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널리즘 토크쇼 J/방영 목록/2020년 하반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저널리즘 토크쇼 J/방영 목록

1. 개요
2. 방영 목록
2.1. 본방
2.2. J 라이브


1. 개요[편집]


저널리즘 토크쇼 J의 2020년 하반기의 방영 회차를 정리한 문서이다.

2. 방영 목록[편집]



2.1. 본방[편집]


회차방송일자주요 내용영상
972020.7.5* 목적은 오직 클릭, 당신을 낚은 포털 뉴스#
982020.7.12* 인천공항 '을의 전쟁' 부추긴 후 기사 팔아먹는 언론#
992020.7.19* 죽음의 상품화, 언론의 찌라시화#
1002020.7.26* 최욱이 세상에나 인터뷰 취재를 하고 왔답니다#[1][2][3]
1012020.8.16* 비뚤어진 조감도, 언론이 부동산으로 얻는 것#[4]
1022020.8.23* 비틀거나 모른척하거나.. 日 경제도발 1년, 언론의 현주소#
1032020.8.30* 전광훈 밀어주던 언론의 때늦은 손절#
1042020.9.6* 의사 vs 정부, 언론이 전한 것과 전하지 않은 것#
1052020.9.13* 갈등만 기다리는 파파라치 언론#
1062020.9.20* "추미애 아들 의혹" 어떻게 언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나#
1072020.9.27* 삼성과 이재용 그리고 언론 (feat. 검찰, 법원)#
1082020.10.11* 공무원 피살 보도, 알 권리라는 이름의 부관참시#
1092020.10.18* 당신은 은밀하고 치밀하게 낚였다 - 방송사 '뒷광고' #
1102020.10.25* 받아쓰거나 외면하거나, 국감 헛다리 짚은 언론#
1112020.11.1* 윤석열 vs 추미애, 언론의 편파중계에 가려진 본질#
1122020.11.8* 백신포비아 창조한 언론, 누굴 위한 공포인가#
1132020.11.15* '징역 17년'에는 없는 것, MB는 언론에 무엇을 남겼나#
1142020.11.22* 누구를 위한 '윤석열 대망론'인가#
1152020.11.29* 신문 1면의 민낯, 무엇을 경계해야 하나?#
1162020.12.6* '종부세 폭탄론' 언론은 무엇을 외면했나?#
1172020.12.13* J가 했어야 할 그러나 하지 못한..#[5]

2.2. J 라이브[편집]


회차방송일자주요 내용게스트영상
762020.7.1* 최욱이 매불쇼 작가에게 전해들은 인천공항 근황전현우(기자), 이봉우[6]#
772020.7.8* 자고 일어났더니 대권 잠룡 돼 있는 윤석열하강종(교수), 이봉우#
782020.7.15* 박원순 죽음 이후, 가세연이 된 언론들이지은(기자), 이연주(변호사)[7]#
79-1 [8]2020.7.22* 관두면서 퇴사면접 하는데 면접관이 최욱;;김언경,이봉우#
79-22020.7.29* 퇴사 직전 속사포로 심정 쏟아내는 봉팀장김언경,이봉우#
802020.8.12* 전체 판 어그러뜨린 KBS의 한동훈-이동재 오보이봉수(교수),박정훈(라이더유니온 위원장)#
812020.8.19* 언터쳐블 전광훈 목사의 폭주#
822020.8.26* 전광훈 집회 광고 36번 실어줬던 신문들#
832020.9.2* 의사 파업 한 달, 구경꾼 언론#
842020.9.9* - 요즘 기사 특: 코로나 핑계로 모두 까기#
852020.9.16* 추미애 의혹, 언론은 어떻게 판을 키웠나?#
862020.9.23* 여기까지가 끝인가 보오#
872020.10.7* 뭔가 이상한 한국형 코로나 보도#
882020.10.14* 조선일보와 맞붙게 된 뒷얘기 까발리는 당직병 대리인#
892020.10.21* 미운털 박힌 류호정의 국감 홈런 후기#
902020.11.4* 독감백신 공포가 퍼지자 안아키가 활개쳤다#
912020.11.11* 물의만 일으켰던 J팀장의 최후..#
922020.11.18* KBS PD와의 전쟁을 선포합니다#
932020.11.25* J 개편에 대한 패널들의 생각#
942020.12.2* J라이브는 오늘부로 잠시 멈춥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6:51:14에 나무위키 저널리즘 토크쇼 J/방영 목록/2020년 하반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0회 특집으로 최욱은 유튜버 진용진과 뉴닉 CEO 김소연을 만났고 임자운 변호사는 고 김재순 씨 아버지와 고 김용균 어머니를 만났다 그리고 최유정 교수는 이승준 다큐멘터리 감독을 만났고 왔다.[2] 100회 이후 KBS의 혹서기 편성으로 2주동안 방송은 안하고 라이브로만 소통하며 지냈다.[3] 100회 특집으로 항상 있는 스튜디오가 아니라 카페를 대어해서 밝고 좋은곳에서 했다. 스튜디오가 너무 어두운것 같다 세트 좀 바꾸줘라 [4] 유튜브에는 100+1 회라고 써있다.[5] 177회를 마지막으로 시즌 2가 종영하게되었다.[6] 민언련 사람이다. 지금은 퇴사했다.[7] 검찰 출신 변호사이다.[8] 방송전에 100회 특집방송을 하고나서 J 라이브를 하다 끊겨서 1부,2부로 나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