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덤프버전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2)
Puss in Boots: The Last Wish
파일: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1월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장화신은 고양이 2 북미 포스터.jpg
드림웍스 장편 애니메이션
배드 가이즈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장르애니메이션, 액션, 코미디, 어드벤처, 느와르, 드라마
감독조엘 크로포드
각본폴 피셔, 크리스 멜러댄드리[1]
제작크리스 멜러댄드리, 마크 스위프트
기획크리스 멜러댄드리
편집제임스 라이언
음악에이토르 페레이라
미술하이디 조 길버트
프로덕션 디자인 네이트 라그
캐스팅그리스도의 만찬
출연안토니오 반데라스, 셀마 헤이엑
제작사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GAGA 로고.svg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22년 12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월 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3월 17일
화면비2.39:1
상영 타입파일:영화 2D 로고.png (디지털) | 파일:영화 3D 로고.svg (디지털) | 파일:Dolby Atmos 로고.svg[[파일:Dolby Atmos 로고 화이트.svg
상영 시간102분 (1시간 42분 14초)
제작비8,000만~9,0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481,099,553 (최종)
북미 박스오피스$185,535,345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 수836,987명 (최종)
상영 등급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번역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7. 사운드트랙
8. 평가
9. 흥행
10. 패러디 및 이스터 에그
11. 기타
12. 외부 링크
12.1. 예고편 외 홍보영상



1. 개요[편집]


11년 만에 나온 슈렉 시리즈의 스핀오프 영화 장화신은 고양이의 속편.

작품의 작중 시간대는 공식적으로 슈렉 포에버(슈렉 4편) 이후이다. 출처 따라서 장화신은 고양이 1편으로부터 대략 5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고 유추할 수 있으나, 보다 더 정확한 타임라인은 알 수 없다.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의 감독을 맡았던 조엘 크로포드의 차기작이다.

2. 포스터[편집]


파일:장화신은 고양이 2 북미 포스터.jpg
파일: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1월 포스터.jpg
북미 메인 포스터국내 메인 포스터
파일:장신고2 포스터 2.jpg
파일:장신고2 포스터 1.jpg
기타 포스터

파일:푸스.jpg
파일:말랑손키티.jpg
파일:페로2.jpg
파일:골디락스2.jpg
파일:죽음 포스터.jpg
파일:장신고2 포스터3.jpg
국내 캐릭터 포스터


3. 예고편[편집]


▲ 컴백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파이널 예고편

▲ Extend Preview
BGM: Who is Your Favorite Fearless Hero?


4. 시놉시스[편집]


아홉 개의 목숨 중 단 하나의 목숨만 남은 장화신은 고양이(푸스). 마지막 남은 목숨을 지키기 위해 히어로의 삶 대신 반려묘의 삶을 선택한 그에게 찾아온 마지막 기회, 바로 소원을 들어주는 소원별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지도!
잃어버린 목숨을 되찾고 다시 히어로가 되기를 꿈꾸는 장화신은 고양이 푸스는 뜻밖의 동료가 된 앙숙 파트너 '키티 말랑손', 그저 친구들과 함께 라면 모든 게 행복한 강아지 '페로'와 함께 소원별을 찾기 위해 길을 떠난다. 그리고 소원별을 노리는 또 다른 빌런들과 마주치게 되는데…
새해를 여는 끝내주는 모험이 시작된다!


5.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PussInBootsCP.jpg

장화신은 고양이 시리즈의 주인공. 전반적인 생김새는 전작과 같지만 키티와 함께 눈매가 크고 둥글어졌으며, 전작에 비해 모자와 망토 생김새가 살짝 변했고 주무기인 레이피어의 핸드가드에 현란한 기하학적 음각이 생략되는 등 세세한 생김새에 차이가 있다.[2] 극중 이미 8개의 목숨을 잃고, 마지막인 9번째 목숨을 지키고자 은퇴를 결심하지만 우연히 소원을 들어주는 소원별의 존재를 듣고 9개의 목숨을 되찾기 위해 다시 전설이 되기 위한 모험을 떠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장화신은 고양이(슈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ittySoftpawsCP.jpg

장화신은 고양이 시리즈의 히로인. 소원별의 지도를 훔치기 위해 활동하던 도중 우연히 옛 연인인 푸스와 재회한다. 전작의 결말에서 푸스와 연인 관계로 이어지는 듯했으나, 이번엔 무슨 이유인지 시종일관 푸스에게 '산타 콜로마'에서 있었던 일을 언급하며 화를 내고 그를 불신하는데... 이후 푸스, 페로와 함께 셋이서 소원의 별을 목표로 여행을 떠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말랑손 키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PerritoCP.jpg
  • 페로(페리토)[3] - cv.하비 길렌 / 황창영 / 코세키 유타

