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2017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1. 봄 고시엔: 제89회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2. 여름 고시엔: 제99회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
2.1. 개요
2.2. 출전교 목록
2.3. 대진표
2.4. 이야깃거리
2.5. 지역대회 결승전 구장



1. 봄 고시엔: 제89회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편집]


3월 19일(일)부터 4월 1일(토)까지 진행되었다. 우승 팀은 5년만에 출전한 오사카 토인고등학교로 봄 대회는 통산 2번째 우승이다. 이전의 우승은 후지나미 신타로(현 한신 타이거스)가 에이스로 활약했던 2012년.

오사카 토인은 지역 라이벌인 오사카의 콩라인 리세이샤(履正社)고교[1]와의 사상 최초의 오사카 결승 대결을 제압하고 5년만에 우승을 탈환했다. 8회까지 3:0으로 앞서고 있다가 8회 말에 3점을 내주면서 동점을 허용했지만 이어진 9회초에 5득점을 몰아치면서 승패를 결정지었다. 결승전은 오사카의 야구명문고 두 학교가 붙는 사상 최초의 오사카 대결로 여름 대회에서는 절대로 나올 수 없는 포맷이라 화제를 모았다. 여름에는 두 학교 중에 최소 하나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할 운명이다. 결국 리세이샤는 여름대회 오사카 지역예선 4강전에서 오사카 토인과 리턴 매치를 벌여 이번에도 6회까지 4-3으로 리드하고 있다가 7회 이후 오사카 토인의 막판 몰아치기를 막아내지 못하고 5실점하면서 또 무릎을 꿇고 눈물을 삼키면서 여름을 마무리해야 했다.


2. 여름 고시엔: 제99회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편집]



2.1. 개요[편집]


제99회 전국 고교야구 선수권 대회.

대진표 추첨은 8월 4일(금)에 이루어졌다. 원래는 8월 7일(월)에 개막하여 8월 21일(월)에 결승전을 치룰 예정이었으나, 2017년 5호 태풍 노루의 영향으로 모든 일정이 하루씩 늦춰졌다.

또한 8월 15일(화) 역시 기상 악화로 이후의 모든 일정이 하루 더 늦춰졌다. 다만 그 이후로는 기상 조건이 악화되는 일 없이 순조롭게 경기가 소화되어 전체적으로 일정에 큰 차질이 없이 진행되었다.

팀 수의 특성상 부전승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진표는 추첨을 통해서 구성되어 왔는데, 이번 대회에는 그 방법에 변화가 있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대회 개막 전에 1회차 경기부터 결승전까지의 모든 경기 일정을 추첨·결정하여 발표하였는데, 2017년 올해부터는 2012년까지 사용하던 방식으로 되돌아갔다.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막 전 추첨일에 3회전까지의 일정만 결정한다. 토너먼트 구성에 의해 3회전은 총 여덟 개이며, 각각의 경기가 종료된 직후 승리 팀[2]이 준준결승 대진을 추첨한다. 마찬가지로 준준결승 종료 이후 승리팀이 준결승의 대진을 추첨한다. 결승은 당연히 대결 상대와 일정이 정해져 있으므로 추첨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대진표 구성 방식 변경은 엄청난 관중이 모여들 만한 시합을 미리 파악하여 안전대책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이타마현의 하나사키 도쿠하루 고교가 히로시마의 고료고교를 꺾고 사이타마 현 최초의 여름대회 우승팀이 되었다. 하나사키 도쿠하루 고교는 매경기 9점 이상을 뽑아내는 압도적인 공격력을 과시하며 상대 팀을 무릎 꿇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가장 위험했던 순간은 4강전의 도카이대부속 스가오고교(서도쿄) 전. 초반부터 실점하면서 끌려갔고 9회말 수비에서 2점을 내주며 연장전으로 끌려들어들어갔고 10회말에 끝내기 역전패의 위기를 맞았으나 위기를 넘기고 11회초에 3득점하면서 승부를 결정지었다. 결승전에서는 일본 U-18 대표팀 배터리를 앞세운 고료고교를 상대로 5회와 6회에만 상대 수비 실책을 병행한 10득점을 합산해 크게 앞서나가며 큰 위기 없이 14대4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2.2. 출전교 목록[편집]


