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대/장성급 장교

덤프버전 : (♥ 0)



1. 개요
2. 현황
2.1. 보직별
2.1.1. 대장급
2.1.2. 중장급
2.1.2.1. 방위성 직속/합동부대
2.1.2.2. 육상자위대
2.1.2.3. 해상자위대
2.1.2.4. 항공자위대
2.1.3. 소장급
2.1.3.1. 방위성 직속/합동부대
2.1.3.2. 육상자위대
2.1.3.3. 해상자위대
2.1.3.4. 항공자위대
3. 역대 막료장
3.1. 통합막료장
3.2. 육상자위대
3.3. 해상자위대
3.4. 항공자위대
4. 역대 장
5. 역대 장보



1. 개요[편집]


자위대장성급 장교를 설명하는 문서다.

규모를 따지면 대한민국 국군에 못 미치지만, 국군에서도 34개에 불과한(일각에서도 30개도 많다고 여겨지는) 중장급 보직이 60개 가까이 있다. 규모 면에서 넘사벽인 미군 중장이 150명 정도[1]임을 생각하면 비율은 더욱 안드로메다로...

또한 일본군 시절에 쓰던 소-중-대장 계급명은 쓰지 않고 장보-장-막료장 계급명을 쓴다. 또한 4성에 해당하는 막료장은 보직명이자 계급명이지만, 호봉을 산정할 경우엔 장과 구분되지 않는다. 그래도 준장급 보직이 없음을 제외하면 한국군과 얼추 대응이 되는 편. 다만 사단장을 장보가 아니라 장이 맡는 등 다른 나라와 다른 부분도 많이 있다.

방위성/인사발령 문서도 참고할 것.


2. 현황[편집]


구분육자대해자대공자대합계
막료장육장육장보합계막료장해장해장보합계막료장공장공장보합계막료장장보합계
방위대학교1228510821242561144459448171223
방위의과대학교027901340134041317
방위성 산하 합계1249211721345601154763452184240
일반간부후보생03101302680134061925
총원12710213021551681165067458203265

2015년 1월 기준이다.

장성급 장교 265명 가운데 육자대가 130명(49%), 해자대가 68명(26%), 공자대가 67명(25%)이다.

일본 자위대 장교의 대다수는 방위대를 졸업했으며, 간부후보생 출신 즉 학사장교의 비율은 극히 적다. 방대와 방위의대를 제외한 일반간부후보생 중에서 장성 비율이 높은 것은 당연 규모가 제일 큰 해자대로, 장성의 12%(68명 중 8명)를 간부후보생 출신이 차지한다. 육자대는 10%(130명 중 13명) 수준이고 공자대는 6%(67명 중 4명)이다. 장(중장)에서 살펴보면 육자대는 27명 중 3명으로 11%, 해자대는 15명 중 2명으로 13%, 공자대는 16명 중 1명으로 6% 수준이다. 장보(소장)에서 살펴보면 육자대는 102명 중 10명으로 10%, 해자대는 51명 중 6명으로 12%, 공자대는 50명 중 3명으로 6%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공자대의 방위대/방위의대 독점이 높은 편인데, 애초에 공군 자위대에 간부후보생 출신이 별로 없다.

장성급 장교 265명 가운데 방위대학교 출신이 223명(84%), 방위의과대학교 출신이 17명(6%), 그 외 간부후보생[2] 과정이 25명(10%)이다. 간부후보생 가운데 도쿄대학 출신이 7명으로 가장 많다. 그 외에는 가고시마대학, 가쿠슈인대학, 고쿠가쿠인대학, 교토대학, 규슈치과대학, 니가타대학, 니쇼가쿠샤대학, 일본대학, 도시샤대학, 도쿄학예대학, 센슈대학, 에히메대학, 오카야마대학, 와세다대학, 요코하마대학, 일본문리대학, 주오대학, 홋카이도대학이 각각 1명이 있다.

