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릉(파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목조효공왕후익조정숙왕후
덕릉德陵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
도조경순왕후환조의혜왕후
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
태조신의왕후신덕왕후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세종, 소헌왕후문종, 현덕왕후단종
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
정순왕후세조, 정희왕후덕종, 소혜왕후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
장순왕후성종, 정현왕후공혜왕후제헌왕후
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중종단경왕후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
문정왕후인종, 인성왕후명종, 인순왕후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
공성왕후광해군, 문성군부인원종, 인헌왕후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광해군묘光海君墓장릉章陵장릉長陵
{{{-2 경기 [[남양주시|{{{#bf1400
남양주}}}]]}}}
효종, 인선왕후현종, 명성왕후장렬왕후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숭릉崇陵휘릉徽陵명릉明陵
인경왕후옥산부대빈경종, 선의왕후단의왕후
익릉翼陵대빈묘大嬪墓의릉懿陵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정성왕후진종, 효순왕후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순조, 순원왕후문조, 신정왕후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고종, 명성황후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홍릉洪陵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성릉成陵 | 숙릉肅陵 | 문릉文陵



파일:Jangneung_Joseon_Royal_Tomb_Article_01.jpg

1. 개요
2. 역사
3. 참고사항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長陵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왕조 16대 임금 인조와 원비 인열왕후가 안장된 왕릉. 둘이 하나의 봉분(능침)에 같이 묻혀있는 합장릉의 형태를 띄고 있다.

참고로, 장릉이라는 능호는 조선왕릉 중에 총 세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
  • 경기도 김포에 위치한 장릉(章陵): 조선의 추존왕 원종(인조의 생부)과 추존왕비 인헌왕후(인조의 생모)를 모신 쌍릉. 이 왕릉은 글 장(章)자를 사용한다.
  •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장릉(莊陵):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을 모신 단릉. 이 왕릉은 장중할 장(莊)자를 사용한다.
  •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장릉(長陵): 조선 16대 임금 인조와 그의 첫 번째 왕비인 인열왕후를 모신 합장릉.

2009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3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 역사[편집]


파일:장릉1930.jpg
1920년대 장릉(파주)의 모습. (출처: 조선고적도보) 현재와 비교해서 봉분 뒤의 소나무들도 조금 휑한 편이고, 석물들에 이끼도 많이 끼어있는 모습이다. 봉분의 모습도 현재와 비교했을 때 더 뾰족한 모습이다.

원래 인열왕후가 죽었을 때 파주 운천리에 안장했고 인조가 죽자 그 옆에 묻었는데, 능에 화재가 일어나고 전갈(!)이 능 주위에서 무리지어 살면서 능을 침범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영조 때인 1731년 지금의 자리로 이장한 것. 그래서 장릉의 석물들은 17세기 형식과 18세기 형식이 섞여 있는 형태.

참고로 로마 제국에서는 군영에 뱀이나 전갈이 나오면 아주 불길한 징조라 했는데 삼전도의 굴욕 등을 겪고 자신의 아들을 숙청하는 등 인조의 여러가지 실책 및 악행 등으로 인해 선대왕 및 후대왕들에게는 유례없는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때문에 현대에도 인조가 조선 정도가 아니라 한국사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악한 왕일지 아닐지는 몰라도 가장 재수없는 왕인 것은 확실하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인열왕후는 남편 때문에 부당한 고생을 하는 걸 수도 있다. 아마 로마 시대 사람 기준이라면 인조의 무덤에서 뱀과 전갈이 나온 것 하나만으로 이미 조선은 반드시 멸망할 것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그저 군영에서 뱀이 나와도 재수없는 건데 이는 무려 왕릉에서 뱀이 나온 거다.

3. 참고사항[편집]


이 능은 2018년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비공개 능역이어서 들어가 볼 수 없었다. 이유는 문화재청의 공식 답변에 의하면 장릉 주변에 주차장이나 진입로 같은 것을 마련할 장소가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2005년 즈음에 파주시에서 관광객 유치 차원에서 능을 공개하자고 했었지만 문화재청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 그리고 휴전선이랑 가깝기는 하지만 사실 휴전선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1] 그리고, 장릉 바로 위에 다름 아닌 파주영어마을이 위치해 있고 위쪽에도 탄현면 일대의 관광지가 몰려 있다. 어쨌든 인조의 장릉은 현재 남한에 있는 조선왕릉 중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능이다. 비공개 능역이긴 하지만 답사하는 방법이 없지는 않다. 다만 과정이 번거로울 뿐. 장릉은 파주삼릉[2]관리소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문화재청 파주삼릉관리소에 전화를 걸어서 답사하고 싶다고 말하면 여기서 양식서류를 메일로 보내준다. 답사예정일과 목적을 적어 서류를 작성하고 팩스로 보내면 며칠 후에 출입허가서를 보내준다. 학술연구목적으로만 허가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들어가보고 싶다면 답사 목적을 대충 적으면 안 된다. 그리고 '장릉 관리소'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은 인조의 장릉이 아니라 바로 원종(정원군) 능인 장릉을 관리하는 곳이니 주의할 것.

이렇듯 비공개 왕릉이었지만, 2016년 6월부터 시범 개방이 이루어져서, 일반인들도 관람을 할 수가 있다. 왕릉 입구에 임시 주차장이 마련되었으며, 임시 관리소도 세워졌다. 입장하면 재실과 왕릉을 관람할 수 있다.

이후 2년간의 시범개방 끝에 2018년 9월 전면 개방되었다. 입장료는 1,000원.

헤이리 예술마을과 직선거리로 약 2km 정도 떨어져 있다.

공식 홈페이지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18:40에 나무위키 장릉(파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뢰밭이 문자 그대로 코앞연천군경순왕릉도 관람이 가능하다. 경순왕릉은 왕릉 바로 뒤의 언덕을 남방한계선이 관통하고 있다.[2] 공순영릉(恭順永陵)이라고도 한다. 예종의 원비인 장순왕후 한씨의 공릉,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한씨의 순릉, 효장세자 내외의 영릉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 장순왕후와 공혜왕후는 둘 다 한명회의 여식이라서, 자매가 같은 능역에 묻힌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