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군참모총장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문서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번 문단을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편집]


空軍參謀總長. Chief of Staff of the Air Force (CSAF)/Chief of the Air Staff(CAS). 공군본부의 수장으로 공군 전체의 최선임 장교이다.

의전서열합동참모의장-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다음으로 4위이다.


2. 대한민국 공군[편집]



2.1. 역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합중국 공군[편집]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합동참모본부의 현역 대장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합동참모의장#s-4|{{{#000000,#e5e5e5 합동참모의장}}}]]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찰스 브라운]] {{{-2 (공군)}}} || ||<-3> [[합동참모차장#s-3|{{{#000000,#e5e5e5 합동참모차장}}}]]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2 (해군)}}} || ||<-3><bgcolor=#4169e1> || ||<width=33.33%> [[육군참모총장#s-2.2|{{{#000000,#e5e5e5 육군참모총장}}}]] ||<width=33.33%> [[해군참모총장#s-3|{{{#000000,#e5e5e5 해군참모총장}}}]] ||<width=33.33%> [[공군참모총장#s-3|{{{#000000,#e5e5e5 공군참모총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랜디 조지]]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리사 프란체티]]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데이비드 올빈]] || || [[육군참모차장#s-2.2|{{{#000000,#e5e5e5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s-3|{{{#000000,#e5e5e5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s-3|{{{#000000,#e5e5e5 공군참모차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 ||<-3><bgcolor=#4169e1> || || [[해병대사령관#s-2.1|{{{#000000,#e5e5e5 해병대사령관}}}]] || [[해안경비대사령관#s-2.2|{{{#000000,#e5e5e5 해안경비대사령관}}}]] || [[미합중국 우주군#s-2.1|{{{#000000,#e5e5e5 우주군참모총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에릭 스미스(군인)|에릭 스미스]]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린다 파간]]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챈스 솔츠먼]] || || [[미합중국 해병대#s-2.1|{{{#000000,#e5e5e5 해병대부사령관}}}]] || [[미합중국 해안경비대|{{{#000000,#e5e5e5 해안경비대부사령관}}}]] || [[미합중국 우주군#s-2.1|{{{#000000,#e5e5e5 우주군참모차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크리스토퍼 마호니]]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스티븐 포울린]]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 ||<-3> [[주방위군총감|{{{#000000,#e5e5e5 주방위군총감}}}]]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다니엘 호칸슨]] {{{-2 (육군)}}} ||





현직
파일:Alvin VCSAF.jpg
데이비드 올빈 (David W. Allvi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

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각군 참모총장과 마찬가지로 군령권도, 군정권도 없으며, 문민인 국방장관, 공군장관의 참모 역할에 가깝다.

파일:Welsh_Schwartz_change_of_command.jpg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만이 입을 수 있는 특별한 예복이 있다. 왼쪽부터 국방장관이었던 리언 패네타, 합참의장 마틴 뎀프시, 공군장관 마이클 돈리[1], 19대 공참총장 노턴 슈워츠, 20대 공참총장 마크 웰시, 공군주임원사 제임스 로이다. 이 예복이 안 유명한 건 옷을 입을 수 있는 사람이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 밖에 없는데다가 그나마도 자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격은 700달러(한화 약 90만원) 수준이다.


3.1. 역대 공군참모총장[편집]


전원이 공군 대장이다. 공군총장이지만 20대까지는 육사 출신이 10명, 학군 출신이 5명, 학사/간사 출신이 2명, 공사 출신이 4명이다. 또한 핵전쟁의 압박 속에서 폭격기들을 많이 굴리는 미군의 특성상 전투기 조종사 외에도 폭격기 조종사 출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냉전시대엔 폭격기 경력자들[2]이 자주 공군총장에 올랐지만 냉전이 끝난 뒤에는 전투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헨리 아놀드 원수가 최초, 최후의 공군원수이지만, 공군 독립 이전에 모든 보직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공군참모총장 보직을 수행해 보지는 못했다.[3]
||
[ 펼치기 · 접기 ]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칼 스파츠호이트 밴던버그네이선 트와이닝토머스 화이트커티스 르메이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존 매코넬존 라이언조지 브라운데이비드 존스루 앨런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찰스 게이브리얼래리 웰치마이클 듀건메릴 맥피크로널드 포글먼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이클 라이언존 점퍼마이클 모슬리노턴 슈워츠마크 웰시
제21대제22대제23대
데이비드 골드파인찰스 브라운데이비드 올빈



