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버히트(게임)/영웅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버히트(게임)

파일:Overhit title.jpg
[ 펼치기 · 접기 ]

기본메인 페이지 · 스토리 · 계정 (진영 · 계정 전투력 · 칭호)
재화 · 포메이션 · 공격 속도 · 군중제어 · 상태이상
제작 · · 패치 내역 · 역대 이벤트
영웅기본 정보 · 성장 · 획득방법 (스페셜 소환 · 선별 소환)
전설 요약 · 희귀 요약 · 일반 요약 · 오버히트 스킬 · 코스튬
[ 영웅 리스트 ]

전설
탱커가람 · 벨벳 · 브람스 · 앗슈 · 헤라클레스 · 리리스
파이터레테 · 백아 · 베아트릭스 · 이계의 왕 · 클레어 · 테제 · 시오네
레인저노른 · 리아 · 브리지트 · 스카디 · 아네모네 · 릴리에타 · 바이스 · 크로우
메이지네메시스 · 루나 · 아이작 · 아크날 · 현천 · 호라이즌 · 효월
서포터· 백설 · 유그드라실 · 잔다르크 · 하루 · 샤티
희귀
탱커나트 · 노사 · 손오공 · 오필리아 · 월영
파이터글렉 · 리토 · 마루간 · 사이온 · 스토나 · 아린 · 위그라프 · 파이란
레인저마이아크 · 샤나 · 세리스 · 에스타 · 키르 · 호프
메이지나리아 · 레이즈 · 리무 · 블로섬 · 자일로 · 헤스티아
서포터다프네 · 라이리 · 이모딘 · 바티 · 프레이
궁극강화
나트 · 다프네 · 리무 · 월영 · 헤스티아 · 프레이
프로듀스 48 콜라보 & 칠드런
파이터권은비 & 아인 · 안유진 & 바이
레인저강혜원 & 라이 · 조유리 & 피어
메이지장원영 & 피프
서포터최예나 & 제크

장비무기 · 보조 무기 · 갑옷 · 투구 · 장갑 · 신발 · 반지 · 목걸이 · 크리스탈
마수의 방어구 세트 (초월) · 명장의 무기 세트 (초월)
PvE모험 · 칠요의 땅 · 외대륙 탐사 · 이계의 틈 · 쟁탈전
토벌전 (로드웰 · 레지슈타인 · 아라크네스) · 월드 보스
PvP결투장 · 제 2결투장 · 길드전 · 명예의 격전지



1. 기본 정보
2. 성장
3. 오버히트 스킬
4. 획득방법
4.1. 프리미엄 소환
4.2. 스페셜 소환
4.3. 일반 소환
4.4. 선별 소환
4.5. 기타
5. 신화
6. 전설
7. 희귀
8. 일반



1. 기본 정보[편집]


  • 희귀도
일반[1], 희귀, 전설, 신화로 구분되며, 영웅 창에서 배경 그라데이션이 없으면 일반, 노란색이면 희귀, 주황색이면 전설, 파란색이면 신화 영웅이다.
일반 영웅은 레드마키나, 알터, 타라 같은 몇몇 영웅을 빼고는 쓰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플레이는 전설 영웅이 위주가 된다. 희귀의 경우 제한적으로 쓰이거나 전설이 많지 않은 유저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사용한다.

  • 등급
별의 갯수로 표시되며, 1등급부터 6등급까지 있다. 보통 다른 게임과 마찬가지로 1성~6성으로 부른다. 일반 영웅은 1성, 희귀 영웅과[2] 스토리에 이름이 있는 일부 일반 영웅, 전설 영웅은 4성부터 존재하며 모든 영웅은 6성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신화 영웅은 6성만 존재한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스킬, 능력치, 레벨 상한이 상승되므로 쓸 영웅은 반드시 6성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클래스
탱커, 파이터, 레인저, 메이지, 서포터 5종류로 나눠져 있다. 각 클래스별로 능력치의 분포가 다르고, 스킬 적용 여부 및 영웅 성장에 필요한 진화 재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 밑의 성장 문단의 진화 항목을 참조.

  • 능력치
기본적으로 공격력, 방어력, 체력, 공격 속도만 나타나지만, 오른쪽의 돋보기를 누르면 세부 항목이 나타난다.
공격 능력치로 고정/비율 관통, 격노, 치명타 확률, 치명타 데미지 증가율, 반격률, 군중제어 적용 확률, 스킬 쿨타임 감소율, 방어 능력치로 최대 생명력, 방어력, 근성, 군중제어 저항 확률, 피해 차단 확률, 치명타 저항 확률, 받는 회복률, 주는 회복률, 치명타 데미지 감소율, 받는 피해량 감소율이 있다.
그 외에도 라인 스킬을 통하여 % 단위의 받는 피해량 감소, 주는 피해량 증가, 공격력 증가, 방어력 감소, 방어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 단위로 증가/감소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이 상한선이 정해져 있다. 출처 (공식카페)
공격력 증가치명타 확률치명타 데미지
증가율
스킬 쿨타임
감소율
피해량 증가피해량 감소방어력 감소
50%60%300%25%50%50%80%
레벨 업, 훈련, 초월, 강화 등을 통하여 영웅 자체의 능력치를 강화시키거나 장비, 펫, 라인 스킬, 패시브 스킬, 인연 효과, 코스튬 등 영웅에 추가 효과를 주는 방법으로 능력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1] 이 일반중에서도 준희귀 영웅으로 불리는 영웅들이 있다.일반의 등급을 달고 희귀처럼 4성부터 뜨는 놈들. 이들은 능력치가 기존 일반보다 훨씬 강하다. 스탯만 보면 희귀수준.[2] 나트와 세리스는 3성부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성장[편집]


  • 레벨 업
일반적인 RPG에서 볼 수 있는 흔한 성장방식.
경험치를 쌓아 레벨이 오르면 공격력/방어력/최대 생명력이 오른다. 공격 속도는 증가하지 않는다. 각 등급마다 최대 레벨이 다르며, 등급 x 10이 최대 레벨이다. 6성 영웅의 경우 최대 레벨은 60. 최대 레벨이 되면 레벨의 숫자가 짙은 노란색에서 짙은 주황색으로 바뀐다. 초월을 하면 최대 레벨이 상승하여 추가적인 레벨업이 가능하며, 그를 통해서 능력치가 더욱 성장하게 된다. 최대 초월인 8초월을 하게 되면 최대 레벨이 100까지 상승하게 된다.

모험을 도는 것 외에도 다른 영웅과 골드를 소모하여 경험치를 채워줄 수도 있다. 재료로 쓰이는 영웅이 경험치를 획득한 상태였다면, 그 경험치의 일부를 함께 받을 수 있다. 이때 소모되는 골드는 재료로 쓰이는 영웅의 등급과만 연관이 있으며, 재료 영웅이 가진 경험치와는 무관하다. 그리고 경험치형 영웅의 경우에는 같은 등급의 1레벨 영웅의 5배의 경험치를 준다. 이를 통하여 각 레벨의 필요 경험치를 역산할 수 있다. 역산 방법 다음은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역산된 100레벨까지의 필요 경험치이다. 수치 1인 1골드에 대응된다.

