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예찬(2005)

덤프버전 :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포르티모넨스 SC|{{{-1 포르티모넨스 SC}}}]] [[SL 포르티모넨스 SC/2023-24 시즌|{{{-1 2023-24 시즌}}}]] [[틀:포르티모넨스 SC/간략|{{{-1 스쿼드}}}]]
3 와타라 · 4 루캉 · 6 조쿠 · 7 카를리뉴스 · 8 마우리시우 · 9 이노호사
11 올리베이라 · 14 세크 · 15 곤잘레스 · 17 마토스 · 18 무피 · 19 코스타 · 20 루키냐 · 22 헬바스
23 이예찬 · 25 벤투라 · 27 클리스 · 29 가르세 · 30 김용학 · 31 마테우스
32 나카무라 코스케 · 35 로체 · 38 에스트렐라 · 42 카르도주 · 44 페드라옹 · 53 콘세이상 · 70 고메스
85 레이스 · 88 빅토르 · 93 주니오르 · 99 카리엘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울루 세르지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파일:이예찬 23-24 프로필.jpg
포르티모넨스 SC No. 23
이예찬
Lee Ye-Chan
출생2005년 5월 23일 (19세)
대한민국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86cm, 80kg
포지션센터백
소속유스신장중학교 (2018~2020)
통진고등학교(2021)
영등포공업고등학교 (2021~2023)
선수포르티모넨스 SC (2023~ )



1. 개요
2. 클럽 경력
2.1. 유소년 시절
2.2.1. 2023-24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적의 포르티모넨스 S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편집]



2.1. 유소년 시절[편집]


신장중학교에서 통진고등학교를 거쳐 영등포공업고등학교로 진학하였다. 영등포공고 재학중 포르티모넨스 SC로부터의 강한 관심을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포르티모넨스 스카우트가 한국으로 직접 넘어와 영등포공고가 우승을 거둔 제56회 대통령 금배 대회까지 지켜보았다.


2.2. 포르티모넨스 SC[편집]



2023년 9월 1일,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포르티모넨스 SC로의 이적이 확정되었다. 등번호는 박지수가 달던 23번이며 4년 계약이다.# 고등학교 졸업을 하기도 전에 해외무대로 이적을 하게 된 케이스라 23-24시즌은 포르투갈과 한국을 오간다고 한다.#

정황상 우한으로 이적한 박지수의 대체자로 보인다. 다만 주전급으로 활약했던 박지수와 달리 이예찬은 아직 어린 유망주 선수라 바로 중용이 될지는 미지수. 일단 계약 자체는 B팀이나 유스 계약이 아닌 1군 계약이고, 현재 포르티모넨스의 수비진은 리그 개막 이후 4경기 동안 11실점(...)이라는 처참한 스탯을 기록하고는 있으나 이것만으로 이제 만 18세를 갓 넘긴 어린 선수에게 바로 기회를 줄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팀 선배 박지수 역시 이적 초반에는 기회를 잡지 못하다가 조금씩 기회를 얻을 때마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주전으로 올라선 만큼 간간히 오는 기회를 잘 살리는 것이 관건이다.

기존 김용학이 있기 때문에 적응하는 데 더 수월할 전망이다.


2.2.1. 2023-24 시즌[편집]


9월 19일 U-23 소속으로 리그 5라운드에 선발 출전하며 포르투갈 데뷔전을 치렀다. 후반 41분 데뷔골을 넣으며 패배에서 구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3.1.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편집]


2023년 EOU컵에 참가하는 U-18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첫 경기 우크라이나전에 선발 출전했다. 대표팀은 4:2로 승리.