심리치료견이 장래희망인 조그만 개. 작중에서는 이름이 정확히 정해지지 않아서 '페리토'라고도 불린다. 고양이 수십 마리를 키우는 '마마 루나'의 집에 숨어 지내다가 자신처럼 '말하는 동물'인 푸스를 만나고 우여곡절 끝에 함께 모험을 떠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페로(장화신은 고양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oldi3BearsCP.jpg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서 모티브를 따온 가족 겸 4인조 범죄단. 동화와 달리 곰들과 골디락스가 한 가족으로 활동하며, 동화의 유명한 문구인 '딱 좋아(Just Right)'를 자주 언급한다. 더빙판에서는 '딱 좋아 이거지'라고 어색하게 번역되었다. 원작이 영국 동화이기에 다른 등장인물들과 달리 영국 억양의 영어를 구사하며[4] 푸스와 마찬가지로 소원별을 노리고 있다.
곰 가족의 경우 행적은 골디락스와 거의 같으며 가족애가 더 부각되는 편이다. 아빠 곰은 왼쪽 눈이 멀었으며[5] 아기 곰은 곰 특유의 강한 후각으로 타겟의 냄새를 맡아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여담으로 국내 더빙판 한정으로 어미에 항상 ㅇ을 붙이는 이상한 말투[6]]를 써서 혹평이 많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골디락스(장화신은 고양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igBadWolfCP.jpg
  • 빅 배드 울프[7] - cv.와그너 모라[8] / 이현 / 츠다 켄지로

극중 계속 푸스의 목숨을 노리는 정체불명의 늑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빅 배드 울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빅 잭 호너 - cv. 존 멀레이니[9] / 석승훈 / 성하[10]

'잭 호너 파이 컴퍼니'라는 제과기업의 사장이자 지명수배되어있는 범죄자이다. 자신이 고용한 용병 독사 자매로부터 넘겨받은 소원별의 지도를 도둑맞자 지도를 되찾고 소원을 빌기 위해 '13명의 베이커 군단'을 이끌고 소원을 이루어주는 별을 찾아 푸스 일행을 쫓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빅 잭 호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13명의 베이커 군단(Baker's dozen)[11][12] - cv.장서화, 원에스더, 이다은, 정수진
잭 호너 파이 컴퍼니의 노동자들 겸 사장인 빅 잭 호너의 친위대이다. 소원의 별 지도를 찾고자 호너가 데려갔다. 극중 보면 전투 중에 신출귀몰한 푸스를 잡아내는 등 군단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나름대로의 실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나, 문제는 가는 길도 험난한데다 이들의 사장인 호너가 팀킬을 서슴지 않는 인성 파탄자라 전부 죽어나간다. 작중 장면들을 보면 처음 1명은 장미숲에서 식인 장미 괴물들에게 잡아먹혀 사망,[13][14] 약 3명은 호너의 유니콘 뿔 무기에 잘못 맞아 폭죽으로 터져 사망, 8명은 높은 절벽에서 호너에게 인간 다리로 쓰여지다 전부 떨어져 사망, 마지막 1명은 마차를 끌고 오다 떨어질 뻔했는데 호너가 쓸모있다고 판단해서 구해줘 당장은 살았지만 소원별에서 호너의 마법지팡이 레이저에 잘못 맞아 소원별 벽으로 끌려들어가 사망한다. 보다시피 1명 빼면 전부 다 호너의 직간접적인 팀킬이다.

  • 마마 루나 - cv.더바인 조이 랜돌프 / 김보나
푸스가 은퇴를 결심하고 찾아간 고양이 보호소를 운영하는 여성. 집 하나에 수십 마리의 고양이를 풀어두고 기르고 있으며 이 때문에 보건국에 자주 시달리는 듯하다. 애니멀 호더처럼 보이나 제 발로 찾아온 푸스를 기꺼이 거두어 이름까지 지어주고, 대피 훈련까지 착실히 시켜놓은데다 다른 고양이들이 마마 루나를 잘 따르는 걸 보면 학대나 방치 없이 잘 돌보고 있는 모양. 다만 자신의 고양이들이 가구를 긁지 못하게 고양이 장갑(양말)을 끼워서 키운다. 푸스의 흔적을 쫒아 쳐들어온 곰 세 마리 범죄단에 의해 거실의 피아노에 쳐박힌 채로 연주를 당하는 수난을 겪는다. 서구권 매체에서 자주 나오는 고양이 키우는 정신 이상한 여자 컨셉으로, 이름인 루나 자체가 미치광이(lunatic)를 암시한다.

카메오 출연. 푸스의 일곱 번째 죽음에서 등장한다.

카메오 출연. 빅 잭 호너의 과거 회상 장면에서 춤추는 모습으로 등장. 본의 아니게 호너의 어린 시절 사업을 방해하는 바람에 그가 흑화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말았다.


  • 마을 의사 - cv.안토니 멘데즈 / 이상범
본업은 의사지만 미용사, 수의사, 치과 의사, 마녀 감별사 같은 부업도 겸하며 약간 돌팔이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남자다.[15] 푸스에게 단 하나의 목숨만 남았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은퇴할 것을 권한다.

