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현경(1970)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남배우에 대한 내용은 오현경(1936) 문서
오현경(1936)번 문단을
오현경(1936)#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현경의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미스코리아
김성령
(1988년)
오현경
(1989년)
서정민
(1990년)

미스코리아 서울
강주현, 김성령, 김정애, 김혜리, 박수현, 양현정
(1988년)
고현정, 남궁옥, 박은경, 오현경, 이재경, 장경숙, 채경진
(1989년)
김태화, 김현숙, 서정민, 양정아, 윤제선, 이승은, 이종희
(1990년)

미스 유니버스 코리아
김성령
(1989년)
오현경
(1999년)
서정민
(1991년)

파일:Miss Korea logo (liner).png
1989 미스코리아 당선자
태평양엘칸토국제페리실버벨한국일보
파일:1989 미스코리아 진 오현경.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선 고현정.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미 이윤영.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태평양 신소금.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엘칸토 채경진.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국제페리 조애선.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실버벨 김미진.jpg파일:1989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정영희.jpg
오현경고현정이윤영신소금채경진조애선김미진장영희



오현경
吳賢慶 | Oh Hyunkyung
출생1970년 3월 25일 (54세)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70㎝, A형
가족딸 홍채령(2003년생)
학력서울여의도초등학교 (졸업)
장충여자중학교 (졸업)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 졸업)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 89 /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 / 석사)
종교개신교[1]
소속사고스트 스튜디오
데뷔1988년 KBS1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MBTIISFJ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활동
3. 가족
4. 출연 작품
4.1. 드라마
4.2. 예능/교양
4.3. 라디오
4.4. 내레이션
4.5. 영화
5. 경력
6. 수상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미스코리아 출신 배우.


2. 활동[편집]


1988년 KBS1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로 데뷔하였다.기사 1989년, 단국대학교 연극영화과 1학년 재학 중에 제33회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진(眞)'(참가번호 2번)으로 선발되었다. 이때 '선(善)'(참가번호 34번)이 고현정이다.

90년대 당시에는 젝스키스, 핑클로 유명했던 대성기획(현 DSP) 소속이었다. 이호연 사장이 발굴했다고 한다.###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CF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던 중 1998년 전 남자 친구와의 사생활을 담은 비디오[2]가 유출되어 활동을 중단하였다.[3] 이후 미국에 체류하다 2002년 강제규 감독의 권유로 영화 <블루>, <야다> 등의 출연을 조심스럽게 고려했으나, 시기상조라는 판단으로 연예계 복귀를 미룬 바 있다. 기사

2007년SBS 주말 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에 출연하면서 비디오 유출 사건 이후 10년 만에 연예계 활동을 재개하였다. 데뷔 초부터 인연을 맺어왔던 문영남 작가의 적극적인 설득으로 인해 복귀하였으며, 이후에도 문영남에 대한 감사함을 자주 표현하였다. 복귀작인 <조강지처 클럽>은 주간 시청률 1위를 놓치지 않았으며, 시청률 40%를 돌파하여 대성공을 거두었고, 오현경은 이 작품으로 2008년에 SBS 연기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복귀에 성공한다.

이후 <지붕뚫고 하이킥>(2009년), <대풍수>(2012년), <우와한 녀>(2012년), <왕가네 식구들>(2013년), <전설의 마녀>(2014년),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등 다수의 드라마, 시트콤에 주조연급으로 출연하면서 10년 공백을 딛고 주조연급 연기자로 재기하였다. 특히, 2013년 시청률이 50%에 육박했던 KBS2 주말연속극 <왕가네 식구들>에서는 왕가네 장녀 '왕수박' 역을 맡아 전국민적인 어그로를 끌어 화제를 모았다. 여기서 나온 유행어가 바로 "나 미스코리아 나갔던 여자야"인데, 미스코리아 의 위엄이다. 다만 극 중에선 예선에서 떨어진 것으로 나온다. 문영남 작가와 잘 맞는 듯. 모란봉클럽에서 MC를 맡은 몇년 동안에는 매주 방송분이 수차례나 재방송도 되면서 TV에서 거의 매일 얼굴을 볼 수 있는 연예인이었다. 2021년 문영남 작가의 주말 드라마 오케이 광자매에 출연하지 않았지만, 후속작인 김사경 작가의 신사와 아가씨에 출연했다.


3. 가족[편집]


부모님과 남동생이 있는데, 아버지는 평소 앓고 있던 협심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오현경의 인터뷰에 따르면, 평소 낚시를 좋아하셨는데, 그 날도 낚시를 갔다가 갑자기 심장마비를 일으켜 돌아가셨다고 한다. 사망하기 1시간 전까지도 건강한 목소리로 통화를 했는데 이 때문에 아버지의 죽음을 더욱 받아들이기 힘들었다고 하며, 특히 생전 부부사이가 좋았던 어머니의 충격이 굉장히 컸다고... 남동생은 2001년 결혼했다.