장성급 장교들이 전투지휘관인지 기행부대 지휘관인지 참모인지를 분석해보면 대장급의 경우엔 4명 전원이 지휘관이긴 하나 전투부대보다는 각 자위대를 총괄하는 기술행정적인 차원의 지휘관에 가깝다.

장(중장)급의 경우엔 58명 가운데 14명이 참모, 전투부대 지휘관이 29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15명이었다. 육자대의 경우엔 중장급 27명 가운데 참모가 5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15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7명이었다. 해자대의 경우엔 중장급 15명 가운데 참모가 3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9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3명이었다. 공자대의 경우엔 중장급 16명 가운데 참모가 6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5명, 행정부대 지휘관이 5명이었다.[3]

장보(소장)급의 경우엔 203명 가운데 참모가 107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42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54명 수준이었다. 육자대는 소장급 102명 가운데 참모가 56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16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30명이었다. 해자대는 소장급 51명 가운데 참모가 29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12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10명이다. 공자대는 소장급 50명 가운데 참모가 22명, 전투부대 지휘관이 14명, 기행부대 지휘관이 14명 수준이었다.

종합하면 자위대의 장성급 장교 265명 가운데 전투부대 지휘관은 71명이며 그 외의 지휘관은 73명, 참모는 121명 수준이다.

2021년 기준으로는 다소 변화가 있다. 부대 통폐합이 이뤄져 조금 숫자가 줄었다.


2.1. 보직별[편집]




2.1.1. 대장급[편집]





2.1.2. 중장급[편집]



중장이라고는 하나, 실제로는 타국군의 소장급에 해당하는 직책도 많다.

육장
해장
공장


2.1.2.1. 방위성 직속/합동부대[편집]


타국과 비교할 때 실제로 중장급이라 볼 자리는 통합막료부장, 통합막료감부 운용부장, 방위대 간사, 방위성 정보본부장 네 곳 정도이다. 방대는 방위대학교, 방위의대는 방위의과대학교, 일반간부는 일반간부후보생을 말한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통합막료부장나구모 켄이치로오南雲憲一郎방대33기공자
2통합막료감부 운용부장시모 준이치下淳市방대32기해자
3방위대학교 간사스에요시 히로아키末吉洋明방대33기육자
4방위대학교 훈련부장호시나 도시아키保科俊朗방대35기해자
5방위의과대학교 간사벳쿠 신야別宮愼也방위의대10기공자
6통합막료학교장다지리 유스케田尻祐介방대32기육자
7자위대중앙병원 부원장마쓰키 야스노리松木泰憲방위의대12기육자
8자위대중앙병원 부원장도쿠나가 데쓰지德永徹二방위의대9기해자
9방위성 정보본부장노도미 미쓰루納富中방대29기육자
10방위장비청 장비관시바타 히로시柴田弘일반간부[4]해자


2.1.2.2. 육상자위대[편집]


타국과 비교할 때 실제 중장급이라 볼 수 있는 자리는 육상막료부장, 육상총대사령관, 각 방면총감 5자리 합해서 일곱 정도이며, 나머지는 소장급에 가깝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육상막료부장코바야시 히로키小林弘樹방대34기
2육상총대 사령관마에다 다다오前田忠男
3육상총대 막료장우시지마 치쿠牛嶋築
4북부방면총감오키유우 요시히코沖邑佳彦
5제2사단장후미 유이치冨樫勇一
6제7사단장나카무라 히로아키中村裕亮
7동북방면총감카지와라 나오키梶原直樹
8제6사단장기도 겐지鬼頭健司
9제9사단장카메야마 신지亀山慎二
10동부방면총감오노즈카 다케유키小野塚貴之
11제1사단장오오바 히데아키大庭秀昭
12육상자위대간토보급처장고세 미키오小瀬幹雄
13중부방면총감노자와 신野澤真
14제3사단장야마네 도시가즈山根寿一
15제10사단장나카노 요시히사中野義久
16서부방면총감다케모토 류지竹本竜司
17제4사단장코시즈카 히로다카腰塚浩貴
18제8사단장호리이 타이조堀井泰蔵
19육상자위대 교육훈련연구본부장다나카 시게노부田中重伸
20육상자위대 보급통제본부장오츠카 유지大塚裕治
21육상자위대 후지학교장히루카와 도시유키蛭川利幸