필요치는 전 레벨에서 해당 레벨로 레벨 업할 때 필요한 경험치, 누적치는 그 레벨에 도달하기 위한 필요 경험치의 총량이다. 본래 50레벨 이상 구간에서도 필요 경험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필요치가 10000 이상에 이르렀으나, 5월 패치에서 50레벨 이상에서 필요 경험치를 줄여 필요치의 증가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출처 글

참고로 합성한 영웅을 바로 재료로 강화할 때 얻는 경험치는 다음과 같다.
3성 20렙4성 30렙5성 40렙
2080619520055

Lv필요치누적치Lv필요치누적치
121515
3254043575
545120655175
765240875315
9854001095495
1110760212119721
1313185214143995
151551150161671317
171791496181911687
192031890202152105
212552360222952655
233352990243763366
254173783264584241
274994740285405280
295855865306306495
317807275329308205
331080928534124010525
3514001192536156013485
3717201520538188017085
3920401912540220021325
4126002392542301026935
4334203035544383034185
4542403842546466043085
4750804816548550053665
4959205958550634065925
5163607228552638078665
5364008506554642091485
55644097925566460104385
576480110865586500117365
596520123885606540130425
616560136985626580143565
636600150165646620156785
656640163425666660170085
676680176765686700183465
696720190185706740196925
716760203685726780210465
736800217265746820224085
756840230925766860237785
776880244665786900251565
796920258485806940265425
816960272385826980279365
837000286365847020293385
857040300425867060307485
877080314565887100321665
897120328785907140335925
917160343085927180350265
937200357465947220364685
957240371925967260379185
977280386465987300393765
9973204010851007340408425

  • 훈련
레벨 업과 별개로 영웅의 능력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훈련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능력치는 레벨 업을 통하여 증가되는 능력치와 같이 공격력, 방어력, 최대 생명력이다. 레벨 1당 최대 훈련 횟수가 1씩 증가하며, 해놓으면 레벨 업을 추가로 하지 않는 한 추가적인 훈련은 불가능하다. 훈련에는 골드가 필요하며, 70레벨 정도까지는 그렇게 비용이 비싸지 않은 편이지만, 레벨이 높아질수록 훈련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3] 51레벨 이상에서는 골드 외에 비전서[4] 아이템이 훈련 당 1개씩 필요하다. 추가 능력치를 준다기보다는 레벨 업으로 오를 능력치의 일부를 게임 내 재화를 소모하여 증가시키게끔 유도한 시스템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재화를 대량 소비시키는 전설 희귀보다 일반영웅을 빠르게 육성시켜 쓰는것도 신규 유저 입장에선 하나의 길이 될 수 있다. 2018년 8월 9일 50레벨 이상에서의 훈련 비용이 40% 정도 감소되었다.

  • 진화
영웅의 등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등급은 별의 숫자로 표시되며, 진화를 하면 별의 갯수가 늘어난다. 최대 등급은 6성이다.
영웅의 진화에는 그에 해당하는 진화 재료인 진화의 원천, 진화의 스톤, 빛의 결정이 필요하다. 진화 재료와 진화시킬 영웅의 등급은 같은 등급이어야 한다.[5]
클래스마다 필요한 진화의 원천과 진화의 스톤의 종류가 다르며, 빛의 결정은 모든 클래스에서 필요하다.
클래스탱커파이터레인저메이지서포터
진화의 원천수호의 원천용기의 원천신속의 원천진리의 원천생명의 원천
진화의 스톤브레이브 스톤브레이브 스톤브레이브 스톤위즈덤 스톤위즈덤 스톤
희귀도에 따라서 필요한 진화 재료의 수가 다르다.
희귀도전설희귀일반
진화의 원천521
진화의 스톤521
빛의 결정1042
5성 영웅을 진화시키기 위해서는 5성 진화 재료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5성 진화재료는 드랍되지 않으며, 4성 진화재료를 합성하거나 아주 가끔 있는 이벤트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진화 재료를 상위 등급으로 합성하는 데에는 하위 등급의 진화 재료 5개와 골드가 필요한데, 진화 재료뿐만 아니라 골드도 큰 부담이 된다.[6] 골드 벌기는 힘든데 쓸곳은 정말 많다

횟수 제한과 요일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칠요의 땅에서 최고 4성 진화 재료들을 얻을 수 있다. 5성 진화 재료로 바로 합성할 수 있는만큼 가장 효율적인 진화 재료 수급처이다. 자세한 사항은 칠요의 땅 참조.

3성 이하의 진화 재료는 모험에서 얻을 수 있으나, 드랍 확률이 있어 2판에 1개 꼴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한 스테이지에서 모든 진화 재료를 드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진화 재료를 드랍하는 스테이지에서 모험을 돌아야 한다. 칠요의 땅을 돌아도 진화 재료가 부족할 경우 모험을 통해서 진화 재료를 수급할 수밖에 없다. 티끌 모아 태산

  • 강화
진화 재료를 이용하여 영웅의 능력치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영웅의 등급을 표시하는 별이 노란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한다. 강화 횟수만큼 분홍색 별의 수가 늘어난다.
★★★★★★ > ★★★★★ > ... > ★★★★★ > ★★★★★★
강화에 필요한 진화 재료는 진화와 완전히 동일하며, 희귀도에 따라서 필요한 진화 재료의 수가 다른 것도 동일하다.
진화 재료의 수급이 한정적인만큼 (초월을 위한) 진화에 우선적으로 사용되지만, 진화할 영웅이 없는 경우 강화를 통해 영웅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강화를 하면 영웅의 능력치가 바로 오르게 되지만, 그 수치는 큰 편이 아니며, 강화 6번이 초월 1번과 비슷한 능력치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해당 영웅이 최우선적으로 성장이 필요하거나, 성장시킬 영웅이 없는 경우가 아니면 강화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다른 영웅들의 성장을 위하여는 나을 수 있다.

  • 초월
동일한 6성 영웅을 이용하여, 최대 레벨에 도달한 영웅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초월 1회당 최대 레벨이 5씩 증가하며, 최대 8번까지 초월이 가능하다. 영웅 창에서 따로 초월 수치가 표기되기도 하지만, 영웅의 레벨을 보고도 몇번 초월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최대 레벨에 달성한 영웅만이 초월을 할 수 있으며, 초월 후에는 최대 레벨이 상승하여 추가적인 레벨 업을 할 수 있다. 초월 자체로는 능력치 향상이 없으나, 최대 레벨이 증가함으로써 레벨 업, 훈련을 통한 능력치 상승이 큰 폭으로 있고, 스킬 레벨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데, 동일한 등급의 동일한 영웅 즉 중복 영웅이 필요하며, 초월을 진행하면 초월에 이용된 중복 영웅은 사라진다. 재료가 되는 중복 영웅의 레벨은 상관없다. 굳이 진화나 합성을 해서 얻은 50렙 6성 영웅이 아니더라도 소환을 통해 얻은 1렙 6성도 초월 재료가 될 수 있다. 현재 최대 초월인 8초월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총 9개의 동일 영웅이 필요하며, 전설 영웅의 경우에는 엄청난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과금 없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 인연 효과
오버히트 스킬과 같이 스토리상 연관이 있는 영웅들끼리는 인연 효과가 존재한다. 인연 효과는 공격력, 방어력, 최대 생명력뿐 아니라 스킬 쿨타임 감소, 치명타 확률 등 다양한 능력치가 부여될 수 있다. 주어지는 수치가 공격력의 경우 최대 1200, 방어력 650, 최대 생명력 2100 정도로 매우 큰 수치이기 때문에 훈련이나 강화보다 적은 투자로 빠르게 영웅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인연 효과에도 스킬처럼 레벨이 있어 강화할 수 있는데, 이 때 골드와 해당 영웅의 클래스에 해당하는 인연의 성좌가 필요하다. 인연의 성좌는 상점의 월드 보스 탭에서 멸신의 훈장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월드 보스는 필수 컨텐츠가 되었다. 인연 효과를 최대 레벨인 10레벨까지 강화하는 데에 필요한 골드는 180000~280000 골드이며, 인연의 성좌는 전설 영웅은 100개, 희귀 영웅은 91개이다.

