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 자이언츠/선수단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모기업 관련 정보모기업 파일:요미우리 신문 로고.svg 요미우리 신문
일본시리즈 우승
★★★★★★★★★★
★★★★★★★★★★
★★
1951 · 1952 · 1953 · 1955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81 · 1989 · 1994 · 2000 · 2002 · 2009 · 2012
리그 우승
(47회)
1936 추계 · 1937 춘계 · 1938 추계 ·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1949 · 1951 · 1952 · 1953 · 1955
1956 · 1957 · 1958 · 1959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76 · 1977 · 1981 · 1983 · 1987 · 1989 · 1990 · 1994 · 1996 · 2000 · 2002 · 2007 · 2008 · 2009 · 2012
2013 · 2014 · 2019 · 2020
클라이맥스 시리즈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8 · 2019 · 2021
시즌별 요약2011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현역 선수 경력사카모토 하야토/선수 경력 · 토고 쇼세이/선수 경력 · 마루 요시히로/선수 경력
경기장1군 도쿄 돔 · 2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 · 지방 홈구장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 과거 고라쿠엔 스타디움
홈 중계 채널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 닛폰 테레비
주요 인물감독 아베 신노스케 · 선수회장 스가노 토모유키 · 주장 오카모토 카즈마
구단 상세 정보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과거 응원가 · 유니폼 · 순혈주의 · 전통의 일전 · 10.8 결전 · 도쿄 시리즈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틀 문서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1. 개요
2. 감독 및 코칭스태프
3. 투수 엔트리
4. 포수 엔트리
5. 내야수 엔트리
6. 외야수 엔트리



1. 개요[편집]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재적 중인 선수들과 코칭스태프를 정리한 문서.

역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OB 선수들은 본 문서가 아닌 요미우리 자이언츠/역대 선수 항목에서 정리한다.


2. 감독 및 코칭스태프[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f49c00> 감독 || 83 아베 신노스케 ||
||<bgcolor=#f49c00> 1군 || 76 니오카 토모히로(헤드코치 겸 타격수석코치) · 74 무라타 요시노리(종합코치) · 81 스기우치 토시야(수석투수코치)
77 우츠미 테츠야(투수코치) · 78 카와이 마사히로(내야수비코치) · 79 카메이 요시유키(외야수비·주루코치)
88 사네마츠 카즈나리(배터리코치) · # 아나부키 이쿠오(트레이닝코치) ||
||<bgcolor=#f49c00> 2군 || 73 쿠와타 마스미(2군 감독) · 75 안도 츠요시(헤드코치) · 71 야마구치 테츠야(수석투수코치) · 72 오타케 켄(투수코치)
85 와키야 료타(내야수비·주루코치) · 82 스즈키 타카히로(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하시모토 이타루(타격코치) · 89 카토 켄(배터리코치)
# 이시모리 타카시(트레이닝코치) ||
||<bgcolor=#f49c00> 3군 || 70 코마다 노리히로(3군 감독) · 86 후루키 시게유키(타격코치) · 100 미사와 코이치(수석투수코치)
104 노가미 료마(투수코치) · 105 요시카와 다이키(내야수비코치) · 103 킨죠 타츠히코(외야수비·주루코치)
102 이치카와 토모야(배터리코치) · # 존 터니(트레이닝코치) ||
||<bgcolor=#f49c00> 순회 || 84 쿠보 야스오(순회투수코치) · 110 젤러스 휠러(순회타격코치) ||
||<-2><bgcolor=#000000,#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현 로스터(2023년 기준)

1군

2군

3군
순회코치


3. 투수 엔트리[편집]



||
[ 펼치기 · 접기 ]



4. 포수 엔트리[편집]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포수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2 코바야시 세이지 · 24 오시로 타쿠미 · 27 키시다 유키노리 · 67 야마세 신노스케 · 94 키타 류스케 ||
||<bgcolor=#000000,#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5. 내야수 엔트리[편집]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내야수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00 유아사 다이 · 0 마스다 다이키 · 2 요시카와 나오키 · 5 카도와키 마코토 · 6 사카모토 하야토 · 25 오카모토 카즈마 · 35 이즈구치 유타
37 와카바야시 아키히로 · 40 나카야마 라이토 · 55 아키히로 유토 · 60 키쿠타 히로카즈 · 61 마스다 리쿠 ||
||<bgcolor=#000000,#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6. 외야수 엔트리[편집]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외야수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7 초노 히사요시 · 8 마루 요시히로 · 12 하기오 마사야 · 13 카지타니 타카유키 · 38 오카다 유키 · 43 시게노부 신노스케 · 44 사사키 슌스케
50 오코에 루이 · 51 아사노 쇼고 · 59 마츠바라 세이야 ||
||<bgcolor=#ffffff,#191919> ||
||<bgcolor=#000000,#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1] 기요하라 가즈히로 파벌의 일원으로 오다 코헤이를 괴롭히다기 05시즌 직후 방출되면서 그대로 은퇴해버렸다. 이들 둘의 빈자리를 매꾼 선수가 33-4의 주역들인 고사카 마코토이승엽.[2] 아베 신노스케의 백업포수 출신. 2012년 일본시리즈때 신들린 연기(?)로 헤드샷에 맞은척 고통을 호소하며(물론 진짜로는 안맞았다.) 투수였던 타다노 카즈히토를 퇴장시킨적이 있다.[트레이드] 현재 치바 롯데 마린즈.[3] 요미우리의 프랜차이즈 스타.[4] 97년생 신예거포. 2019년까진 유망주에만 그치며 가능성을 보였으나 2020년 이후 3루수에 정착하더니 공수 모두 포텐이 제대로 터져 홈런왕과 타졈왕을 수싱했다. 사카모토가 2022년에 또 한번 불명예스러운 스캔들에 휘말리고 성적도 하락을 겪으면서 주장을 내려놓게 되어 2023년부터 주장을 맡게 되었다.[5] 출루율은 비록 .306으로 낮았지만 평균 타율이 .240-.250 정도밖에 안되는 NPB다 보니 준수한 타율과 .244라는 어마어마한 순장타율 덕분에 타격에서는 팀의 주축이 될 수 있었다.[6] 또한 2022년 NPB 신규입단 타자용병 중 워커랑 라이언 맥브룸(히로시마)를 제외하면 전부 폭망한 것도 컸다.(그나마 괜찮은 성적을 낸 그레고리 폴랑코는 몸값이 너무 비싸서 성적은 그냥저냥 봐 줄 만했지만 빼박 먹튀.) 정작 육성선수 용병을 제외하곤 워커보다 염가로 뛴 타자용병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문서의 r69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요미우리 자이언츠 문서의 r6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1:21:40에 나무위키 요미우리 자이언츠/선수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