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계 베네수엘라인

덤프버전 : (♥ 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700 15%,#001f7e 15%,#001f7e 85%,#d00c27 85%)"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베네수엘라 관련 문서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역사역사 전반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오도아케르 왕국 · 동고트 왕국 · 동로마 제국 · 랑고바르드 왕국 · 교황령 · 프랑크 왕국 · 신성 로마 제국(중세 이탈리아 왕국) · 베네치아 공화국 · 제노바 공화국 · 피사 공화국 · 피렌체 공화국/토스카나 대공국 · 모데나 레조 공국 · 파르마 공국 · 나폴리 왕국-시칠리아 왕국/양시칠리아 왕국 · 밀라노 공국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공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 이탈리아 통일 · 이탈리아 왕국 · 파시스트 이탈리아
사회사회 전반(남북문제) · 인구 · 마피아
정치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이탈리아 의회(상원 · 하원) · 행정조직 · 내각
지리행정구역() · 이탈리아 반도 · 시칠리아 · 사르데냐 · 루비콘 강 · 아디제 강 · 테베레강 · 알프스(몬테 비앙코) · 에트나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G7 · G20 · 유럽연합
경제경제 · 이탈리아 리라(폐지) · 유로
교통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말펜사 국제공항 · 밀라노 리나테 공항 ·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 · ITA 항공 · 철도 환경 · 트레니탈리아(레 프레체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 이탈로 · 로마 지하철 · 펜돌리노 · 아우토스트라다
국방왕국군 · 왕립 해군 · 전투식량 · 이탈리아군 · 베르살리에리 · 공군 · 해군 · 헌병군 · 징병제(폐지) · 전투식량 · 군가 · 졸전 기록(연혁 · 일화) · NATO
문화문화 전반 · 영화(스파게티 웨스턴 · 지알로) · 이탈로 디스코 · 유로비트 · 요리(지리적 표시제)
언어이탈리아어 · 라틴 연합 · CELI · CILS · 롬바르드어 · 리구리아어 · 시칠리아어 · 피에몬테어 · 사르데냐어 · 프리울리어 · 라딘어
스포츠이탈리아 올림픽 대표팀 · 이탈리아 축구 연맹 · 세리에 A · 코파 이탈리아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관광관광 전반 · 피사의 사탑 · 콜로세움
치안·사법이탈리아 국가경찰 · 이탈리아 교정경찰대 · 사법 전반 ·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민족이탈리아인(아프리카계) · 이탈리아계 미국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 이탈리아계 멕시코인
기타이탈로필리아





1. 개요
1.1. 이민사
2. 목록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이탈리아계 베네수엘라인이탈리아계 조상이 있거나 이탈리아에 기원을 둔 베네수엘라인이다. 현재 약 500만 명의 베네수엘라인이 이탈리아 혈통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베네수엘라의 총 인구의 약 16%에 달한다.

1.1. 이민사[편집]


20세기 이전에는 이탈리아인들의 베네수엘라 이주가 제한적이었다. 식민지 시대와 독립 전쟁 시기에는 소수의 이탈리아인들이 베네수엘라로 이주했다. 1891년 베네수엘라 인구 조사에는 이탈리아 왕국 출신 이민자 3,030명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베네수엘라의 총 외국인 인구의 약 6%에 해당한다. 20세기 초에는 수천 명의 이탈리아인들이 베네수엘라로 이주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의 독재 정권은 유럽인들의 이민을 장려했으며, 히메네스의 재임 기간동안 30만 명 이상의 이탈리아인들이 베네수엘라로 이주했다.

1961년 베네수엘라 인구 조사에서 이탈리아계 베네수엘라인들은 유럽계 베네수엘라인들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1]

1966년 베네수엘라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이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거주 이탈리아인 17만명 중 중 90%가 도시 거주자였다. 약 96,000명이 카라카스에서, 14,000명이 마라카이보에서, 8,000명이 마라카이에서, 6,000명이 발렌시아에서, 5,000명이 라과이라에서 살았다. 이들 대부분은 시칠리아, 캄파니아풀리아에서 출신이며, 이탈리아 북부[2]출신은 전체의 15%에 불과했다.

2. 목록[편집]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7 18:59:24에 나무위키 이탈리아계 베네수엘라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위는 스페인계 베네수엘라인[2] 주로 에밀리아 로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