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 앗 딘 아이바크

덤프버전 : (♥ 0)

파일:Coat_of_arms_of_the_Mamluk_Sultan_of_Egypt.svg
맘루크 왕조 이집트 술탄
[ 펼치기 · 접기 ]

왕조:살리흐 왕조
민족:아르메니아인 · 튀르크투르크멘
대수:-초대제2대
칭호:말리카 알 무슬리민 알 무스타사미아알 말리크 알 무이즈알 말리크 알 만수르
술탄:샤자르 앗 두르이즈 앗 딘 아이바크누르 앗 딘 알리
살리흐 왕조바흐리 왕조
호라즘 튀르크킵차크
제3대제4대제5대제6대
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알 말리크 앗 자히르알 말리크 앗 사이드알 말리크 알 아딜
사이프 앗 딘 쿠투즈루큰 앗 딘 바이바르스나시르 앗 딘 바라카바드르 앗 딘 살라미시
바흐리 왕조
킵차크몽골인
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알 아딜
사이프 앗 딘 칼라운살라흐 앗 딘 칼릴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자인 앗 딘 키트부가
바흐리 왕조
체르케스인킵차크체르케스인킵차크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알 말리크 앗 나시르
후삼 앗 딘 라긴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루큰 앗 딘 바이바르스 앗 자샨키르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바흐리 왕조
킵차크킵차크 · 타타르킵차크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앗 살리흐
사이프 앗 딘 아부 바크르알라 앗 딘 쿠주크시하브 앗 딘 아흐마드이마드 앗 딘 아불 피다 이스마일
바흐리 왕조
킵차크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알 말리크 알 카밀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앗 살리흐
사이프 앗 딘 샤바안사이프 앗 딘 하지바드르 앗 딘 하산살라흐 앗 딘 살리흐
바흐리 왕조
킵차크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알 만수르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알 만수르
바드르 앗 딘 하산살라흐 앗 딘 무함마드자인 앗 딘 샤바안알라 앗 딘 알리
바흐리 왕조부르지 왕조바흐리 왕조부르지 왕조
킵차크체르케스인킵차크체르케스인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알 말리크 앗 살리흐알 말리크 앗 자히르알 말리크 앗 살리흐알 말리크 앗 자히르
살라흐 앗 딘 하지사이프 앗 딘 바르쿠크살라흐 앗 딘 하지사이프 앗 딘 바르쿠크
부르지 왕조아바스 왕조
체르케스인아랍인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알 만수르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알 아딜
나시르 앗 딘 파라즈이즈 앗 딘 압둘 아지즈나시르 앗 딘 파라즈알 무스타인 빌라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35대제36대제37대제38대
알 말리크 알 무아야드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알 말리크 앗 자히르알 말리크 앗 살리흐
샤이크 알 마흐무디아흐마드사이프 앗 딘 타타르앗 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알 아지즈알 말리크 앗 자히르알 말리크 알 만수르
사이프 앗 딘 바르스베이자말 앗 딘 아부 알 마하신 유수프사이프 앗 딘 자크마크파크르 앗 딘 우스만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그리스인체르케스인
제43대제44대제45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알 무아야드알 말리크 앗 자히르
사이프 앗 딘 이날시하브 앗 딘 아흐마드사이프 앗 딘 쿠시카담사이프 앗 딘 빌바이
부르지 왕조
그리스인체르케스인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
알 말리크 앗 자히르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앗 나시르알 말리크 앗 자히르
티무르부가사이프 앗 딘 카이트베이무함마드아부 사이드 칸수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알 말리크 알 아딜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아부 앗 나시르 잔발라트사이프 앗 딘 투만베이칸수 알 구리투만베이 2세




아랍어الملك المعز عز الدين أيبك التركماني الجاشنكير الصالحى
알-말리크 알-무이즈 이즈 앗딘 아이바크 앗-투르크마니 알-자샨키르 앗-살리히
재위1차1250년 7월 31일 ~ 8월 5일
2차1254년 1월 ~1257년 4월 10일

1. 개요
2. 생애
2.1. 본격적인 친정



1. 개요[편집]


맘루크 왕조의 (사실상) 초대 술탄.[1] 바흐리 맘루크 출신으로, 7차 십자군에 대한 승리 직후의 혼란 도중 여성 술탄 샤자르 앗 두르의 섭정 겸 남편으로 추대되었다가 곧 술탄에 올랐다. 다만 시리아의 앗 나시르 유수프와 대결 시의 낮은 정통성 때문에 곧바로 퇴위하고 아이유브 왕공 알 아슈라프를 추대한 후 실권자가 되었다. 그렇게 3년여가 흐르고 내우외환이 어느정도 정리되자 알 아슈라프를 폐하고 재차 술탄에 오르며 이집트 아이유브 왕조를 멸망시켰다. 다만 2번째 치세가 시작된지 불과 3년만에 부인 샤자르 앗 두르의 질투로 그녀에게 암살당하였다.