  • 1대 칼 스파츠(Carl A. Spaatz): 1947-1948. 본래 미 육군 보병 출신으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유럽에서 쑥 좀 재배하셨던 분.
  • 2대 호이트 밴던버그(Hoyt Vandenberg): 1948-1953. 웨스트포인트 출신. 2대 CIA 국장을 지냈다. 캘리포니아밴던버그 공군기지에 이름이 붙었다. 정보분야에서 활동한 다크한 경력과는 별개로 굉장히 잘생겼던 사람이라서 마릴린 먼로5게 조 디마지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무인도에 함께 갇히고 싶은 세 남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 3대 네이선 트와이닝(Nathan F. Twining): 1953-1957. 웨스트포인트 출신. 합참의장을 지냈다. 소싯적엔 주방위군에서 잠깐 복무하다 사관학교에 가서 졸업한 뒤 조종사가 되었다.
  • 4대 토머스 화이트(Thomas D. White): 1957-1961. 웨스트포인트 출신. 관측기를 몰았고 주로 참모직에서 근무했다.
  • 5대 커티스 르메이(Curtis E. LeMay): 1961-1965.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육군 ROTC 출신이지만 타고난 항덕후로서 조종사 되겠다고 육군 예비역, 주방위군, 육군 항공단까지 소위만 세번을 했다. 젊은 시절에는 전투기를 조종했으나 석기 시대 정체성을 깨닫고는 30대의 나이로 장군이 되어 독일과 일본에 불벼락을 내리며 전략 폭격의 방법론을 정립했다. 전략공군사령부에서도 플라잉 붐 방식 공중급유기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탄도 미사일 개발에 나섰으며 M16 소총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는 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겨서 오늘날에는 미 공군 독립 이래 최고의 명장이자 맹장으로 꼽히고 있다. 심지어는 전역 이전에 원수로 추대하자는 주장까지 나오기도 했다.
  • 6대 존 매코넬(John P. McConnell): 1965-1969. 다른 대학을 다니다 재수해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1966년 해롤드 존슨 육군참모총장과의 존슨-매코넬 협정을 체결하여 군용 항공기의 소속 논란을 마무리했다.
  • 7대 존 라이언(John D. Ryan): 1969-1973.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 8대 조지 브라운(George S. Brown): 1973-1974.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재임기간이 짧은 게 합참의장으로 영전했기 때문이다.
  • 9대 데이비드 존스(David C. Jones): 1974-1978. 폭격기. 학사장교 출신이다.
  • 10대 루 앨런(Lew Allen): 1978-1982. 육사 출신이다. 폭격기 조종사로 활동했고, NSA 국장을 지냈다. 참모총장 임기 이후에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장[4]을 8년간 역임했다.
  • 11대 찰스 게이브리얼(Charles A. Gabriel): 1982-1986. 육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 12대 래리 웰치(Larry D. Welch): 1986-1990. 미 육군 병으로 근무하다 전군해서 장교후보생으로 미 공군에 입대했다. 전투기 출신이다.
  • 13대 마이클 듀건(Michael J. Dugan): 1990-1990. 육사 출신이다. 전투기를 몰았다. 걸프전 당시에 미국군이 이라크사담 후세인과 그의 가족, 정부까지 포격할 거라고 인터뷰했다가 당시 국방장관딕 체니에 의해 경질되었다. 재임기간은 겨우 78일. 존 로(John M. Loh)가 직무대행을 했다. 여담으로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에 비슷하게 생긴 동명이인의 미국 대통령이 있다.
  • 14대 메릴 맥피크(Merrill A. McPeak): 1990-1994. 샌디에이고주립대학 ROTC 출신이다. 재직 당시 영국 공군마냥 해군스러운 수장을 정복에 넣으려는 시도를 했다가 수많은 공군 장병들이 경악하여 흑역사로 묻힌 기록이 있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가 대통령에 출마할 당시 민주당 선대위원장을 지냈다.
  • 15대 로널드 포글먼(Ronald R. Fogleman): 1994-1997. 전투기/수송기 조종사 출신으로 최초의 미국공군사관학교 출신 공군총장이다. 주한미군7공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통합군 수송사령관을 지낸 뒤 참모총장에 올랐다. 전역 후 STS-107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폭발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한 스태퍼드-코비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보잉의 고문으로 일하며 3차 FX 사업의 경쟁자였던 F-35를 까기도 했다.
  • 16대 마이클 라이언(Michael E. Ryan): 1997-2001. 공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아버지가 7대 공군참모총장이었던 존 라이언이다.
  • 17대 존 점퍼(John P. Jumper): 2001-2005. 버지니아군사대학 ROTC 출신이다. 전투기 출신.
  • 18대 마이클 모슬리(T. Michael Moseley): 2005-2008. 텍사스 A&M 대학(Texas A&M University)을 졸업했다. 전투기 출신.
  • 19대 노턴 슈워츠(Norton A. Schwartz): 2008-2012. 공사 출신. 역대 공군총장들이 전투기나 폭격기로 출신이 양분되는 것과 달리 특수작전항공기, 즉 대형 수송기(C-130 계열기)와 헬리콥터를 몰았다. 통합군 경력도 수송사령관 출신이라 다른 공군총장들에 비해 굉장히 튀는 편이다.
  • 20대 마크 웰시(Mark A. Welsh III): 2012-2016.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A-10, F-16
  • 21대 데이비드 골드파인(David L. Goldfein): 2016-2020.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17, F-16
  • 22대 찰스 브라운(Charles Q. Brown Jr.): 2020-2023. 텍사스 공과대학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6. 합참의장으로 영전.
  • 23대 데이비드 올빈(David W. Allvin): 2023-현재. 공사 출신. 수송기 조종사 출신.