2.1.2.3. 해상자위대[편집]


현직 해자 중장/소장급 소개 페이지

타국과 비교할 때 실제 중장급 자리는 해상막료부장과 자위함대 사령관, 항공집단 사령관 정도이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해상막료부장니시 나루토西成人방대30기
2자위함대 사령관유아사 히데키湯浅秀樹방대30기
3호위함대 사령관사이토 아키라齋藤聡방대33기
4항공집단 사령관후타카와 다쓰야二川達也방대32기
5잠수함대 사령관오자마 요시타카小座間善隆일반간부[5]
6요코스카지방총감이누이 요시히사乾悦久방대31기
7구레지방총감소노다 나오키園田直紀방대31기
8사세보지방총감데구치 가쓰토出口佳努일반간부[6]
9마이즈루지방총감이토 히로무伊藤弘방대32기
10오미나토지방총감이즈미 히로유키泉博之일반간부[7]
11교육항공집단 사령관모리타 요시카즈森田義和방대30기
12해상자위대보급본부나카하타 야스키中畑康樹방대30기
13해상자위대간부학교장마도노 도모히코真殿知彦방대33기


2.1.2.4. 항공자위대[편집]


타국과 비교할 때 실제 중장급 자리는 항공막료부장, 항공총대 사령관, 항공자위대 보급본부장 정도이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항공막료부장아베 무츠하루阿部睦晴
2항공총대 사령관스즈키 야스히코鈴木康彦방대32기
3항공총대 부사령관카미노타니 히로시上ノ谷寛
4북부항공방면대 사령관안도오타다시安藤忠司
5중부항공방면대 사령관모리타유우히로森田雄博
6서부항공방면대 사령관이나츠키 히데타다稲月秀正방대35기
7남서항공방면대 사령관오자키 요시노리尾崎義典
8항공지원집단 사령관카네코신이치金古真一
9항공개발실험집단 사령관모리카와 류우스케森川龍介
10항공자위대보급본부장니시타니 코오이치西谷浩一
11항공자위대간부학교장카키하라 쿠니하루柿原国治
12항공교육집단 사령관히키타 준引田淳


2.1.3. 소장급[편집]



소장이라고는 하나, 실제로는 타국군의 준장급에 해당하는 직책도 많다. 사실 거의 대부분이 준장급에 해당한다. 타국군의 대령급에 해당하는 보직도 존재한다.

육장보
해장보
공장보



2.1.3.1. 방위성 직속/합동부대[편집]