초반에 등장한 대저택의 주인. 휴가를 떠난 사이에 푸스와 주민들이 자기 집에 멋대로 들어와 파티를 벌여 집이 난장판이 되고, 푸스가 깨운 거인에게 납치당하는 등 갖은 수난을 겪는다.[16]

  • 독사 자매, 조와 젠 - cv.베스티 소다로, 아르테미스 펩다니 / 원에스더(조), 김현심(젠)
2인조 자매로 이루어진 여성 범죄자들. 한쪽은 금발, 다른 한 쪽은 흑발이다. 빅 잭 호너에게 소원 별의 지도를 전달해 주지만,[17] 금발머리가 호너의 어렸을 때 파이를 팔기 위해 불렀던 리틀 잭 호너 파이 노래를 따라 부르며 놀리면서 호너의 과거 트라우마를 건드렸다가 그가 보복하는 차원에서 일부러 덮개를 벗기고 보수랍시고 건넨 미다스의 손을 만져 통째로 황금이 되어버린다. 다만 복수와는 별개로 처음 약속한 보상부터가 몸무게와 같은 양의 황금이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원래부터 이런 식으로 할 계획이었던 걸로 보인다.
이후 다른 한명 흑발은 이후 골디락스&곰 세마리 범죄단과 푸스&키티의 난입에 상황이 난장판이 되려 하자 금이 된 자매를 보수로 받은 셈치고 수레에 실고 내뺀다.

  • 소년 - cv.남의종
  • 소년의 아빠, 바텐더 - cv.정의택
  • 종업원, 하인 - cv.이다은

  • 거인
델 마르 근방에 잠들어 있다가 폭죽 터지는 소리에 깨어난 거인. 생각보다 하체가 얄팍한 키다리 골렘처럼 생겼다. 안대를 하고 있으며 머리 위에 고목 두 그루가 뿔처럼 자라 있다. 작중에선 거대한 몸집에 무색하게 푸스가 가지고 놀듯이 농락당하기만 한다. 거인을 쓰러뜨린 푸스는 그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노래를 부르기로 결정하지만, 거인의 머리를 때린 종이 밧줄을 끊고 푸스를 깔아 뭉개버린다. 이로 인해 푸스는 9개의 목숨 중 8번째 목숨을 잃고 작중 사건에 휘말리기 시작한다.
골디락스가 델 마르에 도착할 즈음, 발자국만 있을 뿐 거인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 걸 보아, 마을 주민들이 치웠거나 어떻게든 깨어나서 마을 밖으로 떠난 듯하다.


6. 줄거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줄거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운드트랙[편집]


Puss in Boots: The Last Wish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Puss in Boots The Last Wish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jpg
No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Star Light-Star Bright에이토르 페레이라1: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Fearless Hero안토니오 반데라스 & 에이토르 페레이라4: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Vet’s Office에이토르 페레이라2: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Retrospective0: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You Need to Retire1: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Bounty Hunter3: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Eulogy1:1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Mama Luna’s Cat Rescue0: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Track That Cat0:5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Meet Dog1:5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The Three Bears Crime Family1: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Legend of the Wishing Star1: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Horner Heist5: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Getaway2: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Get My Wish0:5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The Enchanted Map1: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Travel Montage0:4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The Dark Forest0:5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A Different Path for Everyone1: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Birthday Wish Rules0: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Stop and Smell the Roses3:0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Mowing Posies1: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Ethical Bug0:5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A Close Shave2: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Fist Full of Characters0:4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Let’s Get Him0: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Running Through the Wood0: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Therapy Dog1: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Santa Coloma0:5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Cabin in the Woods1: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We Are Home0: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Your Favorite Book1:1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A Better Point of View1:2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The Value of a Life1:3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Bear Cottage Heist1: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6Puss and Kitty’s Flamenco Dance2: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7Cave of Reflection1:0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8Bear Family Counseling2: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9The Smell of Fear2: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0Go Ahead, Run For It1: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A Proper Family1: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All You Care About1: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The Good, Bad, and Goldi3: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He’s Here for Me1: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5The Fight with Death2:2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6No Magic Required0: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7Holy Frijoles!1:0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8Team Friendship0: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9Make a Wish2: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0La Vida Es Una카롤 지3: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1This Is the EndDan Navarro1: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Por Que te VasGaby Moreno2: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3Fearless Hero (Hero Version)안토니오 반데라스, 에이토르 페레이라2: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Letterboxd Top 250 105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2022/puss-in-boots-2|
스코어
3.50 / 5.00
비평 별점
3.33 / 5.00
관객 별점
3.03 / 5.00
]]
||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별점 7.8 / 10




파일:movies_r_34_2x.png
별점 3.9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1 / 5.0




























"묵직한 주제를 얄밉도록 맹랑하게"

- 씨네21 박평식 평론가, 6점 ★★★


"묘생 9회차 고양이의 호쾌한 메멘토 모리"

- 씨네21 정재현 평론가, 6점 ★★★


올해 나올 오락 영화들 중에서 과연 이걸 넘는게 나올까요? 저는 힘들다고 봅니다.
올해 최고의 오락 영화가 1월에 나와 버렸습니다.

- 부기영화 185화,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의 리뷰 중.


