했다. 외인용병에게 한골 씩 주고 받으면서 무승부


5.2. 2R, 04월 03일 (수) vs. 포항 (홈, 0:0 무)[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2R
04.03(수) 16:00
||
전주종합경기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0 : 0파일:포항제철 아톰즈 엠블럼 (1985~1995).png
전북 다이노스포항 아톰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전주종합경기장에서 포항 아톰즈를 상대로 치열한 공방전 끝에 양 팀 무득점으로 비겼다.


5.3. 3R, 04월 07일 (일) vs. LG (원정, 4:0 승)[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3R
04.07(일) 15:00
||
구덕운동장
파일:jPpQb2j.png0 : 4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LG치타스전북 다이노스
파일:득점 아이콘.svg7' 김도훈
(도움 : 비탈리)
38' 김도훈(PK)
40' 비탈리
61' 김도훈(PK)

23,000여명의 관중이 운집한 안양종합운동장에서 김도훈비탈리의 투톱 전술로 LG 치타스의 골문을 노렸다. 경기시작 7분만에 이경춘이 미드필드 중간 지점에서 수비수 3명의 키를 넘기며 절묘하게 밀어준 볼을 비탈리가 달려나온 LG 골키퍼 볼로디미르 사브첸코[1]를 제치고 반대방향으로 패스, 이를 김도훈이 오른발로 가볍게 밀어넣었다. 그 후 김도훈의 페널티킥골과 비탈리의 골로 전반을 3:0으로 마무리하고, 후반 61분 김도훈이 또다시 pk득점으로 4:0완승을 했다
김도훈의 해트트릭으로 아디다스컵 3R 승점 5점으로 대우와 동률이지만 득실차에 앞서 현재 단독선두 1위.


5.4. 4R, 04월 10일 (수) vs. 일화 (홈, 0:0 무)[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4R
04.10(수) 15:00
||
전주종합경기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0 : 0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전북 다이노스일화 천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치열한 공방전 끝 득점하지 못하면서 0:0으로 비겼다.


5.5. 5R, 04월 14일 (일) vs. 유공 (원정, 0:2 패)[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5R
04.14(일) 15:00
||
목동경기장
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2 : 0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유공 코끼리전북 다이노스
35' 권태규
(도움 : 세르게이)
85' 세르게이
(도움 : 윤정춘)
파일:득점 아이콘.svg

올시즌 첫패


5.6. 6R, 04월 18일 (목) vs. 전남 (홈, 1:3 패)[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6R
04.18(목) 15:00
||
익산공설경기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1 : 3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1995~2001).png
전북 다이노스전남 드래곤즈
78' 김도훈파일:득점 아이콘.svg
7' 안드레이
(도움 : 구즈노프)
80' 김도근
84' 이평재

경기시작 7분만에 전남 드래곤즈의 용병 안드레이와 구즈노프의 절묘한 콤비플레이를 통한 선제골과 김도근과 이평재의 추가득점으로 전북의 간판스타 김도훈이 한골을 만회하였지만 패배했다.


5.7. 7R, 04월 25일 (목) vs. 수원 (원정, 0:1 패)[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7R
04.25(목) 19:00
||
수원종합운동장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1 : 0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
수원 삼성전북 다이노스
70' 이기근
(도움 : 고종수)
파일:득점 아이콘.svg

신생팀 삼성의 고종수의 패스를 받은 노장 골잡이 이기근의 결승골로 1대 0 패배했다. 3연패.


5.8. 8R, 04월 28일 (일) vs. 현대 (홈, 2:1 승)[편집]


파일:아디다스컵.png1996 아디다스컵 8R
04.28(일) 15:00
||
전주종합경기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2 : 1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
전북 다이노스현대 호랑이
60' 최진철
(도움 : 김대식)
66'장철민
파일:득점 아이콘.svg50' 안홍민

이번시즌 드래프트로 영입한 최진철의 동점골과 정철민의 역전골로 역전승, 대회 초반의 흐름을 이어가지 못하고 2승 3무 3패로 아디다스컵을 7위로 마무리했다.