지역대표교출전 경력비고
홋카이도
북홋카이도다키가와니시(滝川西)고교19년만의 출전, 3번째
남홋카이도홋카이(北海)고교3년 연속, 38번째2016년 대회 준우승, 여름대회 최다출전 학교
도호쿠
아오모리아오모리 야마다(青森山田)고교8년만의 출전, 11번째
이와테모리오카대학부속(盛岡大付)고교2년 연속, 10번째
미야기센다이 이쿠에이(仙台育英)고교2년만의 출전, 26번째2015년 대회 준우승
아키타메이오(明桜)고교8년만의 출전, 9번째
야마가타니혼대부속 야마가타(日大山形)고교4년만의 출전, 17번째
후쿠시마세이코가쿠인(聖光学院)고교11년 연속, 14번째연속출전 기록 진행 중인 학교 중 최장 연속출전 기록 중
간토
이바라키쓰치우라 니혼대부속(土浦日大)고교31년만의 출전, 3번째2017년 출전 팀 중 첫출전 학교를 제외하고 과거 출전 경험이 있는 학교 중에서는 가장 출전 간 시차가 긴 학교(즉, 가장 오랜만에 출전하는 학교)
도치기사쿠신가쿠인(作新学院)고교7년 연속, 13번째2016년 우승팀
군마마에바시 이쿠에이(前橋育英)고교2년 연속, 3번째2013년 우승팀, 당시 에이스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타카하시 코나
사이타마하나사키 도쿠하루(花咲徳栄)고교3년 연속, 5번째
치바기사라즈 종합(木更津総合)고교2년 연속, 6번째
동도쿄니쇼가쿠샤대학부속(二松学舎大付)고교3년만의 출전, 2번째
서도쿄도카이대부속 스가오(東海大菅生)고교17년만의 출전, 3번째2014~2016년 3년 내내 지역예선 결승에서 고배를 마셨으나 4번째 도전만에 진출에 성공했다.
가나가와요코하마(横浜)고교2년 연속, 17번째마쓰자카 다이스케의 모교
주부
니가타니혼분리(日本文理)고교3년만의 출전, 9번째
도야마다카오카상고(高岡商)2년만의 출전, 18번째
이시카와일본항공 이시카와(日本航空石川)고교8년만의 출전, 2번째항공사 일본항공과는 무관, 항공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실업계 학교
후쿠이사카이(坂井)고교첫 출전
야마나시야마나시가쿠인(山梨学院)고교2년 연속, 7번째
나가노마쓰쇼가쿠엔(松商学園)고교9년만의 출전, 36번째
기후오가키 니혼대부속(大垣日大)고교3년만의 출전, 4번째
시즈오카후지에다 메이세이(藤枝明誠)고교첫 출전
아이치주쿄대부속 주쿄(中京大中京)고교2년만의 출전, 28번째여름대회 최다 우승팀(7회)이자 여름대회 3년연속 우승을 기록한 유일한 팀. 여름대회 본선 최다승, 최다연승 기록 팀이기도 하다. 3년연속 우승 당시 학교 이름은 주쿄상고였다.
간사이
미에쓰다가쿠엔(津田学園)고교첫 출전
시가히코네히가시(彦根東)고교4년만의 출전, 2번째
교토교토 세이쇼(京都成章)고교19년만의 출전, 3번째1998년 결승전에서 마쓰자카 다이스케에게 노히트 노런을 당한 팀. 그 때 이후로 첫 출전이다.
오사카오사카 토인(大阪桐蔭)고교3년만의 출전, 9번째2017년 봄대회 우승팀
효고고베국제대학 부속(神戸国際大付)고교3년만의 출전, 2번째
나라덴리(天理)고교2년만의 출전, 28번째한자를 보고 눈치채는 사람도 있겠지만 학교 재단은 한국에서도 활동하고 있는 신흥종교 천리교 맞다.
와카야마치벤가쿠엔 와카야마(智弁和歌山)고교2년만의 출전, 22번째
주고쿠
돗토리요나고 쇼인(米子松蔭)고교17년만의 출전, 3번째
시마네가이세이(開星)고교3년만의 출전, 10번째
오카야마오카야마 산요(おかやま山陽)고교첫 출전
히로시마고료(広陵)고교3년만의 출전, 22번째
야마구치시모노세키 국제(下関国際)고교첫 출전
시코쿠
도쿠시마나루토 우즈시오(鳴門渦潮)고교9년만의 출전, 7번째
가가와산본마쓰(三本松)고교24년만의 출전, 3번째
에히메사이비(済美)고교4년만의 출전, 5번째
고치메이토쿠기주쿠(明徳義塾)고교8년 연속, 19번째
규슈
후쿠오카도치쿠(東筑)고교21년만의 출전, 6번째
사가와세다 사가(早稲田佐賀)고교첫 출전
나가사키하사미(波佐見)고교16년만의 출전, 3번째
구마모토슈가쿠칸(秀岳館)고교2년 연속, 3번째
오이타메이호(明豊)고교2년만의 출전, 6번째
미야자키세이신 우르슬라가쿠엔(聖心ウルスラ)고교12년만의 출전, 2번째
가고시마가미무라가쿠엔(神村学園)고교5년만의 출전, 4번째
오키나와
오키나와고난(興南)고교2년만의 출전, 11번째