2022년 11월, 북미에서 첫 시사회가 열렸는데 호평 일색이다. 뻔하고 가벼워 보이는 예고편과 최근 드림웍스 작품의 들쭉날죽한 퀄리티 탓에 큰 기대가 없었으나, 공개 직후 빼어난 연출력으로 완성도가 흠 잡을 데 없는 좋은 작품이 나왔다며 각계각층의 영화 리뷰어들의 극찬이 쏟아졌다. 1편은 흥행은 꽤나 했으나 평가는 그저 그랬던 것에 반해[18] 2편은 모든 면에서 전작을 아득히 뛰어넘을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호평받는 부분은 카툰 스타일을 적극 활용해 화려하면서도 특색있는 연출과[19] 주인공뿐만 아니라 대부분 인물에게 부여된 고유의 매력과 고뇌, 정신적 성장 등의 뛰어난 캐릭터성이다.[20] 특히 가장 극찬을 받은 캐릭터는 빅 배드 울프. 이구동성으로 '오랜간만에 제대로 된 악당 캐릭터가 나왔다.'는 호평이다. 복선 회수까지 착실하다.[21]

또한, 슈렉 시리즈장화신은 고양이 1편을 보지 않은 관객도 본작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문제가 없도록, 스핀오프가 아니라 오리지널 단독영화로 봐도 좋을 만큼 잘 만들어져 있으면서도, 관련 작품을 다 본 사람은 더 재밌게 볼 수 있는 소소한 요소가 여기저기 널려 있다.

다만 처음부터 눈높이를 아이에 맞추지 않고 성인향을 지향한 느낌이 있다. 삶과 죽음이라는 고차원적인 무거운 주제와 사이코패스 그 자체인 악당 빅 잭 호너의 잔혹함, 드림웍스 최초의 유혈 묘사와 직간접적인 죽음의 묘사, 비유와 은유로 점철된 주연들의 치정극 등 아동 관객층의 눈높이에서 이해가 어렵거나 관람에 부적절한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전연령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오히려 아이들보다 통념과 가치관이 확립된 이들이 더 재밌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재미와 감동, 주제의식과 연출을 다 잡아 후한 평가를 받고 있는 본작을 계기로 슈렉 프렌차이즈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재부흥[22]에 한층 기대감이 올라가게 되었다.[23]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에 올랐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장편 애니메이션상 수상은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로 결정되었다. 그래도 충분히 쟁쟁한 수상 후보였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 한정으로 자막과 더빙에 대한 불만 여론이 있다. 한글 자막의 경우, 공포스러운 장면에서 진지한 성격의 악역이 무섭게 읆조리는 대사인 '말 그대로(Straight up)'를 '100% 리얼'로 번역해서 분위기를 깨거나,[24] 전설(Legend)이라는 단어를 제대로 번역하다가도 가끔 굳이 '레전드'로 음차해버리거나, 늑대가 푸스를 부를 때 고양이라고 부르는 게 아닌 원판 스페인어 그대로 '가토'라고 부르는 등 원문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몰입감을 크게 해친다는 지적이 있다. 더빙판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연기력은 불만이 없지만 지나친 의역과 축약어로 점철된 단어 선택[25]이 문제고, 가장 혹평받는 것은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범죄단이 어미에 'ㅇ'을 붙인 말투[26]를 사용한다는 점. 웃긴 장면이나 슬픈 장면이나 한결같이 이런 말투를 사용하다 보니 몰입에 방해가 될 정도로 거슬린다는 의견이 있다. 영국 억양의 영어로 말하는 걸 나름대로 재해석했다가 이렇게 된 듯 한데, 차라리 방언으로 현지화하는게 더 나았을 거라는 의견도 있다. 게다가 전편 성우진을 전면 교체해 빈축을 샀다. 특히 주인공인 푸스의 성우가 이봉준에서 최석필로 교체되었는데[27] 하다못해 KBS판 푸스의 성우이자 안토니오 반데라스 전담성우인 홍시호 성우라도 캐스팅하지 그랬냐는 비판이 존재한다.[28]


9. 흥행[편집]




전체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약 9천만 달러 제작비로 4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전문가들은 최종 4억 5천만 달러에서 5억 달러로 마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작의 5억 5천만 달러엔 못 미치는 성적이긴 하지만 제작비 역시 전작보다도 줄었기 때문에 순수익을 전편보다 더 많이 벌어들여서, 흥행은 전작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경쟁작이 아바타: 물의 길이라는 점에서 선방 그 이상을 했다는 의견이 다수.