  • 궁극 강화
특정 희귀 영웅에 한하여 궁극 강화라는 특수한 방식의 성장이 가능하다. 희귀 영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도입된 시스템이다.
해당 영웅이 6강화가 되어있을 때 5성 수호/용기/신속/진리/생명의 원천 1개씩과 10만 골드를 이용하여 궁극 강화를 시행할 수 있다. 궁극 강화를 하게 되면 외형, 초상화, 모든 스킬 효과들이 바뀌고 공격 속도를 포함한 능력치가 상승한다. 거의 이름만 같은 다른 영웅이 되는 것이다. 희귀 영웅이 기반이기 때문에 초월 및 강화가 쉽다는 것이 장점이다.

강화도 6강화에서 추가적으로 6번의 강화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최대 강화에 필요한 재료는 5성 진화의 원천 33개, 5성 진화의 스톤 33개, 5성 빛의 결정 45개로 원천/스톤이 일반 전설 영웅의 6강화보다 10% 더 많이 필요하다. 강화를 하면 별이 분홍색에서 짙은 주황색으로 바뀐다.
진화 재료★★
★★★
★★
★★★
★★★
★★★
★★★
★★
★★★
★★
★★★
★★★
진화의 원천345678
진화의 스톤345678
빛의 결정5678910

2018년 6월에 나트, 리무, 헤스티아, 월영이 최초로 추가되었으며, 이후 8월에 다프네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궁극 강화를 통해 성능이 좋아지거나, 비슷하거나, 나빠지는 등 평판이 갈리고 있다. 나중에 추가된 다프네는 로드웰 나이트메어를 위한 강화 버전으로 나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추후 지속적으로 다른 희귀 영웅의 궁극 강화가 추가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전설 영웅도 궁극 강화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예측이 있다[7].

  • 스킬 레벨 업
영웅의 레벨과 마찬가지로 각 영웅의 스킬도 레벨 업을 시킬 수 있다. 초월 1회당 1레벨씩 올릴 수 있으며, 풀 초월 시 9레벨이 된다.
스킬 레벨 업을 하게 되는 경우 스킬의 효과가 강화되며, 일부 스킬들[8]새로운 효과가 생기기도 한다.
액티브 스킬뿐 아니라 라인 스킬과 패시브 스킬도 레벨 업이 가능하지만, 궁극 강화를 통해 얻은 궁극 강화 스킬은 레벨 업이 불가능하다.

스킬 레벨 업에는 경험치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영웅과 골드가 필요하다. 일반 영웅은 5성 or 6성 영웅과 2만 골드, 희귀 영웅은 5성 or 6성 영웅과 3만 골드, 전설 영웅은 6성 영웅과 5만 골드가 필요하다. 재료가 되는 영웅의 레벨은 상관하지 않으며, 스킬 레벨업만을 위한 성장 재료인 재능의 빛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량의 경험치를 주는 성장의 빛도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보통 합성을 통해 얻게 되는 영웅들을 스킬 레벨 업의 재료로 이용하게 된다. 초월할 때마다 4개의 스킬을 각각 레벨 업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도 골드가 많이 소모된다. 골드 벌기는 힘든데 쓸곳은 정말 많다 2
[3] 5초월 영웅에서 80~85 레벨 구간의 훈련 비용은 능력치당 14만 골드이다. 게다가 공격력/방어력/최대 생명력 3개나 올려야 한다. 도합 40만 골드.[4] 모험 헬 난이도에서 획득 가능하나 10회 성공에 1~2개 정도만 줄 정도로 드랍율이 매우 낮다.[5] 예를 들면, 레인저 영웅인 5성 아네모네를 6성으로 진화시킬 시, 5성 신속의 원천, 5성 브레이브 스톤, 5성 빛의 결정이 필요하다.[6] 5성 전설 영웅의 진화를 위해서 필요한 재료를 충분한 4성 진화 재료들로 합성을 하더라도 75000 골드가 든다. 하지만, 4성 진화 재료도 부족한 경우가 많아 보통 3성, 아니면 2성 진화 재료들을 박박 긁어모아 5성 진화재료를 수급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합성에 드는 골드는 훨씬 늘어나게 된다.[7] 이 예측이 2주년 패치를 기점으로 다시금 떠오르고있는데, 시즌 2 첫번째 챕터에서 세계의지의 대행자들 중 한 명인 하데스에게 여와, 무진, 하루, 아크날, 청룡이 한꺼번에 덤볐으나 완벽하게 패배하였다. 결국 스토리 상 대행자들을 어떻게든 이겨내야하기에 전설 영웅도 궁극 강화 비스무리한 것이 나올 것이라는 의견. 챕터 이름도 '신화의 시대'인데다가 마지막부분에 하데스가 "고개를 조아리고 맞이하라, 신화의 시대를."이라고 말하는 등 전설 영웅들이 대행자들에게 대항하기위해 강화될 듯한 떡밥이 던져졌다. 유저들은 전설 영웅의 궁극 강화가 나온다면 이름이 '신화 각성'이 될 것이라고 추측 중.[8] 헤라클레스의 패시브 스킬, 루나의 2스킬, 리아의 패시브 스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오버히트 스킬[편집]


스토리 상에서 관련이 있는 영웅 둘을 같이 사용할 경우, 둘이 함께 시전하는 스킬이 생기는데 이를 '오버히트 스킬' 이라 한다. 스킬 쿨타임이 최소 40초에 이르는 오버히트의 특성 상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 하나 늘어난다는 것은 매우 큰 이득이다. 그리고 합격기인만큼 일반 스킬보다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영웅 조합을 짤 때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기도 한다.

오버히트 스킬은 기본적으로 300초의 쿨타임을 가지고 있다. 보통 토벌전결투장에서 사용하기에 한 판에 한번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쿨타임 감소 효과를 받기 때문에 쿨타임을 220초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나, 다른 스킬들과는 다르게 선쿨이 30초 정도 되기 때문에 두번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물론 이계의 틈이라든지 월드 보스라든지 외대륙 탐사 같은 시간제한이 없는 컨텐츠에서는 많이 쓸 수 있다.

오버히트 스킬의 성능이 어느 영웅을 기준으로 선택되느냐에 대해서 이야기가 많았다. 공격력이 높은 영웅이라든지, 전투력이 높은 영웅이라든지, 레벨이 높은 영웅이라든지... 그러던 중 2018년 6월 8일 패치에서 명확하게 인연 효과에서 첫칸에 위치한 영웅이 스킬의 기준이 된다고 정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희귀 영웅이 첫번째로 있는 오버히트 스킬은 아무리 계수가 높아도 전설 영웅이 기준이 되는 오버히트 스킬에 비하여 성능이 나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토벌전, 월드 보스과 같은 PvE에서는 모든 스킬을 사용한 후 비는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혹은 피해량 증가 등의 버프/디버프를 활용하여 딜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물론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결투장에서 오버히트 스킬은 특별하게 취급되는데, 어떠한 스킬보다도 먼저 오버히트 스킬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치유 스킬[9]을 제외한 모든 스킬이 무작위로 시전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결투장에서 특정한 타이밍에 무조건 딜 스킬을 쓸 수 있다는 것은 수많은 함정 스킬이 존재하는 결투장에서 승률을 크게 끌어올려준다. 선공을 한다는 전제 하에 먼저 공격 - 상대 치유 스킬 사용 - 오버히트 스킬 사용 - 상대 빈사 상태로 이어지는 패턴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한점도 있는데, 스킬 레벨업이 없어 스킬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는 점이다. 영웅들의 초월 제한이 상향되면서 영웅들의 스펙 및 스킬 계수가 상승했기 때문에 차라리 오버히트 스킬을 안쓰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오버히트 스킬 사용 안함 옵션도 추가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함인지 최근 등장한 오버히트 스킬에는 빙결, 실명 등의 군중 제어효과나 아군 회복 효과를 붙여서 유틸성을 더 증가시키고 있다.