출판업체 계몽사의 회장인 홍승표와 2002년 결혼했고, 이듬 해인 2003년 10월 30일 딸 홍채령 양을 출산했다.[4] 그러나 결혼 4년만인 2006년 7월, 홍승표와 합의 이혼했다. 당시 홍승표가 구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옥중에서 합의이혼 절차를 거쳤으며, 친권과 양육권은 오현경이 가지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 후 딸과 함께 출국해 잠시 미국에서 생활하다가, 연예계 활동을 재개하면서 한국으로 귀국했다.

홍채령은 2019년부터 인스타그램틱톡으로 통해 라이브 방송을 하며 SNS 인플루언서가 되었고, 임창정의 <이월>을 작사하기도 했다. 원래 투포환 선수를 지망하다가 배우로 꿈을 바꿨으며, 독학으로 연기 공부를 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현재는 미국 보스턴에 있는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4. 출연 작품[편집]



4.1.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비고
1988년~1991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사랑이 꽃피는 나무
1989년~1990년당추동 사람들태권도사범 아셔더
1990년~1991년야망의 세월박형숙
1992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분노의 왕국이복남
1992년~1993년억새 바람제니
1993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들국화은경
1993년~1994년파일:SBS 로고(1991-1994).svg여자의 거울서경애
1994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목소리를 낮춰요
이 남자가 사는 법장수미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폴리스송채연
파일:MBC 로고(1986-2005).svg아들의 여자박지숙
1995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바람은 불어도
파일:SBS 로고(1994-2000).svg야망의 불꽃박부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남자 만들기영애
1996년컬러 <옐로>주홍미
머나먼 나라장상희
파일:MBC 로고(1986-2005).svg화려한 휴가이한나
파일:EBS 로고(1995-2001).svg까치 까치 설날은국길란
1996년~1997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머나먼 나라장상희
1997년폭풍 속으로은주
파일:MBC 로고(1986-2005).svg불꽃놀이재희
1997년~1998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세 여자문정
파일:SBS 로고(1994-2000).svg
파일:현대방송 로고.svg
사랑하니까어지나[5]
2007년~2008년파일:SBS 로고.svg조강지처 클럽나화신
2009년파일:tvN 로고(2008-2012).svg미세스 타운 - 남편이 죽었다서홍주[6]
2009년~2010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지붕뚫고 하이킥이현경
2010년~2011년글로리아나진주
2011년파일:SBS 로고.svg미쓰 아줌마강금화
파일:tvN 로고(2008-2012).svg버디버디민세화
파일:SBS 로고.svg보스를 지켜라장 비서의 맞선녀특별출연
2012년~2013년대풍수수련개
2013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우와한 녀조아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상어유선영
2013년~2014년왕가네 식구들왕수박
2014년파일:SBS 로고.svg엄마의 선택진소영
2014년~2015년파일:MBC 로고.svg전설의 마녀손풍금
2015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울지 않는 새천미자
2016년파일:SBS 로고.svg미녀 공심이주재분
2016년~2017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월계수 양복점 신사들이동숙
2018년라디오 로맨스남주하
2018년~2019년파일:MBC 로고.svg신과의 약속김재희
2019년파일:KBS 2TV 로고.svg왜그래 풍상씨친구특별출연
2020년파일:카카오TV 로고 옐로우.svg아만자엄마
2020년~2021년파일:TV CHOSUN 로고.svg어쩌다 가족오현경
2021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간 떨어지는 동거이담, 이단의 엄마특별출연
너는 나의 봄문미란
2021년~2022년파일:KBS 2TV 로고.svg신사와 아가씨차연실
2022년파일:JTBC 로고.svg디 엠파이어: 법의 제국이애헌
2023년파일:tvN 로고.svg반짝이는 워터멜론신하영[7]특별출연


4.2. 예능/교양[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비고
1990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가족오락관게스트
1995년파일:현대방송 로고.svg스타 한마당 우리는 맞수MC
1996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토요미스테리 극장
파일:현대방송 로고.svg도전! 남자 중의 남자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슈퍼선데이 - 오현경의 여인극장
1997년파일:GTV.png시선 집중 패션 자키MC
파일:MBC 로고(1986-2005).svg퀴즈 영화탐험
2011년파일:tvN 로고(2008-2012).svg뮤직토크쇼 러브송
2013년파일:JTBC 로고.svg미스코리아 비밀의 화원
파일:KBS Story 로고.svg버킷리스트
2014년파일:JTBC 로고.svg유자식 상팔자
파일:SBS 로고.svg힐링캠프게스트
2015년런닝맨
파일:JTBC 로고.svg크라임씬2
2017년아는 형님
냉장고를 부탁해
파일:TV CHOSUN 로고.svg모란봉클럽MC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배틀 트립게스트
파일:MBC 로고.svg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2018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블루라이팅 페스티벌 2018
파일:JTBC 로고.svg별다방
별다방 시즌 2
2019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인생술집
파일:SBS 로고.svg불타는 청춘
파일:KBS 2TV 로고.svg해피투게더 시즌 4
2020년옥탑방의 문제아들
파일:MBN 로고.svg우리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3 - 뜻밖의 커플
2021년파일:MBC 로고.svg라디오 스타
2022년얼음과 돌의 노래 컬링 퀸즈
라디오 스타