마지막 경기 베트남 전에서도 선발 출전했고 전반 45분을 소화한 뒤 교체되었다. 대표팀은 2:0으로 승리했고 대회 초대 우승팀이 되면서 첫 국가대표 소집에 우승까지 경험하게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힘과 스피드는 물론 기술까지 갖춘 차세대 수비수로 평가 받고 있다. 대인방어 능력과 수비 조율 능력까지 지녀 특히 현대축구에서 중요한 빌드업 능력이 탁월하다. 키는 1,86m로 중앙 수비 치고는 큰 편은 아니지만[1], 탁월한 점프력과 센스로 높이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대 축구에서 센터백에게 필수적인 요소인 발밑능력 또한 갖춰 기대를 받고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국 명칭영어 명칭비고
1파일:포르투갈 국기.svgDF마테우스 노게이라Matheus Nogueira
3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DF지에 우아타라Zié Ouattara
4파일:브라질 국기.svgDF루카스 아우베스Lucas Alves
5파일:브라질 국기.svgDF바그네르 레오나르도Wagner Leonardo
6파일:포르투갈 국기.svgMF엔히크 조쿠Henrique Jocú
7파일:브라질 국기.svgMF카린호스Carlinhos
8파일:브라질 국기.svgMF마우리시우Maurício
9파일:콜롬비아 국기.svgMF로베르토 이노호사Roberto Hinojoza[A]
11파일:브라질 국기.svgFW안데르송 올리베이라Anderson Oliveira
14파일:세네갈 국기.svgDF무스타파 세크Moustapha Seck
15파일:포르투갈 국기.svgMF요니 곤잘레스Yony González
17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히카르두 마토스Ricardo Matos
18파일:모로코 국기.svgDF파흐드 무피Fahd Moufi
19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곤살루 코스타Gonçalo Costa
20파일:브라질 국기.svgMF루퀸하Luquinha
21파일:포르투갈 국기.svgMF페드루 사Pedro Sá
22파일:포르투갈 국기.svgDF필리페 헤우바스Filipe Relvas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예찬Lee Ye-Chan
25파일:브라질 국기.svgMF루카스 벤투라Lucas Ventura
27파일:브라질 국기.svgMF구스타보 클리스만Gustavo Klismahn
29파일:콜롬비아 국기.svgDF카를로스 가르세스Carlos Garcés[B]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용학Kim Yong-hak
31파일:브라질 국기.svgGK마테우스Mateus
32파일:일본 국기.svgGK나카무라 코스케Kosuke Nakamura
35파일:온두라스 국기.svgFW브라이언 로체스Bryan Róchez
38파일:포르투갈 국기.svgMF파울루 에스트렐라Paulo Estrela
42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프란시스쿠 카르도주Francisco Cardoso
44파일:브라질 국기.svgDF페드라옹Pedrão
53파일:포르투갈 국기.svgDF세르지우 콘세이상Sérgio Conceição
70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루이 고메스Rui Gomes
71파일:잉글랜드 국기.svgMF데니스 아데니란Dennis Adeniran
85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브루노 레이스Bruno Reis
88파일:브라질 국기.svgGK주앙 빅토르João Victor
93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웰링턴 주니오르Welinton Júnior
99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야구 카리엘로Yago Cariello
[A] 우니온 마그달레나에서 임대[B] 데포르티보 페레이라에서 임대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1부 리그
[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No. 7
C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No. 11
손흥민황희찬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1 워드마크.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No. 19
이강인
파일:리가 포르투갈 벳클릭 로고 가로.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30
파일:GD 이스토릴 프라이아 로고.svg
No. 35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23
김용학황인택이예찬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19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13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22
오현규양현준권혁규
파일: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가로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No. 66
파일:FK 노비 파자르 로고.svg
No. 26
황인범조진호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Czech First League Logo.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 FC 슬로바츠코 로고.svg
No. 18
김승빈
2부 리그
[ 펼치기 · 접기 ]
파일:EFL 챔피언십 로고(가로형).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No. 22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No. 31
배준호황의조
파일:리그 2 워드마크.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슈투름 그라츠 로고.svg
No. 28
이도안
3부 리그
[ 펼치기 · 접기 ]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14:31:10에 나무위키 이예찬(200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같은 신장의 센터백으로 에데르 밀리탕, 다요 우파메카노, 요슈코 그바르디올 등이 있으며, 186cm 정도면 충분한 신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