9.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9,197명9,197명미집계87,128,000원87,128,000원
1주차2023-01-04. 1일차(수)49,520명350,516명3위447,599,582원3,302,852,367원
2023-01-05. 2일차(목)38,467명4위346,066,147원
2023-01-06. 3일차(금)41,017명4위382,077,217원
2023-01-07. 4일차(토)91,158명4위888,330,225원
2023-01-08. 5일차(일)86,726명4위843,131,365원
2023-01-09. 6일차(월)21,071명4위193,221,924원
2023-01-10. 7일차(화)22,557명4위202,425,907원
2주차2023-01-11. 8일차(수)19,414명210,922명4위174,001,468원1,985,619,032원
2023-01-12. 9일차(목)20,038명4위178,732,111원
2023-01-13. 10일차(금)22,563명4위208,804,929원
2023-01-14. 11일차(토)61,320명4위595,657,570원
2023-01-15. 12일차(일)57,323명4위558,153,592원
2023-01-16. 13일차(월)14,271명4위128,690,185원
2023-01-17. 14일차(화)15,993명4위141,579,177원
3주차2023-01-18. 15일차(수)7,838명129,326명6위67,207,091원1,264,620,932원
2023-01-19. 16일차(목)7,787명6위67,282,636원
2023-01-20. 17일차(금)8,913명6위82,613,848원
2023-01-21. 18일차(토)19,840명6위195,712,698원
2023-01-22. 19일차(일)17,610명6위180,272,625원
2023-01-23. 20일차(월)33,109명6위331,241,711원
2023-01-24. 21일차(화)34,229명6위340,290,323원
4주차2023-01-25. 22일차(수)5,452명60,989명9위49,098,184원568,865,956원
2023-01-26. 23일차(목)6,082명8위49,019,382원
2023-01-27. 24일차(금)6,372명8위56,049,055원
2023-01-28. 25일차(토)17,608명8위171,825,583원
2023-01-29. 26일차(일)17,657명8위172,900,765원
2023-01-30. 27일차(월)3,382명9위30,989,963원
2023-01-31. 28일차(화)4,436명9위38,983,024원
5주차2023-02-01. 29일차(수)2,948명37,612명11위26,660,981원358,271,084원
2023-02-02. 30일차(목)3,221명12위29,317,089원
2023-02-03. 31일차(금)3,736명11위33,577,880원
2023-02-04. 32일차(토)11,885명10위116,841,391원
2023-02-05. 33일차(일)10,926명9위107,800,345원
2023-02-06. 34일차(월)2,376명11위21,553,587원
2023-02-07. 35일차(화)2,520명11위22,519,811원
6주차2023-02-08. 36일차(수)2,273명28,757명15위19,685,595원271,705,978원
2023-02-09. 37일차(목)2,109명13위18,256,882원
2023-02-10. 38일차(금)2,487명13위23,040,186원
2023-02-11. 39일차(토)8,829명9위85,655,939원
2023-02-12. 40일차(일)8,945명8위87,587,798원
2023-02-13. 41일차(월)1,872명13위17,069,786원
2023-02-14. 42일차(화)2,242명13위20,409,792원
7주차2023-02-15. 43일차(수)701명5,675명16위6,288,098원52,361834원
2023-02-16. 44일차(목)772명15위6,020,095원
2023-02-17. 45일차(금)883명16위7,081,894원
2023-02-18. 46일차(토)1,222명14위12,284,029원
2023-02-19. 47일차(일)1,250명14위12,914,704원
2023-02-20. 48일차(월)411명16위3,790,299원
2023-02-21. 49일차(화)436명17위3,982,715원
8주차2023-02-22. 50일차(수)341명2,043명21위2,643,198원18,794,473원
2023-02-23. 51일차(목)350명23위3,161,198원
2023-02-24. 52일차(금)210명25위2,099,193원
2023-02-25. 53일차(토)354명24위3,407,699원
2023-02-26. 54일차(일)404명21위3,902,988원
2023-02-27. 55일차(월)219명23위2,140,499원
2023-02-28. 56일차(화)165명31위1,439,698원
9주차2023-03-01. 57일차(수)431명856명28위4,285,895원8,537,126원
2023-03-02. 58일차(목)24명50위249,000원
2023-03-03. 59일차(금)18명55위176,698원
2023-03-04. 60일차(토)147명36위1,491,238원
2023-03-05. 61일차(일)202명31위1,995,895원
2023-03-06. 62일차(월)7명66위69,500원
2023-03-07. 63일차(화)27명50위268,900원
10주차2023-03-08. 64일차(수)58명376명40위433,000원3,560,892원
2023-03-09. 65일차(목)26명52위276,000원
2023-03-10. 66일차(금)3명66위24,000원
2023-03-11. 67일차(토)83명42위785,498원
2023-03-12. 68일차(일)167명36위1,686,394원
2023-03-13. 69일차(월)39명39위356,000원
2023-03-14. 70일차(화)0명-위0원
11주차2023-03-15. 71일차(수)1명170명90위14,000원1,704,800원
2023-03-16. 72일차(목)11명61위121,500원
2023-03-17. 73일차(금)7명74위72,000원
2023-03-18. 74일차(토)76명43위717,200원
2023-03-19. 75일차(일)71명44위742,100원
2023-03-20. 76일차(월)2명79위16,000원
2023-03-21. 77일차(화)2명76위22,000원
12주차2023-03-22. 78일차(수)3명105명81위20,599원969,995원
2023-03-23. 79일차(목)2명90위22,000원
2023-03-24. 80일차(금)0명-위0원
2023-03-25. 81일차(토)27명66위260,000원
2023-03-26. 82일차(일)60명49위553,396원
2023-03-27. 83일차(월)11명60위96,000원
2023-03-28. 84일차(화)2명78위18,000원
13주차2023-03-29. 85일차(수)2명60명87위16,000원515,797원
2023-03-30. 86일차(목)0명-위0원
2023-03-31. 87일차(금)0명-위0원
2023-04-01. 88일차(토)24명68위213,797원
2023-04-02. 89일차(일)29명61위230,000원
2023-04-03. 90일차(월)3명82위36,000원
2023-04-04. 91일차(화)2명89위20,000원
14주차2023-04-05. 92일차(수)0명64명-위0원693,000원
2023-04-06. 93일차(목)5명87위58,000원
2023-04-07. 94일차(금)0명-위0원
2023-04-08. 95일차(토)40명62위431,000원
2023-04-09. 96일차(일)13명85위138,000원
2023-04-10. 97일차(월)0명-위0원
2023-04-11. 98일차(화)6명76위66,000원
15주차2023-04-12. 99일차(수)2명161명92위22,000원1,067,698원
2023-04-13. 100일차(목)2명111위22,000원
2023-04-14. 101일차(금)9명88위88,500원
2023-04-15. 102일차(토)31명73위320,000원
2023-04-16. 103일차(일)28명69위259,198원
2023-04-17. 104일차(월)89명33위356,000원
2023-04-18. 105일차(화)0명-위0원
16주차2023-04-19. 106일차(수)1명47명110위14,000원457,599원
2023-04-20. 107일차(목)0명-위0원
2023-04-21. 108일차(금)0명-위0원
2023-04-22. 109일차(토)16명96위161,000원
2023-04-23. 110일차(일)12명96위116,599원
2023-04-24. 111일차(월)3명92위30,000원
2023-04-25. 112일차(화)15명76위136,000원
17주차2023-04-26. 113일차(수)92명-명34위644,000원-원
2023-04-27. 114일차(목)2명108위16,000원
2023-04-28. 115일차(금)4명100위46,000원
2023-04-29. 116일차(토)5명106위44,000원
2023-04-30. 117일차(일)-명-위-원
2023-05-01. 118일차(월)-명-위-원
2023-05-02. 119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836,987명, 누적매출액 7,928,562,363원[29]


