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준(군인)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fd,#330000><width=20%><color=#373a3c> 초대
전원근 ||<width=20%> 2대
정광섭 ||<width=20%> 3대
이길봉 ||<width=20%> 4대
||<width=20%> 5대
이태준 ||
|| 6대
이석형 || 7대
이희도 || 8대
문운규 || 9대
윤중기 || 10대
정해천 ||
|| 11대
정춘성 || 12대
박경철 || 13대
김채식 || 14대
강필수 || ||
||<-5><bgcolor=#3d5114> ※ 초대~현재: 원사 ||
||<-5><bgcolor=#3d511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5대 육군주임원사
이태준
Lee Taejun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23605.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61년 ~ 1996년 12월
재임기간제5대 육군주임원사
1993년 2월 ~ 1996년 12월
임관보병 231기
최종계급원사
최종보직육군주임원사
주요보직제12전차대대 주임원사

1. 개요
2. 생애
3. 여담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23605.jpg
2011 경기도 최고 인증서 수여식에서 주임원사를 오래한 사람으로 선정되어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인증서를 받고있다.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최종계급은 원사. 제5대 육군주임원사를 역임했으며, 무려 주임원사직만 25년 11개월 15일간 수행해온 부사관계의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 생애[편집]


1942년에 출생하여 1961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였고, 임관 이후 제20기계화보병사단 소속으로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 여러 분야를 두루 거쳤다.

1965년 중사 시절 하사관 5만명 가운데 최우수 전투원으로 선정되었고 맹호부대 기갑연대 소속으로 베트남전 파병 제1진으로 참전하였다. 적과 교전 중 생긴 아군 부상병들을 위해 시간을 벌거나 직접 들쳐업어 후송하는 등의 상황이 자주 있었다고 하며 이 공로로 인헌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만 29세에 현재의 원사계급에 해당하는 주임상사 보직을 맡았다. 당시에는 원사계급이 없었기 때문. 젊은 나이에 주임상사가 되었기 때문에 복무하면서 소대, 중대, 대대, 사단, 군단, 야전군 등 각급 단위 부대에서 모두 근무한 경험이 있었다고 한다.

1993년 2월 5대 육군주임원사로 취임했다. 1996년 12월 이석형 원사에게 주임원사직을 이임 후 35년 6개월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 짓고 전역했다. 방송사에서 전역식을 취재했는데 육군에서 근무하면서 2남 2녀를 대학교까지 졸업시킬 수 있었기에 군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전역 후에는 야전군사령부급 이상의 주임원사를 지낸 예비역들의 모임인 충정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2014년 6월에 만 72세로 작고하였다. 생전에 군생활 중 사용하던 물건들을 연천에 있는 자택에 전시하고 있었는데 사후에 일부는 육군 부사관학교에 기증되었고 2018년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에 나오기도 했다고 한다.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4:09:21에 나무위키 이태준(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