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정 드래곤(유희왕)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2. 설명[편집]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편집]


파일:FairyDragon-DM2-JP-VG.png

한글판 명칭요정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フェアリー・ドラゴン
영어판 명칭Fairy Dragon
일반 몬스터
레벨소환마족종족공격력수비력
4백마족드래곤족11001200
요정 중에서는 의외로 강한, 아주 아름다운 드래곤 요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꼬마용팔레트 스왑 버전.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airyDragon-TP02-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요정 드래곤,
일어판 명칭=フェアリー・ドラゴン,
영어판 명칭=Fairy Dragon,
레벨=4,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100, 수비력=1200,
효과외1=요정 중에서는 의외로 강한\, 아주 아름다운 드래곤 요정.)]

아쿠아 드래곤카이저 드래곤의 융합 소재가 되는 몬스터.

능력치 자체는 사파이어 드래곤의 완벽한 하위호환으로, 의외로 강하다는 플레이버 텍스트에 맞지 않게 레벨 4 치고는 도저히 전투로 내세울 수 있는 수준이 못 된다. 사실상 융합 소재로서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는 점으로 차별화하는 것이 좋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2화에서는 고대 이집트의 회상 장면에서 이름없는 파라오 측 신관이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카이저 드래곤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35화에서는 듀얼 아카데미아의 옛 우물에 버려져 있던 카드들 중 하나로 나오며, 다른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만죠메 쥰이 주워갔다. 이런 인연인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만죠메의 초기 덱에 3장 투입되어 있는 것으로 나온다.

수록 시리즈
1999-08-26 |
파일:일본 국기.svg

- | Booster 4
N
노멀

2007-07-01 |
파일:일본 국기.svg

TP02-JP003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2
N
노멀

2007-05-15 |
파일:미국 국기.svg

CP03-EN012 | CHAMPION PACK GAME THREE
N
노멀

2008-09-0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P02-KR003 | 토너먼트 팩 2008 Vol.2
N
노멀



2.3. 유희왕 러시 듀얼[편집]


파일:フェアリー・ドラゴン(B224).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요정 드래곤 (미발매),
일어판 명칭=フェアリー・ドラゴン,
영어판 명칭=Fairy Dragon (미발매),
레벨=4,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100, 수비력=1200,
효과외=요정 중에서는 의외로 강한\, 아주 아름다운 드래곤 요정.)]

수록 시리즈
2023-01-01 |
파일:일본 국기.svg

RD/B224-JP008 | バトルパック2022 Vol.4
N
노멀

2023-09-30 |
파일:일본 국기.svg

RD/SD0A-JP01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N
노멀



3. 관련 카드[편집]



3.1. 아쿠아 드래곤[편집]


요정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3.2. 카이저 드래곤[편집]


요정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2.


3.3. 꼬마용[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1:21:35에 나무위키 요정 드래곤(유희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