다음은 지금까지 등장한 오버히트 스킬들이다. 첫번째 영웅을 기준으로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였으며, 전설 영웅희귀 영웅을 색으로 구분하였다. 자주 쓰이는 오버히트 스킬은 다른 색으로 따로 표기하였다. (결투장 / 토벌전)
오버히트조합 영웅스킬 효과
태극파쇄진가람현천4인 233% 물리피해 / 보통 확률 33.4초 침수
헌팅 크래시글렉마루간1인 417% 물리피해 / 대상이 아니마 세력일 경우 265% 추가 물리피해
고귀한 꿈네메시스4인 221% 물리피해 / 보통 확률 출혈 45초동안 9초마다 32% / 받는 피해량 18.9% 증가
올 레인지 어택노른아크날5인 204% 마법피해 / 보통 확률 37.2초 마비 / 적의 최대 생명력의 9.6% 비례한 피해
디스토피아레테아네모네5인 207% 물리피해 / 보통 확률 출혈 30초동안 6초마다 50%
그라덴 라이트루나프레이아군 생명력을 공격력의 221%만큼 회복 / 적 받는 피해량을 80초 동안 16.3% 증가 / 적 피해량 80초동안 13.3% 감소
투 엘레멘탈리무레이즈4인 155% 마법피해 / 보통 확률 33.2초 감전 / 보통 확률 33.2초 빙결
풍뇌신파리아리토1인 571% 마법피해 / 아군 물리형 영웅에게 주는 피해량 120초 동안 28.6% 증가 / 확정 치명타
댄싱 엘레멘탈리토헤스티아4인 186% 마법피해 / 보통 확률 33.2초 감전 효과 / 보통 확률 화상 30초동안 6초마다 46%
네가티브 엔드릴리에타이계의 왕5인 181% 마법피해 / 보통 확률 즉사 (PvP) / 아군 5인의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21초 감소
로망 어택마이아크호프4인 230% 물리피해 / 대상의 현재 생명력이 40% 이하일 경우 146% 추가 물리피해
운디네스 칼리버백설호라이즌5인 181% 마법피해 / 보통 확률 35.4초 빙결 / 아군 5인 해로운 효과 해제
만물을 베는 검백아5인 199% 물리피해 / 군중 제어 적용 확률 32.9% 감소 / 보통 확률 출혈 30초동안 6초마다 56%
프린세시스베아트릭스오필리아3인 201% 물리피해 / 보통 확률 29.1초 기절 / 1012 고정 피해
폴 인 러브벨벳나트1인 371% 물리피해 /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39초 증가 / 공격력 90초동안 25.3% 감소
소드 오브 인페르노브리지트클레어4인 204% 마법피해 / 보통 확률 22.8초 실명 / 현재 생명력이 60% 이하인 아군 최대 체력의 36.2% 회복
꿈의 정원샤티네메시스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 3인 251% 마법피해 / 현재 생명력의 12.1% 비례 피해 / 보통 확률로 속박
암운합일격손오공월영4인 방어력의 212% 물리피해 / 보통 확률 27.8초 실명
스타 애로우스카디아크날5인 167% 물리피해 / 적의 최대 생명력의 7.8% 비례한 피해 / 보통 확률 35.4초 빙결
윕 & 대거스토나샤나5인 151% 물리피해 / 확정 치명타 / 보통 확률 화상 30초동안 6초마다 45%
카타스트로피아이작브람스4인 233% 마법피해 / 아군 생명력을 24.1% 회복
백광의 쌍익앗슈아린1인 459% 물리피해 /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증가
네가티브 월드월영테제1인 367% 물리피해 / 확정 치명타 / 높은 확률 29.5초 실명
파멸의 기도이모딘레테5인 보통 확률 32.7초 침묵 효과 / 아군 생명력을 공격력의 165% 회복 / 물리형 아군의 마법형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60초동안 24.5% 감소
월하의 마수자일로루나5인 152% 마법피해 / 적이 받는 피해량을 80초동안 17.8% 증가 / 보통 확률 중독 30초동안 6초마다 50%
크림슨 플래그잔다르크벨벳5인 207% 마법피해 / 대상의 현재 생명력이 50% 초과 시 보통 확률 41.6초 침묵 / 50% 이하 시 보통 확률 출혈 30초동안 6초마다 67%
매드니스 카니발크로우벨벳공격력이 가장 높은 1인 518% 물리피해 / 추가로 적 5인의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11초 증가 / 사용 직후 연속 공격으로 한번 더 발동
크로스 슬래시키르나트1인 337% 물리피해 / 적의 현재 생명력의 22.5% 비례한 피해 / 높은 확률 중독 40초동안 8초마다 62%
킬 더 킬키르프레이1인 405% 물리피해 / 아군 생명력을 공격력의 173% 회복 / 아군 아니마 세력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180초동안 31.5% 감소
진 동천일품각파이란라이리1인 417% 물리피해 / 적의 최대 생명력의 15.8% 비례한 피해
라이온 하트헤라클레스마루간1인 402% 물리피해 / [월드보스: 스틱스]에서 방어력의 1021% 물리피해 / 몬스터 헌터 소속 아군 피해량 10% 증가
[9] 아군 한명 이상의 생명력이 50%(분명치 않다) 이하로 떨어질 시 치유 스킬을 무조건 시전한다. 하지만 오버히트 스킬은 치유 스킬보다도 우선권을 갖는다.적을 제거하는 것이 진정한 치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획득방법[편집]


오버히트의 영웅은 모험이나 이벤트, 외대륙 탐사 보상, 젬/큐브를 이용한 프리미엄 영웅 소환권, 선별소환, 패키지 구매 등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가장 대표적인 영웅 획득 방법은 300젬을 이용한 10+1 프리미엄 영웅 소환권이다.


4.1. 프리미엄 소환[편집]


소환상점에서 젬 30개로 1회 혹은 젬 300개로 10+1회 영웅 소환이 가능하다.
젬이라는 인게임 재화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현금이 필요없으나, 젬을 모으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덕에 보통 패키지 구매를 통해 획득한 젬을 이용하게 된다.

게임 초기 프리미엄 영웅 소환권에는 희귀 확정권이 없었으나, 11연뽑에서 희귀조차 없는 소위 괴물 파티로 항의가 빗발치자, 2018년 2월 27일 패치에서 마지막 11번째 소환이 4~6성 확정 영웅소환으로 적용되도록 하여 최소 희귀 1명은 나오도록 변경되었다.

2018년 6월 15일 패치 후 이벤트로 전설 영웅의 등장 확률이 1%에서 1.5%로 상향되었다. 이벤트라고는 하지만 같은날 올라온 오버히트 노트에서 영구적인 전설 확률 상승을 언급하고 있어 이벤트 후에도 확률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안나오는 건 똑같다

2018년 6월 22일 현재 10+1 프리미엄 소환권의 각 영웅별 획득 확률은 다음과 같다. 게임 내에서 설정 > 정보 > 고객지원 > 이용약관 > 유료 확률형 아이템 정보 로 들어가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3~6성 10장4~6성 보너스 1장
등급확률티어확률등급확률티어확률
3성75%일반89.5%4성90%일반0%
4성15%희귀9%5성8%희귀94%
5성8%전설1.5%6성2%전설6%
6성2%


4.2. 스페셜 소환[편집]


이벤트로 일정 기간동안 특정 영웅의 소환 확률이 증가된 스페셜 소환이 등장한다.
등급 / 티어별 소환 확률은 프리미엄 소환과 동일하나, 같은 등급 내 특정 영웅의 소환 확률이 증가한다.
특정 영웅이 소환될 확률은 지정된 특정 영웅의 수, 동급 티어의 영웅 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총 전설 영웅 소환 확률이 증가하는 것이 아님을 반드시 알아두자.