통합막료학교 부교장, 방위장비청 장관관방장비관, 자위대체육학교장 등은 타국군의 대령급이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방위연구소 부소장키구치 유우지木口雄司
2방위성 정보본부 정보관후나쿠라 케이타船倉慶太
3자위대정보보전대 사령사네토오 키요시實藤聖
4자위대도쿄지방협력본부장야마시타 히로지山下博二
5자위대오사카지방협력본부장유토 쥬栁裕樹
6자위대오키나와지방협력본부장사카타 히로키坂田裕樹
7방위성감찰본부 감찰관(육자)타게다 토시히로武田敏裕육자
8방위성감찰본부 감찰관(해자)오오니시 시테츠大西哲방대34기해자
9방위성감찰본부 감찰관(공자)카미사카이 켄키上境賢己공자
10방위장비청 장관관방장비관(통합장비담당)타카하라 유우지髙原雄児공자
11방위장비청 장관관방장비관(육상담당)우이 마사유키鵜居正行육자
12방위장비청 장관관방장비관(해상담당)호시 나오야星直也방대36기해자
13방위장비청 장관관방장비관(항공담당)고토오 마사토後藤雅人공자
14통합막료감부 총무부장도리우미 세이지鳥海誠司육자
15통합막료감부 방위계획부장에가와 히로시江川宏방대34기해자
16통합막료감부 지휘통신시스템부장사토 아미오佐藤網夫공자
17통합막료감부 보도관고미네 마사토小峯雅登해자
18통합막료감부 수석후방보급관가네자시 모토유키金刺基幸방대36기해자
19통합막료학교 부교장가와무라 신이치川村伸一일반간부[8]해자
20자위대체육학교장토요타 마코토豊田真육자
21자위대중앙병원 제1치과부장카카이 슈우로抱井淑郎
22주미일본대사관 방위주재관[9]
23방위장비청 프로젝트관리총괄관이시다 신스케石田伸介방대32기해자
24방위대학교 훈련부장호시나 토시로保科俊朗방대35기해자
25방위장비청 총괄장비조달관콘도오 나츠에近藤奈津枝일반간부[10]해자

2.1.3.2. 육상자위대[편집]

사단 부사단장, 방면대 막료부장은 타국군의 대령급에 해당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육상막료감부 감리부장岸良知樹
2육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井土川一友방대38기
3육상막료감부 운용지휘/훈련부장戒田重雄방대35기
4육상막료감부 방위부장荒井正芳방대35기
5육상막료감부 장비계획부장우에노 와시上野和士방대35기
6육상막료감부 지휘통신시스템/정보부장足立吉樹방대36기
7육상막료감부 위생부장森知久방위의대15기
8육상막료감부 감찰관松本英樹방대36기
9육상막료감부 법무관七嶋剛士방대34기
10육상총대 정보부장平澤達也
11육상총대 운용부장泉英夫
12육상총대 일미공동부장垂水達雄
13제1공정단장堺一夫
14수륙기동단장平田隆則
15제1헬리콥터단장更谷光二
16시스템통신단장末田毅
17북부방면대 막료장上田和幹
18북부방면대 막료부장満井英昭
19북부방면대 막료부장富崎隆志
20제2사단 부사단장篠村和也
21제7사단 부사단장末永政則
22제5여단장廣惠次郎
23제11여단장宮本久德
24제1특과단장牧野雄三
25제1고사특과단장久保勝裕
26제3시설단장河口弘幸
27육상자위대홋카이도보급처장堀江祐一
28동북방면대 막료장大場剛
29동북방면대 막료부장豊田龍二
30동북방면대 막료부장佐藤洋
31제6사단 부사단장叶謙二
32제9사단 부사단장髙木勝也
33제2시설단장圓林栄喜
34육상자위대도호쿠보급처장檀上正樹
35동부방면대 막료장青木誠
36동부방면대 막료부장浅賀政宏
37동부방면대 막료부장安田百年
38제1사단 부사단장相園和宏
39제12여단장坂本雄一
40제1시설단장仲西勝典
41육상자위대간토보급처 부처장若松純也
42중부방면대 막료장酒井秀典
43중부방면대 막료부장竹内哲也
44중부방면대 막료부장貴島康二
45제3사단 부사단장前島政樹
46제10사단 부사단장佐野浩司
47제13여단장兒玉恭幸
48제14여단장遠藤充
49제4시설단장坂元秀明
50육상자위대간사이보급처장小谷琢磨
51서부방면대 막료장橋爪良友
52서부방면대 막료부장키타지마 하지메北島一방대39기
53서부방면대 막료부장이시하라 요시타카石原由尊방대40기
54제4사단 부사단장惠谷昇平
55제8사단 부사단장廣瀬敏彦
56제15여단장佐藤真
57제2고사특과단장藤田英俊
58제5시설단장北島一
59육상자위대규슈보급처장竹内綱太郎
60육상자위대교육훈련연구본부 부본부장藤岡登志樹
61육상자위대교육훈련연구본부 교육부장野村悟
62육상자위대교육훈련연구본부 연구부장스에나가 마사노리末永政則방대 39기
63육상자위대교육훈련연구본부 훈련평가부장田中仁朗
64육상자위대개발실험단장江頭豊一
65육상자위대보급통제본부 부본부장柿野正和
66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藤岡史生
67육상자위대후지학교장青木伸一
68육상자위대고사학교장江頭豊一
69육상자위대정보학교장楠見晋一
70육상자위대항공학교장安井寛
71육상자위대시설학교장山﨑義浩
72육상자위대통신학교장濵崎芳夫
73육상자위대무기학교장坂本正義
74육상자위대수품학교장池田頼昭
75육상자위대수송학교장黒田耕太郎
76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장大野真
77육상자위대위생학교장伊藤利光
78육상자위대화학학교장平野邦治
79육상자위대고등공과학교장岩名誠一
80육상자위대경무대장吉田幸一
81육상자위대중앙회계대장山本公威
82육상자위대중앙업무지원대장今村武
83자위대센다이병원장菊池勇一
84자위대후지병원장
85자위대한신병원장平山健一
86자위대후쿠오카병원장川口雅久
87자위대구마모토병원장