2. 생애[편집]


1250년 5월 2일, 맘루크들은 아이유브 술탄 투란 샤를 살해하고 그의 의붓 어머니 샤자르 앗 두르를 추대하였다. 다만 여성 군주의 취약함에 대한 지적이 있자 12일 후 맘루크 출신 장군 이즈 앗 딘 아이바크 자샨키르 앗 살리히를 그녀의 아타베그 (섭정)으로 추대하였고, 시리아의 앗 나시르 유수프와의 대결이 다가오자 7월 31일 둘을 결혼시킨 후 아이바크를 군주로 옹립하였다. (알 말리크 알 무이즈) 카이로 저자에서 환영식을 거친 후 시타델에 입주한 아이바크는 불과 5일 후, 앗 나시르의 아이유브 왕조 복원 명분을 꺾기 위해 알 카밀의 6살 손자 알 아슈라프 무사를 술탄으로 추대하며 부인보다도 더 빠르게 퇴임하였다. 다만 실권은 여전히 아이바크의 수중에 있었다.

1250년 8월, 아이바크는 시나이 반도에 선발대를 파견했으나 와해되고 카라크의 우마르에게 투항해버렸다. 12월 말엽, 앗 나시르가 가자에 당도하자 아이바크는 이집트 내의 친아이유브 세력을 체포하고 십자군 포로들의 석방을 통해 루이 9세의 중립을 확보하였다. 1251년 2월, 카이로 동쪽 외곽에서 벌어진 압바사 전투에서 초전에 패하였으나 친히 돌격을 가하여 역전승을 거두었다. 사로잡힌 앗 나시르의 재상을 처형한 아이바크는 1252년 루이 9세와 십자군 포로 무상 석방 및 예루살렘 왕국 복원을 대가로 동맹하였다. 다만 그해 5월 추진된 연합 작전은 맘루크 장군 파리스 앗딘 아크타이와 루이 모두 시리아 군과 대치하다가 회군하며 흐지부지되었다.


2.1. 본격적인 친정[편집]


1253년 4월 칼리파 알 무스타심의 중재로 양측은 나블루스를 경계로 휴전하였고, 포로를 교환하였다. 이듬해 1월 아이바크는 휘하의 쿠투즈를 시켜 술탄 알 아슈라프의 이모와 함께 시타델에 입주한 파리스 앗딘을 암살하였고, 곧 알 아슈라프마저 퇴위시키고 술탄으로 복위하였다. 다만 파리스 앗딘 휘하의 바흐리 맘루크 부대는 바이바르스의 주도 하에 시리아로 망명하였다. 아이바크는 상이집트의 바흐리 맘루크 수장인 이즈 앗딘 알 아프람의 반란에 대처하느라 바빴지만 우유부단한 앗 나시르가 바이바르스의 설득에도 이집트 재침에 나서지 않으며 한숨을 돌렸다. 1255년에는 압바사 전투 당시 투항한 아자지야 맘루크가 앗 나시르와 내통하다 걸려 축출되었다.

동시에 십자군과 10년 휴전을 맺은 아이바크는 1256년 재차 칼리파의 중재로 앗 나시르에게 바흐리 맘루크 고용 중단을 대가로 팔레스타인과 시나이 반도를 내어주며 재차 휴전을 체결하였다. 약속대로 이듬해 바이바르스는 다마스쿠스에서 축출되어 카라크로 향하였다. 하지만 그러기 전인 1257년 4월, 아이바크는 모술의 군주 룰루의 딸과의 결혼을 앞두고 조강지처 샤자르 앗 두르의 하인들에게 암살되었다. 샤자르 역시 아이바크의 얼마 후 다른 부인에게 처단되었고, 후자가 아이바크와 낳은 15세 아들 알 만수르 알리가 술탄으로 등극하였다. 다만 알리는 1259년 11월 아이바크의 부관 출신의 쿠투즈에게 폐위되었고, 후자 역시 1년 후 살해되며 바이바르스가 집권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16:57:21에 나무위키 이즈 앗 딘 아이바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샤자르 앗-두르를 첫 술탄이라 보기에 어려움. 또한 샤자르와 아이바크 후에 아이유브 왕가가 3-4년간 복원되었기에 알 아슈라프 폐위 후 아이바크가 즉위한 것을 맘루크 조의 진정한 시작으로 보는 편이 깔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