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진살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사주팔자에서의 신살 중 서로 가까워지면 미워하게 되는 살을 원진살이라고 한다.


2. 상세[편집]


元辰殺이라고 쓰기도 한다.
서로 원망하고 화내게 되는 살. 궁합에서 이게 끼면 늘 싸우고 다툰다는 뜻이므로 안 좋게 본다. 경우에 따라서는 글자 자체는 서로 원진이라도 그 속에 숨어있는 지장간들이 서로 합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예를 들어 자미원진은 자의 글자에 임이 들어있고 미의 글자에는 정이 들어 있어 이 두 글자의 지장간인 정,임이 서로 합이 된다) 애증관계가 되는 경우가 많다. 가까이 있으면 싫고 멀리 있으면 그리운 관계라고 흔히 일컬어진다. 배치법은 다음과 같다.
지지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원진미(未)오(午)유(酉)신(申)해(亥)술(戌)축(丑)자(子)묘(卯)인(寅)사(巳)진(辰)
배치원리는 해당 지지를 충하는 글자에서 양의 지지는 한 칸 다음 지지가 원진살이 되며, 음의 지지는 한 칸 뒤의 지지가 원진살이 된다. 예를 들어서 인목(寅木)은 신금(申金)과 충을 하는데, 인목은 양의 지지이므로 신금 다음의 유금(酉金)과 원진 관계가 되며, 묘목(卯木)은 유금(酉金)과 충을 하는데, 묘목은 음의 지지이므로 유금 앞의 신금(申金)과 원진 관계가 된다. 각 원진이 되는 지지끼리 짝을 지어서 흔히 자미원진(子未元辰), 축오원진(丑午元辰), 인유원진(寅酉元辰), 묘신원진(卯申元辰), 진해원진(辰亥元辰), 사술원진(巳戌元辰)이라 부른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9:44:48에 나무위키 원진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