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카야마현 제4구

덤프버전 :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카야마현 제4구
岡山県第4区
||
파일:shuinsen_Okayama4.svg
선거인 수381,828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카야마현
하위 행정구역쿠라시키시(북서부 제외), 츠쿠보군
국회의원

하시모토 가쿠




1. 개요[편집]


오카야마현쿠라시키시(옛 후나오초, 마비초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 츠쿠보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하시모토 가쿠.


2. 상세[편집]


하시모토 류타로 전 총리의 지역구였으며, 사망 이후에는 아들인 하시모토 가쿠가 이어받았다. 다만 중도에 민주당의 유노키 미치요시가 2차례나 당선되는 등 의외로 세습 선거구 치고는 지지 기반이 아주 견고하지는 않은 듯하다.

하시모토 류타로의 원래 지역 기반은 중선거구제 시절부터 現·오카야마 5구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류타로의 아버지인 하시모토 료고도 이 지역을 기반으로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다. 이후 소선거구제로 바뀌면서, 다른 의원과 지역구가 겹치고, 가토 무츠키(가토 가쓰노부의 장인)와 직접 대결하기 위한 상황이 맞물리면서, 오카야마 4구로 지역구를 선택했다.

아버지가 현역으로 있을때는 기반이 탄탄한 편이었으나, 민주당 계열의 상대후보인 유노키 미치요시 의원은 43회 중원선에서 처음 출마했을때는 하시모토 류타로에 밀려 낙선했지만 계속 지역기반을 다져왔다. 이러한 상황때문에, 하시모토 가쿠는 선거구를 물려받았음에도, 낙선 후 비례부활 되거나, 아예 낙선하거나, 당선 되더라도 민주당 계열 후보에게 비례부활 당선을 계속 허용하고 있어서, 아버지 만큼 기반이 탄탄한 편이 아니다.

하시모토 류타로가 정치자금법 문제로 예상보다 서둘러 은퇴했기 때문에 아들이 충분히 준비하기 전에 덜커덕 정계에 입문한 것도 한 가지 원인이다. 그리고 하시모토 가쿠 자신이 일으킨 여러 논란도 있다. 부인을 폭행하여 부인이 도망치는 사건이 지역 매스컴에 기사화되기도 하였고, 후생노동부대신 시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집단 감염 사건에 대응을 함께하던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지미 하나코 참의원과 불륜 데이트를 하는 모습이 찍히기도 했다. 최근 이혼하고 2021년 12월 지미 의원과 재혼했다.

가장 최근 치러진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총선에서도 하시모토 가쿠가 승리했으나, 주고쿠 지역의 자민당 선거구 중 1위와 2위 사이의 격차가 가장 적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류타로152,595표1위


68.00%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가토 무츠키42,108표2위


28.6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키우치 유이치15,173표3위


6.76%낙선
유효표 수230,703표투표율
선거인 수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신생당-신진당 등 보수야당에 합류한 가토 무츠키 전 농림수산대신과 자민당 총재이자 내각총리대신인 하시모토 류타로의 맞대결이 펼쳐졌다. 개표결과 현직 총리인 하시모토가 압승했지만 가토 의원도 석폐율제를 통한 비례부활로 당선에 성공한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fff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류타로128,888표1위


65.6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구마가야 히로토46,484표2위


23.6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카사카 테루코21,091표3위


10.74%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류타로104,653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6.5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유노키 미치요시66,199표2위


35.7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지이시 요코14,367표3위


7.76%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유노키 미치요시102,370표1위


47.4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가쿠96,356표2위


44.6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즈마 타케시17,094표3위


7.92%낙선
유효표 수208,361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유노키 미치요시134,319표1위


57.0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가쿠97,284표2위


41.3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코이와이 미유키3,929표3위

행복실현당

1.67%낙선
유효표 수208,361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 츠쿠보군 (하야시마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가쿠91,155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6.4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유노키 미치요시64,293표2위


32.74%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아카자와 미키아츠29,798표3위
15.1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마스 노부코11,125표4위
5.69%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옛 후나오초, 마비초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 츠쿠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가쿠91,189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0.6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유노키 미치요시75,338표2위
41.8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키우치 유이치13,629표3위
7.57%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49.91%
선거인 수368,88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옛 후나오초, 마비초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 츠쿠보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하시모토 가쿠
(橋本岳)
자유민주당93,172
(52.0%)
1위당선공명당 추천
유노키 미치요시
(柚木道義)
희망의 당72,280
(40.3%)
2위낙선
당선(석패율제)
히라바야시 아키나리
(平林明成)
일본 공산당13,907
(7.7%)
3위낙선
유효표 수179,359투표율 48.11%
유권자 수380,500

자민당 하시모토 가쿠 의원이 3연승했다. 야권의 경우 주고쿠 지방에서는 2012년 제46회 총선때부터 3번 연속으로 이곳의 유노키 미치요시 의원과 오카야마 2구의 쓰무라 게이스케 의원이 사이좋게 세트로 지역구에서 패하고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워낙 주고쿠가 자민당 강세지역인지라 3번 모두 히로시마 6구 빼고는 자민당 혹은 자민당 출신 보수정당/무소속 후보가 석권해왔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카야마현 제4구
쿠라시키시(북서부 제외), 츠쿠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시모토 가쿠89,052표1위
49.7%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유노키 미치요시83,859표2위
46.8%비례당선
나카가와 도모하루6,146표3위
3.4%낙선
유효표 수179,057표투표율
48.04%
선거인 수381,828인

현역 자민당 하시모토 가쿠 의원과 입헌민주당 유노키 미치요시 의원이 재대결한다. 유노키 미치요시 의원은 희망의 당이 지난 총선에서 참패한 뒤, 국민민주당을 거쳐 야권통합때 입헌민주당에 합루했다. 설계사무소 대표를 지낸 나카가와 도모하루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선거운동 초기에는 자민당 하시모토 후보가 쉽게 이길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특히 인접 히로시마현 출신 기시다 후미오가 총리가 되면서, 가뜩이나 자민당 강세인 주고쿠에서 이번 총선에서는 자민당이 훨씬 더 수월하게 승부를 펼칠것이라고 예상이 되었다. 하지만 투표 직후 발표한 NHK 출구조사에서 입헌민주당 유노키 미치요시 후보가 근소하게 앞선다고 발표되었다.

투표 결과, NHK 출구조사와는 달리 자민당 하시모토 가쿠가 2.9% 차이로 신승했다. 그래도 이전까지 오카야마 2구와 4구가 세트처럼 결과가 거의 일치했는데, 이번 선거때는 자민당 후보가 예상대로 10% 이상 격차로 이긴 2구와는 달리 이 선거구는 박빙 승부가 펼쳐졌다. 아무래도 서술했던 자민당 하시모토 의원의 불륜 논란때문에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의 격차가 꽤 좁혀졌고, 결국 이번 선거에서 히로시마현 제6구 다음으로 야권 지지율이 강한 선거구가 되었다. 하시모토는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다시 한 번 압승을 거두는 바람에 겨우 이겼을 뿐, 본인의 선거 경쟁력은 확실히 약해졌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10증10감법에 따라 오카야마현의 지역구가 1석 줄어들면서 약간 조정되었다. 기존 5구에서 관할하던 쿠라시키시 북서부 지역을 넘겨받으며 분할을 해소했다. 약간의 조정이다보니 선거구 개편으로 인한 후보군의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직 자유민주당 하시모토 가쿠 의원과 석패율 비례대표 입헌민주당 유노키 미치요시 의원이 재대결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공산당에서는 가키우치 유이치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