한국에서는 전작보다 훨씬 부진하고 있다. 상영관이 전작보다 2배 이상 늘었고 상영 횟수도 많고 평가도 더 좋아졌음에도 1주일동안 전국 30만대 관객에 그치고 있다. 전작이 1주일동안 전국 88만 관객을 동원해 3배 가까이 차이가 났던 걸 생각하면 상당히 아쉬운 흥행이다. 아무래도 지난 10년간 한국 내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인기와 팬덤의 화력이 많이 위축된 것이 크며, 관객들도 아바타: 물의 길영웅 등의 다른 영화에 관심들이 더 쏠린 탓에 흥행이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허나 역으로 말하면 이러한 악재들을 감안하면 제법 선방한 편으로, 실제로 상반기 기대작이었던 유령이나 교섭의 평가와 흥행이 부진하여 장화신은 고양이가 저조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극장에 제법 높은 예매율로 오래 걸리는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2월 첫째주까지의 성적은 대략 80만명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작품성과 대중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명작이지만, 세간의 주목을 받은 아바타 2, 추억 보정을 받은 더 퍼스트 슬램덩크 같은 강력한 경쟁작과 수준미달의 평가를 받고도 스크린 쿼터제빨로 아득바득 상영관 상당수를 잡아먹고있는 한국영화들의 언론플레이 및 마케팅 등으로 인해 묻혀버린 비운의 작품이다.[30] 다른 국가들은 최소 한 주 동안은 흥행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을 보면 유독 대한민국의 흥행지표만 매우 기형적이다.[31]

2월 15일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가 개봉한 여파로 하루 관객 수 천 명대도 깨져서 한국 극장가에서 퇴장하는 수순을 밟으며 내려갔다.

9.2. 북미 (미국캐나다)[편집]


개봉 첫주에 아바타: 물의 길에 밀려서 2위로 시작했다. 그러나 1위와의 격차가 매우 큰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초반에는 흥행이 지지부진해서 흥행 실패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작에 대한 좋은 평가 덕분에 꾸준하게 관객을 불러들이는 데 성공해 1편이 거둔 북미성적을 뛰어넘었다. 신작이 매주 개봉하는데도 순위를 다시 회복해 가며 북미 극장가에 오랫동안 상영되고 있는 중이다.


9.3. 일본[편집]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1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시작했다.


9.4. 오스트레일리아[편집]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2023년 12주차2023년 13주차2023년 14주차
존 윅 4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9.5. 영국[편집]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
아바타: 물의 길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2023년 7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흥행 집계 기준


9.6. 프랑스[편집]


프랑스 흥행 1위 영화
2022년 48주차2022년 49주차2022년 50주차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아바타: 물의 길
알로시네


9.7. 이탈리아[편집]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2022년 48주차2022년 49주차2022년 50주차
Vicini di casa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아바타: 물의 길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9.8. 멕시코[편집]


멕시코 흥행 1위 영화
2023년 2주차2023년 3주차2023년 4주차
아바타: 물의 길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3주차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더 웨일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흥행 집계 기준


9.9. 브라질[편집]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3주차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
아바타: 물의 길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2023년 7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10. 아르헨티나[편집]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3주차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
아바타: 물의 길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4주차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2023년 7주차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2023년 12주차2023년 13주차2023년 14주차
존 윅 4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11. 콜롬비아[편집]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48주차2022년 49주차2022년 50주차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아바타: 물의 길
2023년 5주차2023년 6주차2023년 7주차
BTS: Yet to Come in Cinemas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12. 기타 국가[편집]




10. 패러디 및 이스터 에그[편집]














11. 기타[편집]
















12. 외부 링크[편집]


Puss in Boots: The Last Wish
슈렉 위키의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을 소개하는 문서.


12.1. 예고편 외 홍보영상[편집]


영화 개봉 전 공식 예고편과 별개로 유니버설 픽쳐스의 미국 및 한국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된 홍보용 단편 애니메이션 모음.

