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노선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이스타항공


1. 국내선
2. 국제선
2.1. 코로나 이전 노선


1. 국내선[편집]


공식적으로 이스타항공의 국내선 허브공항은 김포국제공항이나, 운항 중단 이전엔 제주국제공항이 주요 공항이었다.

2023년 3월 26일 현재 김포 - 제주 노선만 운항하고 있다. 회사가 살아나면서 점점 재운항할 노선이 늘어 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6월 12일, 기사에 의하면 8월 1일부터 청주 - 제주 노선을 재취항 예정임을 알렸다.

계획대로 2023년 8월 1일, 청주-제주 노선 운항을 재개하였다.

예정대로 2023년 10월 1일, 군산 - 제주 노선 운항을 재개하였다.

운항노선운항횟수
제주서울(김포)15~17회 / 일[1]
청주3회 / 일[2]
군산2회 / 일[3]


2. 국제선[편집]


운항 중단 이전 이스타항공의 국제선은 인천 노선과 청주 노선이 주력이었다.

드디어 2023년 9월 2일부터 국제선이 부활했다. 국제선 재개 첫 노선은 김포 - 쑹산 노선이며, 기존처럼 티웨이항공과 공동운항 관계를 지속한다. 이후부터는 인천발 국제선 노선을 순차적으로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오사카 취항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2023년 9월 20일부터 도쿄와 오사카 노선 재취항을 확정했다. 동시에 방콕 수완나품 공항과 다낭 공항 재취항도 선언하면서 국제선 무대에 본격 복귀할 예정.

2023년 9월 2일, 예정대로 김포 - 타이베이 쑹산 노선 운항을 재개하면서 국제선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2023년 9월 20일, 예정대로 인천 - 도쿄(나리타) 노선, 인천 - 오사카(간사이) 노선, 인천 - 방콕(수완나품) 노선, 인천 - 다낭 노선의 4개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출발지도착지운항 횟수
국가도시공항
서울(김포)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4]7회 / 주[5]
서울(인천)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나리타 국제공항월수금일 2회 / 일
화목토 3회 / 일 [6]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2회 / 일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후쿠오카 공항2회 / 일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1회 / 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다낭다낭 국제공항1회 / 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나트랑깜라인 국제공항1회 / 일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4회 / 주[7]
2, 3회 / 주 [8]
청주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1회 / 일[9]
제주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1회 / 일[10]


2.1. 코로나 이전 노선[편집]


출발지도착지
국가도시공항
서울(인천)
파일:일본 국기.svg

가고시마가고시마 공항
도쿄나리타 국제공항
미야자키미야자키 공항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삿포로신치토세 공항
나하나하 공항
후쿠오카후쿠오카 공항
이바라키이바라키 공항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홍콩 국제공항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화롄화롄 공항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코타키나발루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파일:베트남 국기.svg

다낭다낭 국제공항
나트랑깜라인 국제공항
푸꾸옥푸꾸옥 국제공항
파일:필리핀 국기.svg

팔라완푸에르토프린세사 국제공항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보스토크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마카오마카오 국제공항
상하이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지난지난 야오창 국제공항
정저우정저우 신정 국제공항
서울(김포)타이베이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
부산(김해)오사카오사카(간사이)
삿포로삿포로(신치토세)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코타키나발루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블라디보스토크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타이베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화롄화롄 공항
청주타이베이타이베이(타오위안)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도쿄나리타 국제공항
삿포로신치토세 공항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후쿠오카후쿠오카 공항
상하이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옌지연길 조양천 공항
선양선양 타오셴 국제공항
하얼빈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다롄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하이커우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제주타이베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마카오마카오 국제공항
홍콩홍콩 국제공항

코로나 이전 운항 노선 목록을 가져온 R694판에는 기존 운항 노선 목록 일부가 삭제되어 있다. 따라서 2019년 12월 기준으로 노선 목록을 업데이트하였다.

[1] 월수금일 제주발 김포행 17회, 화목토 제주발 김포행 16회, 김포발 제주행 15회[2] 08:35, 17:25, 21:40[3] 09:15, 16:35[4] 티웨이항공과 코드쉐어.[5] 이스타항공 주 3회, 티웨이항공 주 4회,[6] 11/20 부터 오후 왕복 1회, 새벽 1편 증편[7] 월수금일, 2023년 11월 20일부터[8] 2023년 12월 21일 ~ 2024년 1월 1일까지 연말연시 월목금일 새벽 왕복편 운항, 상세 운항 일정은 홈페이지 참조, 아직 정기편 전환은 아닌 것으로 보임.[9] 2023년 12월 20일 재취항[10] 2024년 1월 20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