  • 오사카 부의 오사카토인(大阪桐蔭) 고등학교는 유명한 강호로, 야구부 창부 4년만인 1991년에 봄·여름 고시엔 동시출전 및 여름 고시엔 우승을 거뒀으며, 이 4년이라는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3] 2008년에는 여름 고시엔 결승전 17-0의 승리로 이 점수차 역시 현재까지 최고 기록이다. 2012년에는 봄·여름 고시엔 모두 결승에서 똑같은 팀(!)[4]을 상대로 승리를 거둬 봄·여름 연패를 달성하였다. 게다가 올해 막 봄 고시엔에서 우승하고 오는 길이라... 봄·여름 연패를 두 번 이상 기록한 팀은 아직 없기 때문에 올해의 결과가 주목된다. 그러나 센다이 이쿠에이고교와의 16강전에서 9회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실책이 빌미가 된 끝내기 역전패로 봄-여름 연패의 꿈은 끝났다.
  • 토치기 현의 사쿠신가쿠인(作新学院) 고등학교는 작년인 2016년의 여름 고시엔 우승팀이다.
  • 구마모토 현의 슈가쿠칸(秀岳館) 고등학교는 2016년 봄부터의 세 번의 고시엔 대회 모두 4강에서 탈락했다. 이번에는 과연...? 2회전 탈락
  • 니가타 현의 니혼분리(日本文理) 고등학교는 오오이 미치오(大井道夫) 감독이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은퇴한다. 감동적인 은퇴 선물을 안겨줄 수 있을 것인가. 역시 2회전 탈락
  • 처음 출전하는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 사카이 고등학교(坂井, 후쿠이 현)
    • 후지에다메이세이 고등학교(藤枝明誠, 시즈오카 현)
    • 츠다가쿠엔 고등학교(津田学園, 미에 현)
    • 오카야마 산요 고등학교(おかやま山陽, 오카야마 현)
    • 시모노세키 국제 고등학교(下関国際, 야마구치 현)
    • 와세다 사가 고등학교(早稲田佐賀, 사가 현)


2.3. 대진표[편집]