스페셜 소환에서 해당 영웅들의 등장 확률은 0.291%로 동일하며, 그 이외의 전설 영웅들이 나머지 확률을 동일하게 분배받는다. 스페셜 소환 영웅의 수에 따라서 그 이외의 전설 영웅이 등장할 확률이 조금씩 차이나게 된다. 어차피 티끌만큼의 차이 스페셜 영웅 소환 대상 영웅들의 수에 따른 전설 영웅 등장 확률은 다음과 같다.
영웅1인 대상2인 대상3인 대상프리미엄 소환
확률업 전설 영웅0.291%0.291%0.291%0.050%
기타 전설 영웅0.041%0.033%0.023%0.050%
전설 등장 확률1.480%1.506%1.494%1.500%

스페셜 소환은 보통 신규 영웅들을 위주로 진행이 되었으나, 전설 영웅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최근에는 인기 영웅, 최근에 스킬이 개편된 영웅, 새로운 컨텐츠에 적합한 영웅 등 컨셉을 가지고서 스페셜 소환을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등장했던 스페셜 소환은 다음과 같다.
날짜영웅
2017.12.28 ~ 2018.01.10레테리토
01.25 ~ 02.13노른자일로
02.27 ~ 03.14아이작손오공
03.15 ~ 03.21노른하루
03.29 ~ 04.12벨벳이모딘
04.12 ~ 04.25리아아이작
04.26 ~ 05.09잔다르크벨벳
05.10 ~ 05.23헤라클레스리아
05.30 ~ 06.14클레어호라이즌
06.15 ~ 06.27백설클레어호라이즌
06.15 ~ 07.11[10]스카디아네모네아크날
06.28 ~ 07.11브리지트백설
앗슈브람스잔다르크
07.12 ~ 07.25가람브리지트
스카디레테
노른잔다르크
07.26 ~ 08.08현천가람
백설클레어
아크날아네모네
08.09 ~ 08.22백아현천
아이작호라이즌
테제리아스카디
08.23 ~ 09.03백아
벨벳레테
아크날아네모네
09.04 ~ 09.20장원영안유진
장원영
안유진
09.20 ~ 10.10강혜원
장원영
안유진
10.11 ~ 10.25조유리
최예나
강혜원안유진장원영
백아현천클레어
10.25 ~ 11.08권은비
베아트릭스
강헤원안유진조유리
최예나장원영
11.08 ~ 11.22네메시스나리아
호라이즌
현천
11.22 ~ 11.28노른
백설
네메시스나리아
11.28 ~ 12.13이계의 왕
브리지트
아네모네
12.13 ~ 12.28호라이즌
노른
브람스
유그드라실
앗슈
리무에스타
2018.12.28 ~ 2019.01.10릴리에타
01.04 ~ 01.17벨벳
브람스
01.10 ~ 01.24효월
01.24 ~ 01.30네메시스
01.30 ~ 02.14바이스
효월릴리에타이계의 왕네메시스
02.14 ~ 02.26샤티
02.27 ~ 03.14시오네
03.07 ~ 03.14릴리에타
효월
03.14 ~ 03.28크로우
벨벳
하루
아이작

예전에는 스페셜 소환이 나오면 전용 보너스가 있어 6000젬을 쓰면 4성 전설 소환권을 받을 수 있었고, 그 이전에도 4성 희귀 영웅 소환권, 6성 영웅 소환권 등을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스페셜 소환이 없는 주간에는 젬을 모아두었다가 스페셜 소환이 등장했을 때 다 썼었다. 하지만 2018년 5월 3일 소환 적립 포인트가 추가되면서 보너스는 모두 사라지고 4성 전설 영웅 소환권만이 남게 되었다.


4.3. 일반 소환[편집]


소환상점에서 큐브 300개로 1회 혹은 3000개로 10회 영웅을 소환한다. 그리고 하루에 무료로 1회 영웅 소환을 세번까지 할 수 있다. 처음 접속 시 1회 일반 소환은 큐브를 소모하지 않으며 3회의 무료 기회를 모두 사용한 후부터 큐브 300개가 소모된다.

큐브는 게임 플레이 도중 획득할 수 있는 인게임 재화로 현금성이 없어, 유료가 아니기 때문에 프리미엄 소환과는 다르게 확률이 공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프리미엄 소환의 4~6성 보너스 1회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운이 좋으면 전설 영웅을 획득할 수 있으나, 큐브는 추후 골드나 모험 포인트 등 필요한 재화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4.4. 선별 소환[편집]


말도많고 탈도많은 오버히트만의 특수한 소환 시스템이다.

소환과 동시에 영웅을 획득하게 되는 기존의 소환 시스템에서 진화하여 유저가 원하는 영웅이 등장할 때까지 예비 소환을 시도한 후 원하는 영웅이 나왔을 때 33,000원을 지불하고 해당 영웅을 획득할 수 있다. 예비 소환은 40회까지는 무료이며[11], 그 이후에는 10회까지 젬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12] 예비 소환에서 전설 혹은 희귀 영웅 하나가 무조건 등장하며, 전설/희귀 영웅이 등장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2명 이상이 등장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비 소환으로 영웅을 확인한 뒤에는 다시 예비 소환을 시행하지 않으면 그 영웅 목록이 유지되기 때문에 과금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전설을 먼저 영웅을 등장시켜놓고 나중에 구매해도 된다.

선별 소환에는 4~5명의 전설 영웅과 모든 희귀 영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전설 영웅은 등장하지 않는다. 포함되는 전설 영웅은 사전에 공지되며, 매월 하나의 전설을 제외하고 하나의 전설을 추가한다. 오픈 초기에는 운영진에서 일방적으로 전설 영웅을 교체하였으나, 2018년 2월부터는 매월 말에 공식 카페에서 투표를 통하여 추가하고 제외할 전설 영웅을 정한다. 2018년 7월에는 두 명의 전설 영웅이 추가되어 그 이후로 선별 소환에서 추가되고 제외되는 전설 영우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2018년 8월에는 아예 투표를 통해서 상위 여섯 영웅을 선별 소환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를 통해 잔다르크, 노른, 리아, 스카디, 아크날, 베아트릭스 (이상 획득표 순)가 선별 소환에 등장하게 되었다.

전설 영웅이 계속 늘어나다보니 원하는 영웅을 뽑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서인지 2018년 8월 23일 부로 물리형/마법형 선별 소환으로 분리되었다. 가격은 동일한 33,000원. 희귀 영웅은 공통으로 모두 포함되어 있으나, 전설 영웅은 각 종류별로 6명씩 포함되어 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뭐긴 뭐야 돈 빨아먹으려는 거지 전설 영웅이 잘 등장하지 않는 느낌이 있다.

현재까지의 선별 소환 영웅은 다음과 같다. 해당 월에 추가된 영웅은 파란색, 그 다음 월에 제외된 영웅은 빨간색으로 표기하였다.
2017년 11~12월루나앗슈테제하루
2018년 1월스카디앗슈아크날유그드라실
2018년 2월스카디테제아크날유그드라실
2018년 3월아네모네테제아크날유그드라실
2018년 4월아네모네테제아크날베아트릭스
2018년 5월아네모네노른아크날베아트릭스
2018년 6월아네모네노른아크날스카디
2018년 7월아네모네노른레테스카디벨벳
2018년 8월잔다르크노른리아스카디아크날베아트릭스
물리형2018년 9월클레어헤라클레스스카디벨벳아네모네레테
마법형브리지트백설잔다르크노른호라이즌리아
물리형[13]2018년 10월클레어헤라클레스스카디현천가람베아트릭스앗슈
마법형브리지트백설잔다르크노른아크날리아
물리형2018년 11월백아현천가람클레어베아트릭스
마법형브리지트백설잔다르크리아호라이즌유그드라실
물리형2018년 12월백아현천클레어가람스카디
마법형브리지트잔다르크백설리아호라이즌아크날
물리형2019년 1월백아현천테제스카디클레어
마법형리아브리지트노른하루백설호라이즌
물리형2019년 2월네메시스피어앗슈라이현천스카디
마법형이계의 왕제크아인하루피프브리지트
물리형[14]2019년 3월네메시스피어스카디앗슈백아레테현천
마법형릴리에타아크날이계의 왕아이작제크하루
물리형[15]2019년 4월바이스네메시스베아트릭스앗슈스카디테제벨벳백아
마법형[16]효월아이작릴리에타아크날피프제크이계의 왕
물리형[17]2019년 5월바이스클레어네메시스앗슈벨벳헤라클레스피어
마법형샤티효월아이작릴리에타유그드라실피프