2.1.3.3. 해상자위대[편집]

항공군 사령의 경우 규모를 생각했을 때 타국군의 대령급이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해상막료감부 총무부장梶元大介방대32기
2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카네시마 코우지金嶋浩司방대36기
3해상막료감부 방위부장大町克士방대34기
4해상막료감부 지휘통신정보부장俵千城방대33기
5해상막료감부 장비계획부장이마요시 신이치今吉真一방대33기
6해상막료감부 감찰관中村敏弘일반간부[11]
7해상막료감부 수석위생관小川均방위의대13기
8자위함대 막료장市田章방대33기
9호위함대 막료장西脇匡史방대37기
10제1호위대군 사령小牟田秀覚방대37기
11제2호위대군 사령今野泰樹방대38기
12제3호위대군 사령池内出방대35기
13제4호위대군 사령平田利幸방대39기
14항공집단 막료장川村伸一방대32기
15제1항공군 사령藤原直哉방대39기
16제2항공군 사령타카다 테츠야髙田哲哉불명
17제4항공군 사령金山哲治방대38기
18제5항공군 사령후리하타 타쿠마降旗琢丸방대38기
19제21항공군 사령이시카와 이치로石川一郎방대32기
20제22항공군 사령國見泰寛방대35기
21제31항공군 사령平木拓宏방대33기
22잠수함대 막료장竹中信行일반간부[12]
23연습함대 사령관石巻義康방대36기
24해상자위대잠수의학실험대 사령塚嵜哲史방위의대14기
25소해대군 사령福田達也방대34기
26해양업무/대잠지원군 사령羽渕博行일반간부[13]
27개발대군 사령山岡鉄司방대31기
28요코스카지방대 막료장松本完방대35기
29구레지방대 막료장山口宜久방대36기
30사세보지방대 막료장白根勉방대32기
31마이즈루지방대 막료장吉岡猛방대35기
32오미나토지방대 막료장横田友範일반간부[14]
33해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伍賀祥裕방대35기
34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八木浩二방대35기
35해상자위대제1술과학교장岩﨑英俊방대31기
36해상자위대제2술과학교장関口雄輝방대33기
37해상자위대제3술과학교장松岡広哲방대35기
38해상자위대제4술과학교장稲田丈司방대34기
39해상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伊藤秀人방대34기
40자위대오미나토병원장
41자위대요코스카병원장村上健彦방위의대11기
42자위대마이즈루병원장
43자위대구레병원장
44자위대사세보병원장
45해상막료감부 총무부 부부장小杉正博방대34기


