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대

덤프버전 : (♥ 0)


파일:external/www.idaegu.com/01010101401.20140416.000044358.02.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59호
경주 이견대
慶州 利見臺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구비전승지
면적4,197㎡
지정연도1967년 8월 1일
제작시기통일신라 신문왕
위치



1. 개요
2. 역사
3. 외부 링크
4. 사적 제159호



1. 개요[편집]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에 있는 문무대왕릉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잡은 정자.

통일신라시대 문무왕의 아들 신문왕대에 만들어졌으며, 1967년에 사적 제159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편집]


신문왕은 아버지 문무왕을 동해바다에 장사지낸 뒤, 왜구에게서 신라를 지키는 이 되었다고 여긴 문무왕을 참배하기 위하여 문무대왕릉이 잘 보이는 바닷가 언덕 위에 이견대를 지었다. 신문왕이 용에게 아이템 만파식적을 받은 곳도 이견대이다.

지금 이견대에 존재하는 이견정(利見亭)은 당연히 신문왕 때 만든 그 건물은 아니고 1970년 발굴로 건물지를 확인한 후 안압지 등에서 확인한 신라의 건축양식을 추정해서 1979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원래 역할이 전망대이니만큼 여기서 내려다보는 바닷가 풍경이 꽤 괜찮다.

다만 이견대의 원래 위치는 이곳이 아니라 좀 더 위쪽[1]이었고, 현재 알려진 이견대는 조선 시대에 역원이 있던 자리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관련 기사

2020년 경주시는 문무대왕릉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발표했는데 문무대왕릉-이견대-감은사지 간에 보행자 탐방로를 설치하고, 이견대에는 해양역사문화관을 만든다고 한다.#


3. 외부 링크[편집]




4. 사적 제159호[편집]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수중릉인 대왕암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31대 왕인 신문왕이 681년에 세웠다.

신문왕은 해변에 감은사라는 절을 짓고, 용이 된 아버지가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법당 밑에 동해를 향하여 구멍을 하나 뚫어 두었다. 그 뒤에 용이 나타난 곳을 이견대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이견대에서 신문왕이 용으로부터 세상을 구하고 평화롭게 할 수 있는 옥대와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하나 받았다고도 한다. 이견대라는 이름은 신문왕이 바다에 나타난 용을 보고 나라에 크게 이익이 있었다는 뜻을 포함한 말인데, 『주역』의 ‘비룡재천 이견대인(飛龍在天 利見大人)’이란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발굴조사 때 건물이 있던 자리가 발견됨으로써 신라의 건축양식을 추정하여 오늘날 새롭게 다시 지었다.

※(이견대 → 경주 이견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2:58:08에 나무위키 이견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의 이견대에서 조금만 더 위로 올라가면 예전 대본초등학교(2010년 폐교되어 감포초등학교와 통합됨)가 있었던 경주치즈마을이 나오는데 그 뒷산으로 5분 정도 올라가면 400~500 m쯤 되는 넓은 공간에서 신라 시대의 기와 조각과 함께 축성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