예비 소환 후 획득은 단 한 번만 가능하며, 이미 선별 소환을 통하여 영웅을 획득한 경우 해당 월에는 재구매가 불가능하다. 선별 소환은 매달 1일에 초기화 되므로 매달 자신이 원하는 영웅을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운이 나쁘면 원하는 영웅을 보지 못하여 울며 겨자먹기로 다른 영웅을 뽑아야 할 수도 있다. 33,000원 굳은거다 의외로 전설이 잘 안나와서 조마조마하면서 예비 소환을 하게 된다.
급격한 시스템의 변화가 있을 때는 선별 소환 기회를 초기화해주기도 한다. 선별소환의 로테이션이 처음 발표된 2017년 12월과 영웅의 초월 한도가 증가된 2018년 6월에 두번 선별 소환을 구매할 수 있었다. 8월에도 선별 소환이 물리형/마법형으로 분리되면서 8월 말에 실질적으로 두번 구매가 가능했다.

오픈 당시 이러한 선별 소환 기능을 모든 유저에게 매달 1차례씩 무료로 제공한다고 공지했으나 뒤늦게 무효화하여 논란이 되었다.

4.5. 기타[편집]


  • 패키지 구매
전설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를 판매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보통 4/5/6성이 지정되어 있으며, 비싼 패키지의 경우에는 아예 영웅을 지정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패키지에서 전설 영웅이 랜덤이거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니 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패키지의 가격은 33,000원에서 110,000원까지 다양한 편이나, 대체로 비싸므로 잘 고민해보고 구매하도록 하자.

  • 패키지 마일리지
현금으로 패키지를 구매하면 패키지 마일리지가 쌓이게 된다. 대략 천원에 1 정도가 쌓이는데, 상점의 마일리지 탭에서 300 포인트를 4성 전설 소환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월 1회로 제한되어 있고, 신규 영웅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으나, 확정적으로 전설 영웅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순수 계산으로 30만원 정도를 과금해야 전설 1장을 얻을 수 있고, 그 마저도 랜덤이기 때문에 이것을 노리고 과금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과금러들에 대한 일종의 보상 개념.

  • 합성
만렙 영웅 둘을 이용하여 한 등급 (3성->4성 등) 위의 영웅을 획득한다. 전설/희귀 영웅은 4성부터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 3성 영웅을 30렙으로 만들어 4성 영웅으로 합성하여 전설 영웅을 노리게 된다. 프리미엄 소환에 비하여 확률은 높지 않고,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자본 없이도 전설 영웅을 노릴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이 합성을 하고 있다. 합성 재료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설 영웅의 등장 확률도 높아지지만, 그만큼 만렙을 찍기 어렵다. 괜히 3성을 합성하는게 아니다

  • 제작
전설 영웅을 분해하는 얻을 수 있는 전설의 정수와 희귀 영웅을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영웅의 정수를 이용하여 전설/희귀 영웅을 제작할 수 있다. 제작법은 다음과 같다.
전설의 정수 x 5 + 영웅의 정수 x 20 > 4성 전설 영웅 선택권 (일부 최신 영웅들은 제외된다)
영웅의 정수 x 30 > 4성 전설 영웅 소환권 (랜덤이며 월 1회 제한)
영웅의 정수 x 20 > 4성 희귀 영웅 선택권


5. 신화[편집]


영웅클래스타입액티브1액티브2라인스킬패시브신화스킬
앗슈(신화각성)탱커물리엑설런트 나이트그레이트 나이트신체 단련 V뷰티풀 나이트원더풀 나이트
제우스파이터마법사이위티아옴니포텐티아호승심 V포르텐툼미라쿨룸
노른(신화각성)레인저마법리플렉터 판넬메가 라군 버스터급소 공격 V페어리스트댄싱 페어리
큐피드레인저물리통통 점프어마무시 하트신체 단련 V콩깍지소악마
포세이돈메이지물리프로켈라오케아누스금강 V나왈리스암니스
샤티(신화각성)서포터마법도깨비 친구인도자의 걸음신체 단련 V단단한 믿음신비한 빛


6. 전설[편집]


영웅클래스타입액티브1액티브2라인스킬패시브
가람탱커물리음양 난격태극 통천격만물 관통 V태극의 형
리리스탱커마법프리즌 라이트크리스탈리움직격 IV빛의 조각들
무진탱커물리경천동지무진멸세파결정력 IV극에 달한 자
벨벳탱커물리사랑의 증명예쁜 빨간색급소 공격 IV광기어린 사랑
브람스탱커마법드레인세계의 끝금강 IV마나 드레인
샬롯탱커물리위험폭발물개조심결정력 V눈 먼 충성
앗슈탱커물리청익의 맹세백익의 심판호승심 IV백청의 가호
올리비아탱커마법빙글빙글 불회오리검 더하기 검은 대검결정력 IV저주받은 가호
헤라클레스탱커물리마운트와일드 러쉬방어 전술 IV사자의 긍지
권은비파이터마법낙엽베기신속참직격 IV든든한 맏언니
레테파이터물리브레이크 체이서디스토피아 크로스결정력 IV절망의 시간
로앤그린파이터마법라이트닝 임펄스노블 저지먼트결정력 IV에메랄드 그린
바이[18]파이터물리모드 : 버스트모드 : 익스플로전금강 IV세컨드 시냅스
백아파이터물리발도 : 참쇄백아일섬급소 공격 IV백색 송곳니
베아트릭스파이터물리파워풀 스매쉬풀 콤비네이션직격 IV강철 분쇄
세실리아파이터물리처벌진압호승심 V집행자
시오네파이터물리아나토미서저리급소 공격 IV바이오 테크놀로지
아인[19]파이터마법시퀀스 : 워터폴시퀀스 : 스플린트직격 IV퍼스트 센스
안유진파이터물리어퍼 부스트버스트 블레이드금강 IV비글미
파이터물리고고! 빅해머펀칭! 기가 드릴직격 V빅 걸
이계의 왕파이터마법디멘션 테이커크로노 엔드직격 IV부정의 왕
클레어파이터물리크로스 레이드소드 오브 아너급소 공격 IV검의 여제
테제파이터물리이계수정탐욕의 이도결정력 IV내달리는 광기
하부브파이터마법철면장궁극 철면 난권금강 V속세를 걷는 소녀
강혜원레인저물리건 스톰맥시멈 불렛급소 단련 IV지옥에서 온 청순 래퍼
그레이레인저물리포인트피니시직격 V인텔리전스
나이아라레인저물리샤프 에페프라우드 매너직격 V스칼렛 루비
노른레인저마법미러 리플렉트라군 헤드급소 공격 IV인공 정령학
라이[20]레인저물리시퀀스 : 스톰시퀀스 : 풀 오픈급소 단련 IV서드 아이
리아레인저마법선풍검질풍 파쇄검급소 공격 IV선풍의 날개
릴리에타레인저마법시니스터 사이드네가티브 게이트만물 관통 IV영혼을 먹는 자
마이어레인저물리노블레스 샷골드 레인방어 전술 IV현혹하는 황금
바이스레인저물리변덕쟁이집나간 남편급소 공격 IV전술 키트 : OMA
브리지트레인저마법타로 카드 : 태양타로 카드 : 별결정력 IV미래를 보는 자
스카디레인저물리브레이크 샷브로큰 블리자드직격 IV빙결의 마안
아네모네레인저물리풀 불렛클라우드 이터급소 공격 V코드 : 어썰트
아니시아레인저물리택틱스 레이저티아마트 브레스신체 단련 IV공포의 티아마트
여와레인저물리산하사직륜완전무상세계급소 공격 IV신화의 영역
위시레인저물리미사일 샤워풀 오픈 어택급소 공격 IV파워드 아머
조유리레인저물리하트 폴다이렉트 하트만물 관통 IV선홍빛 조율
크로우레인저물리램페이지제노사이드만물 관통 IV기어 다니는 까마귀
피어[21]레인저물리모드 : 레인모드 : 스나이프만물 관통 IV포스 너브
네메시스메이지물리가시덤불의 춤백만 송이 꽃결정력 IV불멸의 꽃
루나메이지마법문 라이트스페이스 레이저신체 단련 IV달의 여신
아이렌메이지마법커스드 댄싱그리프 티어 드롭만물 관통 IV블랙 오닉스
아이작메이지마법트라이 엘레멘탈제로 엘레멘탈직격 IV빛의 조각
아크날메이지마법블랙홀빅 뱅결정력 V마나 공명
장원영메이지마법러브 송러블리 빔일점 돌파 IV타고난 아이돌
크산티페메이지마법거대한 암흑부유하는 재앙호승심 IV다크 스피릿
클레오파트라메이지마법스핑크스 레이드안티 피라미드신체 단련 V히에로글리프
피프[22]메이지마법오더 : 웨이브오더 : 쇼크일점 돌파 IV피프스 필
하데스메이지마법디셉타토르퀴리타티오만물 관통 V프리구스
현천메이지물리수적석천이이투어직격 IV수면의 현무
호라이즌메이지마법지고의 무구G 소드 다이버직격 IV전설의 대장장이
효월메이지마법기호지세호시탐탐직격 IV안개 속 백호
다이앤서포터물리신 플라워리뎀션 불렛직격 IV속죄의 기도
서포터물리환수 소환생물학 소환술결정력 IV유능한 사무직
백설서포터마법백야의 협주곡월하의 야상곡금강 IV만년의 고독
샤티서포터마법천지인 활약밤산책신체 단련 IV신목의 영험함
유그드라실서포터마법예쁜 꽃큰 나무직격 IV유그만 믿어!
잔다르크서포터마법글로리어스 플래그포 아너금강 V찬란한 여명
제크[23]서포터마법오더 : 라이딩오더 : 매직금강 IV젝스 이모션
최예나서포터마법매지컬 라이드더 그레이트 매직금강 IV해피 바이러스
하루서포터마법비오는 날가벼운 산책신체 단련 IV우산 아래에서