2.1.3.4. 항공자위대[편집]

항공경계관제단 사령은 규모를 보았을 때 타국군의 대령급이다.
순번직책명직책자한자출신비고
1항공막료감부 총무부장影浦誠樹
2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小笠原卓人
3항공막료감부 방위부장谷嶋正仁
4항공막료감부 운용지원/정보부장타카이시 케이타로高石景太郎메이지대학
5항공막료감부 장비계획부장坂本浩一
6항공막료감부 감리감찰관佐川詳二
7항공막료감부 수석위생관桒田成雄
8항공총대 막료장亀岡弘
9항공총대 방위부장鮫島建一
10북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髙橋秀雄
11제2항공단 사령德重広為智
12제3항공단 사령久保田隆裕
13북부항공경계관제단 사령樋山謙一郎
14중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佐藤信知
15제6항공단 사령加治屋秀昭
16제7항공단 사령石村尚久
17중부항공경계관제단 사령津曲明一
18서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秋山圭太郎
19제5항공단 사령尾山正樹
20제8항공단 사령大嶋善勝
21서부항공경계관제단 사령田崎剛広
22남서항공방면대 부사령관加藤康博
23제9항공단 사령스즈키 시게나오鈴木繁直간부후보생
24남서항공경계관제단 사령松﨑勇樹
25경계항공단 사령横尾広
26항공구난단 사령川波清明
27항공전술교도단 사령寺﨑隆行
28항공지원집단 부사령관今城弘治
29항공개발실험집단 막료장市川佳弘
30비행개발실험단 사령白井亮次
31항공의학실험대 사령加藤圭
32항공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佐藤幸喜
33항공자위대제2보급처장藤永国博
34항공자위대제3보급처장倉本昌弘
35항공자위대제4보급처장石上誠
36항공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坂梨弘明
37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山本光伸
38항공교육집단 막료장塩川壮
39항공자위대제1술과학교장伊藤顕
40항공자위대제3술과학교장德重勇一
41항공자위대제4술과학교장小野打泰子
42항공자위대제5술과학교장齋藤拓也
43항공안전관리대 사령福田隆宏
44자위대미사와병원장
45자위대이루마병원장
46자위대기후병원장
47자위대나하병원장


3. 역대 막료장[편집]



3.1. 통합막료장[편집]



3.2. 육상자위대[편집]




3.3. 해상자위대[편집]




3.4. 항공자위대[편집]




4. 역대 장[편집]



4.1. 육자대[편집]


육장

2014년까지 배출된 육장의 숫자는 440명이다. 이 가운데 방위대학교가 처음으로 육장을 배출한 1986년 6월 1일 이전의 육장은 205명이다. 이 가운데 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은 104명[15],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을 뛰어넘고 온 일본해군병학교 출신이 3명,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출신이 2명으로 일본군 출신이 119명이 된다. 내무군벌(내무성과 조선총독부 경무국 출신등) 출신이 14명이며 일반간부는 82명 수준이다. 일본 육군 출신[16]이 51.7%(205명 가운데 106명{육사+육항사})를 넘기는 하나 육상자위대가 아래의 일본 해군 출신이 거의 그대로 이어진 해상자위대보다는 일본군과의 연계를 끊어냈다고 일본 사회에서 인식하는 이유이다.

방위대학교가 처음 육장에 진출한 1986년 6월 1일 이후 235명의 육장 가운데 방위대학교 출신이 209명, 방위의과대학교가 4명으로 심각한 독점을 하고 있다. 1986년 6월 1일 이후 일반간부후보생 출신은 고작 21명(+ 늦깎이 일본육사 1명)에 불과하다.