6. 1996 라피도컵 한국프로축구대회[편집]


• 1995시즌과 마찬가지로 전기,후기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 1996 한국프로축구대회 / 전북 다이노스 최종 순위
종합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5 / 9 32107153853-1537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북 다이노스/1996년/한국프로축구대회 문서
전북 다이노스/1996년/한국프로축구대회번 문단을
전북 다이노스/1996년/한국프로축구대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1996 FA컵[편집]



7.1. 16강, 11월 30일 (토) vs. 상무 (홈, 1:1 무/PSO 4:1)[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1996 FA컵 16강
11.30(토) 14:00
||
익산공설운동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1 : 1
4 : 1
파일:상무축구단.jpg
전북 다이노스상무 축구단
62' 김봉현파일:득점 아이콘.svg47' 최문식


7.2. 8강, 12월 02일 (월) vs. 부천 (중립, 3:3 무/PSO 3:2)[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1996 FA컵 8강
12.02(월) 12:30
||
진주공설운동장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3 : 3
2 : 3
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
전북 다이노스유공 코끼리
11' 잔코
37' 잔코
38' 비탈리
파일:득점 아이콘.svg1' 윤정환
35' 유상수
73' 윤정환


8. 시즌 평가[편집]



8.1. 주요 기록[편집]


전북 다이노스 1996시즌 주요기록
최다 득점자비탈리 (11골)
최다 도움자
최다 공격 포인트
한 경기 최다 득점5골
한 경기 최다 실점3골
최다 점수차 승리4점
최다 점수차 패배3점
경기 당 평균 득점1.26골
경기 당 평균 실점1.45골
최다 관중23,874명 (vs. 전남)
최소 관중453명 (vs. 부천)
평균 관중5,801명


8.2. 수상 내역[편집]


• 1996 프로 축구 페어플레이상


8.3. 시즌 총평[편집]


주전 선수들의 잦은 부상으로 인해 힘든 한 해를 보냈다. 전초전 성격을 띤 아디다스컵 7위. 전북이 정규리그 성적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대회였다.

당초 전북은 최약체로 분류됐었다. 걸출한 신인 보강이 없는 데다 기존 스타급 선수들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구단의 빈약한 재정으로 인해 반짝 돌풍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전북은 2년 전(버팔로) 헝그리 시절을 되새기며 약전 고투 끝에 중위권 그룹인 5위까지 달릴 수 있었다.

그나마 전북이 5위(5승 4무 7패)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은 스트라이커 김도훈의 공이 컸다. 김도훈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6골 3어시스트를 기록해 어려운 살림을 이끌었다. 반면 김도훈과 함께 투톱으로 나선 비탈리는 잦은 부상으로 인해 3골에 그쳤다.

전북이 상위권으로 치솟지 못한 것은 다른 팀처럼 걸출한 플레이메이커가 없었기 때문. 여기에다 비탈리, 정종선, 알렉세이(GK) 등 간판급 선수들이 부상을 당한 것도 성적 부진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다 팀의 간판 김도훈(8월 29일) 마저 상대 수비수와 부딪쳐 오른쪽 무릎인대가 파열되는 중상을 당해 전북은 참담함을 느끼게 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말 천안 일화서 이적한 김용갑김도훈의 몫을 대신하며 비탈리와 함께 투톱에 포진해 난국을 이끌어 갔다.

그러나 득점원의 단조로움은 크게 버릴 수 없다. 허리 진영이 취약한데다 2선 공격수들이 득점 루트에 가세하지 못해 7위로 추락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김용갑이 9골을 뽑아내 팀 내 득점 1위에 오르며 전북의 새로운 골잡이로 등록한 것과 96 프로 축구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한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였다.

마땅한 전용구장이 없어 전전긍긍하며 힘든 시즌을 보낸 전북은 결국 초대 사령탑인 차경복 감독이 두 시즌을 보내고 사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와 함께 전북은 최만희 코치를 감독대행으로 승격시키며 97년 시즌 준비에 들어갔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0:25:36에 나무위키 전북 다이노스/1996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골키퍼.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동료인 스트라이커 세르히 스카첸코와 동반 입단했지만, 12경기 22실점이라는 실망스러운 기록을 남긴 뒤 1년도 못 가 방출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