7. 희귀[편집]


영웅클래스타입액티브1액티브2라인스킬패시브
나트탱커물리1인
기절
3인
공격력 감소
최대 생명력 증가아군 물리형 영웅이
받는 피해량 감소
전투 시작시 도발
나트
(궁극강화)
탱커물리1인 (마지막 피해 5인)
기절
공격력 높은 3인
공격력 감소
고정 피해
받는 치명타 데미지 감소아군 받는 피해량 감소
전투 시작시 도발
생명력 감소시 1회 회복
노사탱커물리자신 받는 피해량 감소
자신 도발
도발 시간 증가 (토벌전)
5인
마비
최대 생명력 증가아군 방어력 증가
아군 출혈 면역
아군이 5인 공격에
받는 피해량 감소 (토벌전)
손오공탱커물리4인
적 피해량 감소
3인최대 생명력 증가전열 위치 시 아군 방어력 증가
중열 위치 시 아군 공격력 증가
후열 위치 시 아군 반격률 증가
공격 시 방어력 비례 피해
오필리아탱커마법공격력 높은 아군 2인의
받은 피해량 절반을
대신 받음
자신이 받는 피해 감소
공격력 높은 1인
기절
공격력 증가생명력 감소 시 회복
석화 면역
월영탱커물리공격력 높은 1인
대상 받는 피해량 증가
대상 우선 공격
4인
실명
받는 피해량 감소적 사망 시 자신 회복
적 사망 시마다 적 공격력 감소
월영
(궁극강화)
탱커물리4인
순차적 피해
순차적 방어력 피해
방어력 추가피해 (월드보스)
4인
확정 치명타
방어력 추가피해 (월드보스)
대상 저주
아군 탱커 영웅이 저주 대상 공격 시 방어력 추가피해
치명타 데미지 증가적 사망 시마다 적 공격력 감소
방어력 높은 아군 3인
방어력 증가
글렉파이터물리1인
적 방어력 감소
4인
기절
추가 피해 (월드보스)
치명타 확률 증가아군 침묵 면역
아니마 세력 영웅에게 주는 피해량 증가
리토파이터마법4인4인
감전
마법형 아군 치명타 데미지 증가적 치명타 데미지 감소
마루간파이터물리5인
기절
적 추가피해
(월드보스)
생명력 비례 피해 (월드보스)
방어력이 가장 높은 1인
생명력 비례 피해
치명타 저항 확률 증가받는 피해량 감소
아니마 세력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감소
사이온파이터물리5인
고정 피해
1인
전장 이탈
최대 생명력 증가공격 시 징표
징표 대상 공격 시 추가 피해
사이온(궁극강화)파이터물리결정력
스토나파이터물리4인
출혈
4인
고정 피해
치명타 데미지 증가피해량 비례 흡혈
마비 면역
아린파이터물리1인
출혈
5인
스킬 쿨타임 증가
공격력 증가일반 공격시
아군 스킬 쿨타임 감소
피해 차단 확률 증가
위그라프파이터물리3인
(첫번째 피해 1인)
자신 보호막
체력이 가장 많은 1인
비율 관통 증가
전장 이탈
치명타 저항 확률 증가고정 관통 증가
받는 피해량 감소
아군 기절 면역
위그라프
(궁극강화)
파이터물리
파이란파이터물리1인 (마지막 피해 5인)
기절
5인
생명력 비례 피해
치명타 확률 증가남은 체력 반비례하여
피해량 & 피해 차단 확률 증가
마이아크레인저물리3인
추가 피해 (마수 타입)
1인
생명력 낮은 적 추가 피해
오한
최대 생명력 증가자신 반피 이상 시 추가 피해
샤나레인저물리1인
확정 치명타
5인
화상
방어력 증가물리형 아군 3인 이상 시 자신 공격속도 증가
은신 효과
세리스레인저물리1인3인
출혈
치명타 확률 증가반피 이하 적 공격 시
추가 피해
에스타레인저물리3인
확정 치명타
5인
적 받는 회복률 감소
공격력 증가공격 시 출혈
아군 화상 면역
키르레인저물리공격력 높은 1인공격력 높은 1인
중독 대상 추가 피해
피해량 증가은신 효과
공격 시 중독
호프레인저물리1인
기절
5인
마법형 영웅 대상 추가 피해
방어력 증가아군 그라인츠 영웅 3인 이상 시
아군 피해량 증가
적 치명타 확률 감소
나리아메이지마법4인
마법형 아군 보호막
5인
생명력 비례 피해
침수
피해 차단 확률 증가아군 군중 제어 저항 확률 증가
쿨타임 증가 면역
자신 제외 각 클래스 미중복 시 해당 클래스 수 비례 아군 방어력 증가
레이즈메이지마법1인
물리 영웅 추가피해
1인
감전
치명타 확률 증가마법형 아군 3인 이상 시 자신 공격속도 증가
피해 차단 확률 증가
리무메이지마법3인
빙결 / 오한
5인
빙결 / 오한
치명타 데미지 증가생명력 감소시 방어력 증가
아군 화상 면역
리무
(궁극강화)
메이지마법공격력 높은 3인
생명력 비례 피해
빙결 / 오한
5인
추가피해 (마수 타입)
빙결 / 오한
고정 관통 증가생명력 감소시 받는 피해량 감소 & 공격력 증가
아군 화상 면역
아군 스킬 쿨타임 감소
블로섬메이지마법3인
적 받는 회복률 감소
4인
적 받는 회복률 감소
공격력 증가방어력 증가
공격 시 폭탄 설치 (20초 후 피해)
자일로메이지마법1인 (마지막 5인)
실명
추가 피해 & 적 사망시 아군 회복 (외대륙)
5인
중독
마비 (외대륙)
방어력 증가적 공격력 감소
적 공격력 & 방어력 추가 감소
& 자신 공격 속도 증가 (외대륙)
헤스티아메이지마법3인
순차적 피해
화상
5인
화상 상태시 추가피해
마법형 아군 피해량 증가공격력 증가
아군 빙결 면역
헤스티아
(궁극강화)
메이지마법4인
순차적 피해
화상 / 오한
추가피해 (마수 타입)
5인
화상/오한 상태시
생명력 비례 추가피해
마법형 아군 피해량 증가공격력 증가
아군 빙결 면역
화상/오한 중첩시 생명력 비례 피해
다프네서포터마법생명력 낮은 1인 회복아군 보호막받는 피해량 감소아군이 마법형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감소
아군 마비 면역
다프네
(궁극강화)
서포터마법1인
생명력 낮은 1인 회복
아군 보호막
아군 피해량 증가
받는 피해량 감소아군이 마법형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감소
아군 마비 면역
적 방어력 감소
치명타 데미지 감소 (로드웰)
라이리서포터마법공격력 높은 아군 1인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데미지
/ 스킬 사용 확률 증가
4인
적 버프 해제
공격력 증가아군 반사 피해 감소
실명 면역
이모딘서포터물리5인
생명력 비례 피해
적 반격률 감소
아군 보호막
아군 피격시 회복
자신 방어력 증가
피해 차단 확률 증가스킬 사용시 도발
자신이 1인 공격에
받는 피해량 감소
바티서포터마법생명력 낮은 아군 3인
지속 회복
회복 아군 방어력 /
군중 제어 저항 확률 증가
아군 받는 피해량 감소
아군 디버프 해제
방어력 증가아군 스킬 쿨타임 증가 면역
아군 군중 제어 적용 확률 증가
프레이서포터마법사망 1인 부활
부활 대상 보호막
5인 회복치명타 확률 증가아군 받는 회복률
아군 중독 면역
프레이
(궁극강화)
서포터마법사망 2인 부활
부활 대상 보호막
적 4인 피해
5인 회복
받는 피해 감소
치명타 확률 증가아군중독 면역
공격력 증가
비율관통 증가
적 5인 생명력 감소(PvP)
사망 시 1회 부활
[10] 6.27까지였으나 연장되었다.[11] 본래 30회였으나, 2018년 8월 23일 패치로 40회로 증가되었다.[12] 10젬으로 시작하여 2회마다 5젬씩 늘어난다. 10 - 10 - 15 - 15 - 20 식으로.[13] 베아트릭스와 앗슈가 20표로 동률이라 7명을 선정하였다.[14] 레테와 현천이 10표로 동률이라 7명을 선정하였다.[15] 스카디, 테제, 벨벳, 백아가 5표로 동률이라 8명을 선정하였다.[16] 피프, 제크, 이계의 왕이 6표로 동률이라 7명을 선정하였다.[17] 헤라클레스, 피어가 8표로 동률이라 7명을 선정하였다.[18] 안유진과 동일한 캐릭터[19] 권은비와 동일한 캐릭터[20] 강혜원과 동일한 캐릭터[21] 조유리와 동일한 캐릭터[22] 장원영과 동일한 캐릭터[23] 최예나와 동일한 캐릭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일반[편집]


