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 토우사이킹

덤프버전 : r20160829 (♥ 0)


http://www.tv-asahi.co.jp/zyuoh/zyuohking/img/wildtosaiking.png

3! 4! 9! 5! 2! 7! 8! 6! 1! 와일드 토우사이킹~~


1. 소개
2. 상세
2.1. 기본 스펙
2.2. 무장 및 필살기
3. 바리에이션
4. 완구
4.1. DX
4.2. 미니프라
5. 기타


1. 소개[편집]


동물전대 쥬오우저의 슈퍼 합체 2호 메카.

쥬오우킹, 쥬오우 와일드, 토우사이쥬오, 큐브 키린, 큐브 모구라, 큐브 쿠마, 큐브 코모리가 합체하여 탄생한 쥬오우저 거대 메카.

합체 기믹은 토우사이쥬오로 합체할 때 처럼 기본적인 동체로 변형한 큐브 라이노스를 중심으로 큐브 이글과 큐브 고릴라를 연결해 상체의 빈 부분을 채우며 큐브 라이노스의 뿔 부분이 머리가 되고 나머지 쥬오우 큐브들이 팔, 다리 및 파츠를 구성한다.


2. 상세[편집]



2.1. 기본 스펙[편집]


전체 높이 : 72.0m
중량 : 8800t
전체 폭 : 61.0m
스피드 : 600km/h
흉부 : 28.5m
파워 : 7300만 마력

형태상체백팩몸통, 머리오른팔왼팔다리강화합체(변형)
슈퍼 합체큐브 이글큐브 고릴라큐브 라이노스큐브 타이거(어깨)
큐브 크로커다일(팔)
큐브 샤크(어깨)
큐브 울프(팔)
큐브 라이온
큐브 엘리펀트
큐브 키린
큐브 모구라
큐브 쿠마
큐브 코모리
와일드 토우사이킹

ワイルドトウサイキング / WILD TOUSAI KING

22화에 등장. 큐브 이글, 샤크, 라이온, 엘리펀트, 타이거, 고릴라, 크로커다일, 울프, 라이노스, 키린, 모구라, 쿠마, 코모리의 쥬오우 큐브 13대가 동물대합체한 거대 로봇. 하이텐션을 내뿜으며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스트라이커이다.

합체 아이디어는 아무의 격려(?)[1]를 받아 기합이 하이텐션 상태인 몬도 미사오가 "얘네 전부 합체시켜 보자"해서 시작된 것이다. 처음엔 큐브 라이노스에다가 큐브를 적재하는 식으로 시작해서 라이노스의 이마에 무장 큐브를 얹질 않나 라이노스를 수직으로 세우질 않나 라이노스의 짐칸 2에 1~8번 큐브를 죄다 쌓질 않나큐브 라이노스 : 왜 나만... 온갖 개그를 하다가, 결국 미사오가 큐브를 전부 뺏어서 저글링을 하다 합체 배열을 완성하고 그대로 합체시켜 성공한다.


2.2. 무장 및 필살기[편집]


  • 주 무장
- 빅 킹 소드 : 쥬오우킹의 주축이 되는 유닛. 큐브 크로커다일(오른팔)에 장착한다.
- 빅 와일드 캐논 : 쥬오우 와일드의 주축이 되는 유닛. 큐브 울프(왼팔)에 장착한다.

  • 필살기
- 쥬오우 다이렉트 스트레이트 : 에너지를 충전한 빅 킹 소드를 내질러 적을 꿰뚫는 관통계 필살기.
- 쥬오우 다이렉트 샷 : 빅 와일드 캐논에 에너지를 충전해 발사하는 포격계 필살기.
- 콘도르 쥬오우 인피니티 - 극장판 동물전대 쥬오우저 두근두근 서커스 패닉 후반에 등장하는 극장판 한정 필살기로, 큐브 콘도르를 검 형태로 무장하여 쓰는 필살기로 나온다.

3. 바리에이션[편집]



3.1. 궁극 합체[편집]



3.1.1. 와일드 토우사이도데카킹[편집]


쥬오우킹, 쥬오우 와일드, 토우사이쥬오, 도데카이오, 큐브 웨폰 4종(키린 + 모구라 + 쿠마 + 코모리)과 합체한 형태.


4. 완구[편집]



4.1. DX[편집]


전 단계인 와일드 쥬오우킹이 가져온 충격과 공포의 프로포션이 토우사이쥬오를 주축으로 합체하면서 비로소 안정되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양 손의 큐브 크로커다일과 큐브 울프의 압박적인 크기가 충격적.