푸스가 영화관에 찾아와 음식을 주문하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범죄단'에게 "딱 적당한" 스낵을 만들어주는 영상. 마을 의사, 마마 루나, 피노키오 등 영화 속의 다양한 조연들도 함께 출연한다.
ASMR 형식의 영상이다. 성우인 안토니오 반데라스의 느끼한 연기가 일품.
미국의 축구선수 웨스턴 맥케니가 출연한 2022 카타르 월드컵의 홍보영상.
주연인 푸스와 키티가 카롤 지가 부른 영화 내 삽입곡 'LA VIDA ES UNA'에 맞춰 춤을 추는 영상이다.
유튜브 채널 First We Feast의 토크쇼 컨텐츠인 Hot Ones와 컬래버레이션한 홍보영상. 토크쇼를 진행하면서 먹는 핫소스[44]가 매워질수록 점점 미쳐가다가, 눈물을 잔뜩 흘리며 처절하게 우유를 찾는 푸스의 모습이 압권이다.
성탄절 다음날에 업로드 된 유튜브 쇼츠 영상. 소파에 기대어 자면서 꾹꾹이를 하는 푸스를 볼 수 있다.



[1]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의 수장.[2] 중간에 사람처럼 덥수룩한 수염을 기른 모습이 되는데, 안 어울린다는 놀림을 받거나 톱니바퀴에 수염이 끼어버리는 등 크고 작은 고생을 겪는다.[3] Perro. 스페인어로 '개'. 다른 명칭 중 페리토(Perrito)가 있는데 이것 역시 스페인어로 '강아지' 정도의 의미로 쓰이며, 도그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니까 등장인물 모두가 그냥 를 개라고 부르는 것이다.[4] 특히 아기곰은 영국스러움이 짙다 못해 차브족스러운 모습으로 나온다. 사실 차브란 단어 자체가 롬어로 아동이란 뜻에서 나온 것이니, 현실 반영이라면 현실 반영일지도? [5] 흉터가 있는 걸로 보아 누구랑 싸우다 다쳐 실명한 걸로 보인다.[6] 그랬징, 했넹, 시작행, 싫당 등[7] 푸스가 부르는 이명으로는 Lobo. 스페인어로 '늑대'라는 뜻.[8] 나르코스에서 파블로 에스코바르 역을 맡은 브라질 배우.[9] 뉴스파에서 스파이더햄을 맡았다.[10] 재일교포 출신의 배우.[11] 영미권에서 13을 의미하는 표현이다.[12] dozen인데 왜 12가 아니라 13이냐 하면, 옛날에는 빵을 무게에 맞춰서 팔지 않는 등 빵값을 속이면 엄격하게 처벌을 받았는데, 실수로라도 빵을 덜 줘서 처벌받는 걸 방지하기 위해 빵 12개에 하나를 덤으로 얹어준 것에서 유래했다.[13] 이 녀석은 도끼 들고 허세 부리다가 그대로 잡아먹혀 뼈만 남아버린다.[14] 작중 많은 부하들이 장미에게 공격당하지만 베이커들 숫자와 다른 이유로 죽는 장면이 더 많이 나오는 걸 보면 의외로 장미 화원에서 죽은 것은 이 1명뿐이다.[15] 현대인의 관점에선 돌팔이처럼 보이지만, 슈렉 시리즈와 본작의 배경이 되는 중근세 유럽의 의사는 첨단 의료기술을 바탕으로 전문분야가 나뉘는 현대의 의사들과 달리 환부나 병세를 가리지 않고 환자를 수리하는 기술직에 가까웠으며, 샤머니즘에 기반하여 환자를 진료거나 수술하는 행위 역시 자연스러운 시대상이었다. 또한 18세기까지 서양의 이발소가 이발이나 면도 외에 외과수술 등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료행위도 겸했음을 생각해보면 이 캐릭터가 미용사를 포함한 다양한 직업을 겸하는 것은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상기시켜주는 현실 반영으로 볼 수 있다.[16] 마지막엔 푸스, 키티, 페로 삼인방에 의해 배까지 빼앗긴다.[17] 심지어 본인들 말로는 이거 찾느라고 사람을 많이 죽였다고 한다.[18] 매력있는 캐릭터성과 조연 출신이었던 장화신은 고양이 푸스의 과거 서사라는 떡밥으로 꽤나 흥행은 했으나, 뻔한 반전과 평면적인 스토리, 성격과 외형 모두 불쾌하다는 평가가 많은 빌런 험티 덤티 등의 요소로 인해 작품성을 다소 깎아먹었다. 그렇다고 딱히 나쁜 영화는 아니고 그냥 평범한 오락영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19] 이런 드림웍스의 새로운 스타일은 바로 전작 배드 가이즈에서 처음 선보인 바 있는데, 본작에서 더더욱 개선된 모습이다.[20] 주역, 조역, 악역 불문하고 자기만의 사연을 가지고 있고, 그런데도 늘어지게 길어 지루한 과거 회상 따위로 평가를 깎아먹지 않고 적절히 연출, 비중을 잘 분배해 모두의 이야기가 깔끔하게 마무리 지어진다. 물론 러닝타임이 짧기 때문에 중요한 사건임에도 세세한 묘사 없이 간단한 언급으로 급전개되어 조금 아쉬운 부분도 있다.[21] 빅 잭 호너가 그렇게 강조하던 "나를 먹어" 쿠키나, 키티가 재회했을 때부터 언급하던 산타 콜로마, 빅 배드 울프의 정체 등, 전부 작중에서 깔끔하게 설명된다.[22] 술집에서 늑대와 전투 도중 등장하는 주마등 장면에 슈렉과 동키가 등장하고, 과거 회상에서 진저브레드나 피노키오 등 슈렉 캐릭터가 찬조 출연한다. 엔딩에서 방문하는 장소가 다름 아닌 슈렉의 주무대 중 하나인 '겁나먼 왕국'. 마지막을 장식한 푸스의 대사가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볼까"인데, 따라서 기대감은 배가 되었다.