우승준우승4강8강16강

1회전2회전16강8강준결승결승
마에바시 이쿠에이고교
(군마)
12제2일
제3경기
마에바시이쿠에이고교3제8일
제2경기
4제11일
제2경기
10제12일
제4경기
9제13일
제2경기
14
야마나시가쿠인고교
(야마나시)
5
니혼대 야마가타고교
(야마가타)
3제2일
제4경기
메이토쿠기주쿠고교1
메이토쿠기주쿠고교
(고치)
6
기사라즈종합고
(지바)
5제3일
제1경기
일본항공이시카와고교3제8일
제3경기
10
일본항공 이시카와고교
(이시카와)
6
가이세이고교
(시마네)
0제3일
제2경기
하나사키 도쿠하루고교9
하나사키 도쿠하루고교
(사이타마)
9
사이비고교
(에히메)
10제1일
제2경기
사이비고교7제 7일
제4경기
7제11일
제1경기
1
도치쿠고교
(후쿠오카)
4
후지에다 메이세이고교
(시즈오카)
6제1일
제3경기
쓰다가쿠엔고교1
쓰다가쿠엔고교
(미에)
7x
사쿠신가쿠인고교
(도치기)
1제2일
제1경기
모리오카대부속고6제8일
제1경기
12
모리오카대부속고
(이와테)
4
마쓰쇼가쿠엔고교
(나가노)
12제2일
제2경기
마쓰쇼가쿠엔고교3
쓰치우라 니혼대부속고
(이바라키)
3
산본마쓰고교
(가가와)
9제6일
제2경기
5제10일
제2경기
1제12일
제1경기
6
시모노세키국제고
(야마구치)
4
메이오고교
(아키타)
2제6일
제3경기
2
니쇼가쿠샤대학부속고
(동도쿄)
14
다카오카상고
(도야마)
1제7일
제2경기
9제10일
제4경기
9
도카이대 스가오고교
(서도쿄)
11
아오모리 야마다고교
(아오모리)
6제7일
제3경기
1
히코네히가시고교
(시가)
6x제1일
제1경기[5]
히코네히가시고교
(시가)
2
하사미고교
(나가사키)
5
세이코가쿠인고교
(후쿠시마)
6제3일
제3경기
세이코가쿠인고교5제8일
제4경기
4제11일
제3경기
10제12일
제3경기
12제13일
제1경기
4
오카야마 산요고교
(오카야마)
0
와세다 사가고교
(사가)
2제3일
제4경기
세이신우르슬라가쿠엔고교4
세이신우르슬라가쿠엔고교
(미야자키)
5
고료고교
(히로시마)
10제4일
제1경기
고료고교6제9일
제1경기
6
주쿄대 주쿄고교
(아이치)
6
요코하마고교
(가나가와)
4제4일
제2경기
슈가쿠칸고교1
슈가쿠칸고교
(구마모토)
6
고난고교
(오키나와)
6제4일
제3경기
치벤가쿠엔와카야마고교1제9일
제2경기
1제11일
제4경기
4
치벤가쿠엔 와카야마고교
(와카야마)
9
오사카 도인고교
(오사카)
8제4일
제4경기
오사카도인고교2
요나고 쇼인고교
(돗토리)
1
다키가와니시고교
(북홋카이도)
3제5일
제1경기
센다이이쿠에이고교1제9일
제3경기
2x
센다이 이쿠에이고교
(미야기)
15
니혼분리고교
(니가타)
9제5일
제2경기
니혼분리고교0
나루토 우즈시오고교
(도쿠시마)
5
홋카이고교
(남홋카이도)
4제5일
제3경기
1제10일
제1경기
13제12일
제2경기
9
고베국제대부속고
(효고)
5
오가키 니혼대부속고
(기후)
0제6일
제1경기
2
텐리고교
(나라)
6
메이호고교
(오이타)
7제6일
제4경기
9x제10일
제3경기
9
사카이고교
(후쿠이)
6
교토 세이쇼고교
(교토)
2제7일
제1경기
8
가미무라가쿠엔고교
(가고시마)
3x


2.4. 이야깃거리[편집]


  • 이번 대회는 유난히 홈런이 많이 나오는 대회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 8강전 두번째 경기 시점에서 한 대회 통산 홈런의 신기록을 세웠으며 과거 전설로 남았던 홈런타자들의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타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갑작스러운 홈런의 증가에 대해서는 아직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2.5. 지역대회 결승전 구장[편집]


북홋카이도아사히카와 스타루힌 구장
남홋카이도삿포로 마루야마 구장
아오모리하루카유메 구장
이와테이와테 현영 야구장
야마가타야마가타 현영 야구장(쇼나이은행•닛신제약스타디움 야마가타)
미야기kobo 파크 미야기
아키타코마치 스타디움
후쿠시마후쿠시마현영 아즈마 구장
이바라키미토 시민 구장(노블 홈 스타디움 미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2:38:18에 나무위키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201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야마다 테츠토(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오카다 타카히로(오릭스 버팔로즈)의 모교[2] 곧 준준결승(8강)을 이루는 팀이 된다.[3] 다만 에히메 현의 사이비(済美) 고등학교는 창부 3년째인 2004년에 봄 고시엔 우승, 여름 고시엔 준우승을 거둔 적이 있다. 참고로 사이비 고등학교는 이번 여름 고시엔에 출전한다.[4] 아오모리 현의 하치노헤가쿠인 코세이(八戸学院光星) 고등학교로, 2016년 봄 고시엔에도 출전하였다.[5] 개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