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정(군사특기)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재정참모
, 재정병
, 군대 관련 정보
, 군사특기
, 국군재정관리단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육군병과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2f2cd,#465446><-5><bgcolor=#385333> 일반병과 ||
||<width=20%><rowbgcolor=#f9f9dd,#6c7c6c> 파일:병과휘장_보병.png ||<width=20%> 파일:병과휘장_기갑.png ||<width=20%> 파일:병과휘장_포병.png ||<width=20%> 파일:병과휘장_방공.png ||<width=20%> 파일:병과휘장_정보.png ||
|| 보병 || 기갑 || 포병 || 방공 || 정보 ||
||<rowbgcolor=#f9f9dd,#6c7c6c> 파일:병과휘장_공병.png || 파일:병과휘장_정보통신.png ||
파일:병과휘장_항공.png
|| 파일:병과휘장_화생방.png || 파일:병과휘장_군수.png ||
|| 공병 || 정보통신 || 항공 || 화생방 || 군수 ||
||<rowbgcolor=#f9f9dd,#6c7c6c> 파일:병과휘장_병기.png || 파일:병과휘장_병참.png || 파일:병과휘장_수송.png || 파일:병과휘장_인사.png || 파일:병과휘장_군사경찰.png ||
|| 병기 || 병참 || 수송 || 인사 || 군사경찰 ||
||<rowbgcolor=#f9f9dd,#6c7c6c> 파일:병과휘장_재정.png || 파일:병과휘장_공보정훈.png || 파일:병과휘장_군악.png ||<|2><-2> ||
|| 재정 || 공보정훈 || 군악* ||
||<-5><bgcolor=#385333> 특수병과 ||
||<rowbgcolor=#f9f9dd,#6c7c6c> 파일:병과휘장_의무.png || 파일:병과휘장_간호.png || 파일:병과휘장_법무.png ||<-2>
파일:병과휘장_군종.png
||
|| 의무 || 간호* || 법무 ||<-2> 군종 ||
||<-6> 첨자 *: 군악은 공보정훈 하위병과, 간호는 의무 하위병과 ||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공군병과・특기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5><bgcolor=#247bcf> 일반병과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파일:특기마크_조종.png ||<width=40%><-2> 파일:특기마크_항공통제.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방공포병.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정보.png ||
||<|2> 조종 ||<-2> 항공통제 ||<|2> 방공포병 ||<|2> 정보 ||
|| 운항관제 || 항공통제 ||
||<width=40%><-2><rowbgcolor=#ffffff,#191919> 파일:공군 군수 특기 휘장.jpg ||<width=20%> 파일:특기마크_항공안전.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정보통신.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기상.png ||
||<-3> 군수 ||<|2> 정보통신 ||<|2> 기상 ||
|| 항공무기정비 || 보급수송 || 항공안전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파일:특기마크_공병.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재정.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공보정훈.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군악.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의장.png ||
||<|2> 공병 ||<|2> 재정 ||<-3> 정훈 ||
|| 정훈 || 군악 || 의장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파일:특기마크_군사경찰.png ||<width=20%> 파일:특기마크_인사교육.png || || || ||
||<|2> 군사경찰 ||<|2> 인사교육 ||<|2> ||<|2> ||<|2> ||

||<-5><bgcolor=#247bcf> 특수병과 ||
||<rowbgcolor=#ffffff,#191919> 파일:특기마크_항공의무.png || 파일:특기마크_항공구조.png || 파일:특기마크_법무.png ||<-2>
파일:특기마크_군종.png
||
||<-2> 의무 ||<|2> 법무 ||<|2><-2> 군종 ||
|| 항공의무 || 항공구조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1. 개요
2. 업무
3. 각 군별 특징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군병과이자 군사특기.

2. 업무[편집]



3. 각 군별 특징[편집]



3.1. 대한민국 육군[편집]



3.2. 대한민국 해군[편집]



3.3. 대한민국 공군[편집]


변경 전의 이름은 관리 특기. 특기번호는 장교 670X, 준사관 및 부사관 671X, 병사 67110. 2013년에 특기 명칭이 개정되면서 재정 특기로 변경되었다. 공군의 많고많은 행정병들 중 극소수만이 특기를 부여 받은 병사들이다.

2013년 병과 명칭이 관리에서 재정으로 변경되었다.

3.3.1. 장교[편집]



3.3.2. 준·부사관[편집]



3.3.3. 병사[편집]


병사들의 경우 인지도가 거의 전무한 수준이다. 매 기수마다 극 소수의 인원만 선발하기 때문이다.

특기교육의 경우 공군행정학교에서 진행된다. 병 과정 특기 교육기간은 1주. 공군 내에서도 상급 부대 위주로 재정병과 병사가 존재하지만, 행정지원을 하는 특기 특성 상 부대별 티오는 매우 적은 편이다. 전임자가 나가기 한 두 달 전에나 충원되면 다행인 편.

재정병의 공식적인 임무는 인사교육 문서와 대동소이하게 행정지원 업무다. 일선 비행단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본부, 전대 운영과 등에 ‘재정병’ 혹은 ‘회계병’, ‘관리병’ 등의 자리로 보임된다.

포대나 사이트의 경우, 부서가 많지 않고 인력도 많지 않기에 행정병의 수도 매우 적어, 실질적으로 총무의 이름값을 하는, 즉 체적 잡들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행정학교에서 집 근처가 아니라면 포대 사이트를 가급적 안 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0 17:17:47에 나무위키 재정(군사특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