4.3. 라디오[편집]


  • 1993년 MBC FM《FM은 내 친구》... DJ
  • 1994년 EBS FM《EBS FM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낭독자


4.4. 내레이션[편집]


  • 《희망 다큐 무지개》(SBS)


4.5.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2015년스물강동우 모우정출연
2016년연기의 중력오현경
2023년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오사장


5. 경력[편집]


  • 1998년 공주영상대학[8] 겸임교수
  • 2003년 JY골프 대표
  • 2003년 휴먼컴 이사


6.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명수상 부문작품
1989년제33회 미스코리아
1990년KBS 연기대상신인상야망의 세월
2008년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탤런트부분 우수상조강지처 클럽
SBS 연기대상연속극 부문 여자 연기상
10대 스타상
2014년특집, 단막특집극부문 특별연기상엄마의 선택
2015년MBC 연기대상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전설의 마녀


7. 여담[편집]



  • 실물이 정말 예쁘기로 유명하다. 런닝맨에 게스트로 출연했을 당시에 유재석이 "누나 정말 예쁘다~"라고 감탄했으며, 각종 커뮤니티에서 오현경의 실물을 본 사람들의 칭찬 댓글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 양손잡이다. 라디오 스타 710회에서 양손잡이라고 직접 말한 바가 있다.

  • 리즈 시절인 1990년대 중반에 때문에 고생해서 악관절 수술을 받은 적이 있고, 때문에 복귀 후에도 대사 처리가 잘 안돼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

  • 미스코리아 진 출신답게 외모가 상당히 동안이다. 거기에 슬하에 20세의 딸이 하나 있는데, 딸도 어머니의 유전자를 물려받았는지 미모가 범상치 않다. 실제 본인이 MC로 출연했던 유자식 상팔자에서 사진을 보여줬는데, 큰 키에 범상치 않은 미모를 자랑했다. 2023년 기준 54세의 나이이지만, 딸과 같이 있으면 모녀가 아닌 자매로 보일 지경. 음악적 재능도 있어서 임창정과 같이 음악작업도 했다.

  • 동명의 남배우인 오현경(1936)이 있어서 혼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두 사람이 인사차 직접 만난 적이 있는데, 이 때 오현경(1970)이 개명할 필요가 있는지 조언을 구하자,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해줬단다.

  • 공백기에 계몽사 회장인 홍승표[9]와 결혼하여 슬하에 외동딸을 두었으나, 홍 회장의 주가조작 혐의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결혼생활이 어려웠고, 결국 4년만에 이혼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2:04:40에 나무위키 오현경(197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CBS '어른성경학교'에서 자신이 모태신앙임을 밝혔다. 다만, 2007년 컴백 당시 기자회견 인터뷰에서 신앙을 시작했다는 언급을 한 것으로 보아, 한동안 냉담기였던 적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 일명 O양비디오. 90년대 후반에 PC통신한 사람들은 대부분 알것이다.[3] 전 남자 친구였던 함성욱 측이 가지고 있다가 분실하여 유포된 영상인데, 이 일로 오현경은 엄청난 타격을 받았지만, 어이없게도 듣보잡이던 함성욱은 이 사건을 발판삼아 에세이 책까지 내고, 성인방송에 출연하는 등 활동을 지속했다. 함성욱은 1963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 경신고를 졸업한 뒤, 83년 모델라인 1기 과정을 이수했고, 1980년대 중반부터 이태원과 강남 일대의 나이트클럽에서 톱 DJ로 군림해 왔다. 패션모델을 거쳐, CF 모델과 영화 배우로도 활약. 1993년에는 `영웅들의 날갯짓'이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을 맡았고, 한때 영화 기획을 하는 등 폭넓은 활동을 했다. 1994년 이후에는 그리 잦은 활동을 보이지 않았지만, 특유의 남성미로 지명도를 유지했고, 수많은 여자 연예인들과 염문설을 뿌려왔다. 1997년 서울 압구정동에서 단란주점을 경영하는 등 사업에도 손을 댔다가 영국 이주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해당 사건으로 인해 국내에 머물고 있다. 함씨는 이후의 인터뷰에서 "1989년 고교를 졸업한 갓 스무살의 오현경을 만났고 비디오를 찍은 것은 1990년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4] 당시에는 오현경이 연예계 활동을 쉬고 있었기 때문에 결혼식은 언론에 알리지 않고 조용히 치뤘으며, 딸을 출산했을 때도 언론을 통해 짧게 인터뷰만 했다.[5] HBS에서는 주말드라마로, SBS에서는 월화드라마로 시차를 두어 방송했다.[6] 지상파 외 드라마로는 HBS "사랑하니까" 이후로 12년만에 출연했다.[7] 최세경의 모[8] 現 한국영상대학교[9] 고교 때 미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10여년 간 사업하다 1997년 귀국 후, 2001년 '콩코드캐피탈아시아'를 세워, 한때 M&A로 귀재로 불린 인물. MBC 드라마 <호텔리어> 주인공 신동혁의 모델로 알려졌다. 2003년 독립제작사 휴먼컴도 인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