[23] 단적인 예로 2024년에 쿵푸팬더 4를 개봉할 예정인데 처음 발표가 나왔을 때에는 이쯤 되면 질릴 만도 한데 지나친 것 아니냐는 평이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대단한 완성도를 지닌 본작을 기점으로 다시 기대감이 생겼다는 여론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전작인 배드 가이즈와 함께 본작에서 수준 높은 액션신을 보여줬기 때문에 액션이 주 장르인 쿵푸팬더에서는 얼마나 수준 높은 액션이 나올까하는 기대도 있다.[24] 우리말 더빙에서는 '그 자체'로 정상적으로 번역했다.[25] 오키오키, 개이득, 아까비, 촌티 작렬 등[26] '그랬징', '했엉' 등[27] 안 그래도 70대에 가까운 고령이었던 이봉준 성우였기에 성우팬들은 혹시 건강이 나빠지신 건 아닌가 걱정했으나, 정작 개봉 바로 다음 날 방영되었던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서 멀쩡히 효스베 이치베 역으로 출연하면서 무작정 성우를 교체해버린 배급사에 대한 비판이 커졌다.[28] 같은 시기에 국내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더빙판이 큰 호평을 받아 비교되기도 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도 마찬가지로 성우진이 상당수 교체되긴 했지만 최소한 원작 주인공인 강백호(슬램덩크) 역은 대원 비디오판의 강백호 역을 맡은 강수진 성우를 캐스팅하는 등,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기도 했다.[29] ~ 2023/04/29 기준[30] 1월 중에는 한동안이긴 했으나 아바타2, 영웅, 스위치가 관을 다 쓸어담았다.[31] 아무리 슈렉 프렌차이즈로 10년만에 나온 작품이라서 인지도와 화력이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해외의 흥행성적과 이만큼으로 격차가 나는것은 설명이 안된다. 오히려 10년만에 시리즈의 후속작이 나오는건 주목받을 요소가 많다.[32] 슈렉 1에서 곰 가족의 어미가 파콰드 영주에 의해 카펫이 되었기에, 엄마곰이 생존한 상태로 등장하는 이번 작품의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범죄단은 슈렉 1편의 곰 가족과는 확실하게 다른 캐릭터이다. 이는 설정의 변경이나 패러디보다는 같은 동요나 동화에서 기원한 존재들이 슈렉 세계관에서 둘 이상 존재함을 보여주는 듯하다. 멀리 갈 것 없이 1편과 이번 작품에서 히로인으로 등장하는 말랑손 키티샤를 페로의 동화와 마찬가지로 장화를 신고 인간의 언어로 말하는 고양이이지만, 같은 동화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자 본 작품의 주인공 푸스와는 성별부터 출신 배경까지 완전히 다른 별개의 존재이다. 위의 예시로 든 험티 "알렉산더" 덤티 또한 모티브만 같은 다른 인물이 앞서 슈렉 1편에서 현상수배지를 통해 등장했었다.[33] 푸스의 일곱 번째 죽음에서 진저브레드가, 푸스가 죽음의 위기를 느끼며 스쳐간 과거의 기억들에서 슈렉동키가, 빅 잭 호너의 어린시절 회상 장면에서 피노키오가 등장한다.[34] 실제 건물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팜데일 인근에 위치하며, "킬 빌 교회"로 더 알려진 장소이기도 하다.[35] 이걸 제3자의 시각으로 지켜보던 골디는 "...뭐야?" 라며 어이없어한다.[36] 반면 같은 기법을 사용한 아바타: 물의 길의 경우 이런 시각적 연출이 프레임 드랍 현상처럼 느껴져 오히려 멀미를 일으킨다는 등의 혹평을 받기도 했다.[37] 참고로 전작에서 푸스는 이봉준, 말랑손 키티는 이영아가 맡았다.[38] 특히나 이봉준 성우의 경우 개봉날 같은 시기에 방영된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선 출연했기 때문에 더욱 아쉬운 편이다.[39] 사실 슈렉 포에버도 스토리랑 분위기가 어둡다.[40] 푸스의 이마가 칼날에 베여 피가 흐르는 장면이나 강아지가 코피를 흘리는 장면 등.[41] 그동안은 피오나 공주의 고음에 새가 터져 죽는다거나 파콰드 영주가 용에게 잡아먹히고 요정 대모가 비눗방울로 변하는 건 나왔어도, 사람이 죽는 건 의외로 많이 안 나왔었다.[42] 슈렉 2에서 푸스가 자신의 9개의 삶 중 하나는 스페인의 대도적이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43] 다만 실리 심포니로 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44] 실제 제품은 아니고 소스 병에 슈렉 시리즈장화신은 고양이와 관련된 삽화가 그려진 라벨을 붙여놓은 가상의 핫소스들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