상세스펙 문단에도 기재되어 있듯 공식 디자인을 큐브들이 일관성 또는 법칙을 띄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큐브들의 규격이 일정하고 호환성이 자유로워 공식합체 외에도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2]


4.2. 미니프라[편집]


공식적으론 2016년 8월 발매되는 미니프라 4탄까지 모아야 완전구현이 가능하며, 3탄까지 발매된 7월 현재 완전구현은 불가하다. 다만 완전구현을 위해 필요한 부속품이 큐브 코우모리와 큐브 쿠마 같은 큐브 무장, 그리고 미니프라 1탄에서 가동을 위해 프로포션을 희생했던 빅 킹소드를 원래 프로포션으로 구현하는 부품 정도라, 딱히 4탄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거의 전체적인 형상 구현이 가능하다.

파일:mnprwidtusik.png

전체적인 프로포션은 DX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큐브 이글의 팔이 쥬오우 킹의 프로포션을 살리기 위해 다른 큐브들 보다 조금 더 튀어 나오도록 설계되었다 보니, 상체의 횡단면이 평면에 가까운 DX와는 달리 흉부의 큐브 이글이 약간 튀어나온다. 또한, 다리가 가동 되면서 DX에선 검은 공간으로 메워놓았던 양 다리 사이에 빈 공간이 생김에 따라 하체가 DX에 비해 다소 빈약해 보인다.

쥬오우 킹, 쥬오우 와일드, 토우사이쥬오가 그러했듯 이번에도 DX에선 붙박이인 다리가 미니프라에선 가동 가능하며[3], 목도 4군데에 결속시켜 가동 자체가 불가한 DX와는 달리 뒤쪽 2군데만 고정시키므로 등에 장착되는 큐브고릴라를 움직이는 것으로 좌우 60도 정도 가동이 가능하다. 일본 현지의 리뷰어들은 가동도 가동이지만 엄청난 볼륨감과 중량감에 주목,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또한 DX와 마찬가지로 큐브를 여러 위치에 자유로이 배치할 수 있어, 공식적인 모습 외에도 다양한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다리가 개별 가동 되기에 다리에 큐브를 1, 2단씩 더 쌓아도 프로포션에 위화감이 없는 것은 미니프라의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다만 1,2탄에서도 그러하였듯 붙박이인 다리가 개별가동은 되었으나 양 다리 안쪽이 텅 빈 데다, 발 아래에 3번, 4번 큐브가 하나씩 붙으면서 토우사이쥬오의 발목관절이 이 무게를 버티지 못해 다소 잘 빠지는 경향이 있다.



5. 기타[편집]


4월에 공개된 신 완구 카테고리에서 DX 웨일 체인지 건에 큐브 웨일과 합체한 최종합체 실루엣이 대략 공개되었다!

역대 전대 시리즈 로봇 중 최초로 신전사의 메카가 주축이 되는 슈퍼 합체이다.[4]

합체 한 기본 형상을 보면 쥬오우저의 기본 큐브 1-2-3-4-5-6은 숫자가 정면을 바라보며, 추가전사인 쥬오우 더 월드의 큐브들은 숫자가 아래를 보거나 뒤집혀 있다. 또한 팔/다리/어깨를 구성하는 6개의 큐브를 보면 홀수 큐브는 모두 오른쪽으로, 짝수 큐브는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큐브의 배치가 일관성을 가지고 있어, 이 점에서 무슨 떡밥이 있는것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중반부 합체가 2에피소드 편으로 등장하지 않는게 엔진오 G9, 그랜드 고세이그레이트, 호수 고카이오, 그레이트 고버스터, 패왕 슈리켄진과 동일하다.


[1] 사실은 미사오의 팔랑귀 속성을 이용한 것이다...[2] 영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일본의 리뷰어 쇼카이저는 발이 보다 발 처럼 보이도록 다리의 큐브를 반대로 돌려 쥬오우킹/쥬오우 와일드의 다리가 보이도록 하거나, 큐브 이글을 반전시켜 독수리 머리가 앞으로 나오게 하거나, 큐브 라이온을 위에 올려 사자얼굴이 보이게 하는 등(...) 다양한 놀이 방법을 보여주었다. 어떻게 생각하면 고카이오의 머신 기믹이나 슈리켄진의 가마 기믹과 비슷하다.[3] 다만 토우사이쥬오와 달리 가동범위는 45도 정도로 그리 크게 넓진 않은데 그 이유는 바로 다리 옆에 붙는 무장 큐브들이 서로 간섭해 가동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이다.[4] 합체시 나오는 포효소리도 더 월드의 것을 따르고 합체 완료 음성 기믹 억양도 토우사이쥬오와 유사한 등(기존 쥬오우저 5인의 기체와 더 월드의 기체는 음성기믹 억양이 약간 다르다.) 기본적으로 토우사이쥬오를 주축으로 한다는 느낌이 강하다. 완구상으로도 쥬오우 체인저는 와일드 토우사이킹 합체기믹이 없는 반면(7~9번 숫자가 공백), 쥬오우 더 라이트는 와일드 토우사이킹 합체기믹이 존재하는 등 이를 신경쓴 듯한 부분이 있다. 게다가 본편에서도 미사오가 쥬오우 더 라이트로 합체를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