4.2. 해자대[편집]


해장

2014년까지 276명의 해장이 나왔는데 일본 해군의 소해부대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승계한 해자대의 특성상 일본 해군 출신의 비율이 매우 높다. 방위대학교 출신들이 처음으로 해장에 진출한 1986년 이전의 해장 138명 가운데 일본해군병학교 출신이 100명이며 해군병학교의 부속기관인 해군기관학교[17] 출신이 11명, 해군주계학교[18] 출신이 4명으로 구 일본 해군 출신이 115명에 달한다. 해군병학교의 마지막 기수가 진급한 1983년을 기준으로 잡으면 더 심각해지는데 해장 125명 가운데 115명이 일본 해군 출신이다.

방위대학교는 1986년부터 2014년까지 118명의 해장을 배출했다. 방위의과대학교까지 포함하면 121명이다. 해당 기간 동안 139명의 해장이 나온 걸 생각하면 사실상 독점 상태이다.


4.3. 공자대[편집]


공장

2014년까지 공자대는 240명의 공장을 배출했다. 육장(440명)이나 해장(276명)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편. 처음으로 방위대학교 출신이 공장에 진출한 1986년 6월 17일 이전까지 공장의 숫자는 114명이었다. 이 가운데 내무군벌은 1명, 일본군 육군(육사+육항사) 출신이 39명, 일본군 해군(해군병학교+해군기관) 출신이 27명, 일반간부 출신이 47명이었다. 일반간부 출신들이 대거 나타난 건 육군과 해군 출신들이 거의 전역해버린 70년대 후반부터 방위대학교 출신들이 대두한 1980년대 후반 이전의 약 10년 정도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육군 출신과 해군 출신들의 헤게모니 싸움이 이어졌다. 항공막료장의 경우 해군 출신이 5명, 육군 출신이 11명으로 육군이 전반적으로 우위를 점했다. 그럴 만도 한 게 쓸 만한 파일럿들은 죄다 가미카제로 날려먹었으니...

방위대학교가 공장에 진출한 이후 나온 공장 126명 가운데 방위대 출신이 107명으로 가장 많고 방위의대가 2명, 일반간부후보생은 17명이다. 다른 자위대와 마찬가지로 방위대의 비율이 높다.


5. 역대 장보[편집]



5.1. 육자대[편집]


육장보


5.2. 해자대[편집]


해장보


5.3. 공자대[편집]


공장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8:18:40에 나무위키 자위대/장성급 장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이쪽은 계속 해외 파병이니 전쟁이니 해서 꽤 유동적이다.[2] 한국으로 치면 특수사관, 학사사관, 간부사관을 통틀으는 과정이다.[3] 계수에 쓰인 자료들은 통합부대의 지휘관이나 참모를 소속된 군종에 모두 포함시킨 것이다.[4] 에히메대학교 1988년 졸업.[5] 메이지대학교 1988년 졸업.[6] 오카야마대학교 1986년 졸업.[7] 와세다대 87년 졸업.[8] 주오대 93년 졸업.[9] 일본이 해외에 보내는 유일한 장성급 국방무관이다. 미국엔 여섯 명을 파견하며, 최선임이 육장보급(소장)이다. 다른 지역에는 대령에서 중령급의 영관을 보낸다. 한국에는 대령 셋을 보낸다.[10] 야마구치대학 88년 졸업[11] 미야자키대학 88년 졸업.[12] 류코쿠대학 92년 졸업.[13] 게이오기주쿠대학 94년 졸업.[14] 고쿠시칸대 87년 졸업.[15] 총 105명이나 한 명이 1986년 6월 1일에 방위대학교 출신들과 같이 진급했다. 방위대 졸업자들이 1957년에 임관한 걸 생각하면 이 인간은 엄청나게 막차 탄 셈.[16] 사병은 징병으로 끌려갔기 때문에 자위대 모병 당시에 군경력자로 치지 않았다.[17] 기관사관을 양성하던 곳.[18] 각종 기술행정병과를 교육하던 해군병학교의 부속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