여기에 작성된 영웅은 타라를 제외하고는 모두 4성부터 존재하는, 에피소드와 히든스토리[24]가 존재하는 나름대로 신경쓴 일반 영웅들이다.
영웅클래스타입액티브1액티브2라인스킬패시브
라타토스탱커마법마법형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감소
공격력 증가
5인
마법형 영웅 추가 피해
받는 회복률 증가적 마법형 영웅 3명 이상시 자신 받는 피해랑 감소
라타토스II탱커물리물리형 영웅에게 받는 피해량 감소
공격력 증가
5인
물리형 영웅 추가 피해
최대 생명력 증가적 물리형 영웅 3명 이상시 자신 받는 피해랑 감소
리온탱커물리1인
기절
아군 3인
군중 제어 저항 확률 & 방어력 증가
최대 생명력 증가받는 물리 피해 감소
샤이닝 골렘탱커마법공격력 높은 1인
석화
4인
군중 제어 저항 확률 감소
치명타 확률 증가공격 시 추가 피해
알콘탱커물리아군 방어력 증가
아니마 세력 영웅 피해량 증가
1인
기절
방어력 증가아군 사망시 자신 공격력 증가
마카온파이터물리1인
반피 이하시 추가 피해
1인
반피 이하시 추가 피해
받는 회복률 증가반피 이하시 자신 방어력 증가
하리마파이터물리1인
물리형 영웅 추가 피해
4인
물리형 영웅 기절
공격력 증가아니마 세력 영웅 3인 이상 시 피해량 & 방어력 증가
기가마키나레인저물리4인4인최대 생명력 증가일반 공격 시 스킬 쿨타임 감소
레드마키나레인저물리5인
적 반격률 감소
3인
화상
받는 회복률 증가방어력 낮은 적 3인 방어력 감소
빅토리아레인저물리4인4인
공격력 감소
치명타 확률 증가일반 공격 시 공격력 증가
알터레인저물리1인
고정 관통 증가
1인
확정 치명타
반격률 증가방어력 높은 적 1인 방어력 감소
테라마키나레인저물리5인
고정 피해
5인
최대 생명력 비례 피해
치명타 확률 증가스킬 사용시 공격력 증가
니블헤임메이지마법1인
오한
오한 시 추가 피해
1인
오한
오한 시 추가 피해
치명타 데미지 증가피격 시 적 오한
다크헬메이지마법3인
피해 차단 확률 감소
4인
군중 제어 저항 확률 감소
방어력 증가적 3인 공격력 감소
수르트메이지마법1인
화상
4인
화상 시 추가 피해
치명타 저항 확률 증가적 사망 시 적 5인 화상
엘더밴시메이지마법4인
침묵
1인
피해량 비례 생명력 회복
방어력 증가아군 사망시 자신 공격력 증가
브룬힐드서포터물리1인
빙결
적 4인 고정 피해 감소율 감소치명타 데미지 증가크레이지 불렛 세력 영웅 3인 이상 시
자신 공격력 증가
아마티서포터마법3인 중독
군중 제어 저항 확률 감소
1인
실명
치명타 저항 확률 증가스킬 시전 시 자신 회복
엘리자베스서포터마법3인
마비
1인
방어력 감소
치명타 데미지 감소가이스트 세력 영웅 3인 이상 시
자신 방어력 & 공격력 증가
타라서포터마법3인 지속 회복1인피해 차단 확률 증가방어력 낮은 적 1인 방어력 감소
홀리고스트서포터마법1인
대상 우선 공격
1인
공격력 감소
최대 생명력 증가아군 사망시 자신 생명력 회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9:31:49에 나무위키 오버히트(게임)/영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4] 다만 히든스토리는 레드마키나, 기가마키나, 테라마키나는 없다. 스토리에 등장은 하지만 말 그대로 제 2원정대를 상대한 것 외에는 별 활약이 없었기 때문인듯하다. 그래도 스토리 보스몹인 만큼 테마곡(마키나 시리즈)가 존재한다. 이 외에도 보스 영웅들은 그에 맞는 테마곡이 존재하는데 이후로 다른 컨텐츠에서도 해당 BGM이 쓰이기 시작하면서 의미가 퇴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