4. 항공자위대[편집]


현직
파일:message1.jpg
우치쿠라 히로아키 (内倉浩昭)
방위대학교 31(공군사관학교 35)

파일:항공막료장 기.svg

항공막료장(航空幕僚長). Chief of Staff, Air Self Defense Force.


4.1. 항공막료장[편집]




역대이름한자(한국식 한자음)임기출신일본군 경력
1우에무라 겐타로上村健太郞(상촌건태랑)1954.7.1 - 1956.7.3도쿄대학
2사나기 사다무佐薙毅(좌치의)1956.7.3 - 1959.7.18해병50기해군 대좌
3겐다 미노루源田實(원전실)1959.7.18 - 1962.4.7해병52기해군 대좌 [5]
4마쓰다 다케시松田武(송전무)1962.4.7 - 1964.4.17도쿄대학/육사39기육군 대좌
5우라 시게루浦茂(포무)1964.4.17 - 1966.4.30육사44기육군 중좌
6무타 히로쿠니牟田弘國(모전홍국)1966.4.30 - 1967.11.14육사43기육군 중좌
7오무로 쓰토무大室孟(대실맹)1967.11.15 - 1969.4.25육사45기해군 소좌
8오가타 가게토시緒方景俊(서방경준)1969.4.25 - 1971.7.1육사46기육군 소좌
9우에다 야스히로上田泰弘(상전태홍)1971.7.1 - 1971.8.10육사49기육군 소좌
10이시카와 간시石川貫之(석천관지)1971.8.10 - 1973.7.1육항사50기육군 소좌
11시라카와 모토하루白川元春(백천원춘)1973.7.1 - 1974.6.30육항사51기육군 소좌
12쓰노다 요시타카角田義隆(각전의륭)1974.7.1 - 1976.10.15해기 49기[6]해군 대위
13히라노 아키라平野晃(평야황)1976.10.15 - 1978.3.16해병69기해군 대위
14다케다 고로竹田五郞(죽전오랑)1978.3.16 - 1979.7.31육사55기육군 대위
15야마다 료이치山田良市(산전양시)1979.8.1 - 1981.2.17해병71기해군 대위
16나마타메 오사무生田目修(생전목수)1981.2.17 - 1983.4.26육사58기육군 소위
17모리 시게히로森繁弘(삼번홍)1983.4.26 - 1986.2.5육사60기사관생도
18오무라 히토시大村平(대촌평)1986.2.6 - 1987.12.11도쿄공업대
19요네카와 다다요시米川忠吉(미천충길)1987.12.11 - 1990.7.9아오야마학원
20스즈키 아키오鈴木昭雄(영목소웅)1990.7.9 - 1992.6.16방대 1(공사 5)
21이시즈카 이사오石塚勳(석총훈)1992.6.16 - 1994.7.1방대 3(공사 7)
22스기야마 시게루杉山蕃(삼산번)1994.7.1 - 1996.3.24방대 4(공사 8)
23무라키 고지村木鴻二(촌목홍이)1996.3.25 - 1997.12.8방대 6(공사 10)
24히라오카 유지平岡裕治(평강유치)1997.12.8 - 1999.7.9방대 8(공사 12)
25다케고치 쇼지竹河內捷次(죽하내첩차)1999.7.9 - 2001.3.26방대 9(공사 13)
26도타케 이쿠오遠竹郁夫(원죽욱부)2001.3.27 - 2003.3.27방대 11(공사 15)
27쓰마가리 요시미쓰津曲義光(진곡의광)2003.3.27 - 2005.1.12방대 13(공사 17)
28요시다 다다시吉田正(길전정)2005.1.12 - 2007.3.28방대 14(공사 18)
29타모가미 토시오[7]田母神俊雄(전모신준웅)2007.3.28 - 2008.10.31방대 15(공사 19)
직무대행이와사키 시게루岩岐茂(암기무)2008.10.31 - 2008.11.7방대 19(공사 23)
30호카조노 겐이치로外薗健一朗(외원건일랑)2008.11.7 - 2010.12.24방대 18(공사 22)
31이와사키 시게루岩岐茂(암기무)2010.12.24 - 2012.1.30방대 19(공사 23)
32가타오카 하루히코片岡晴彦(편강청언)2012.1.31 - 2013.8.22방대 20(공사 24)
33사이토 하루카즈齊藤治和(제등치화)2013.8.22 - 2015.12.1방대 22(공사 26)
34스기야마 요시유키杉山良行(삼산양행)2015.12.1 - 2017.12.20방대 24(공사 28)
35마루모 요시나리丸茂吉成(환무길성)2017.12.20 - 2020.8.24방대 27(공사 31)
36이즈쓰 슌지井筒俊司(정통준사)2020.8.25 - 2023.3.29방대 30(공사 34)
37우치쿠라 히로아키内倉浩昭(내창호소)2023.3.30 -방대 31(공사 35)


4.1.1. 주요 출신 직종[편집]


직종을 살펴보면 조종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역대 항공막료장 34명 가운데 경찰 관료 출신이 1명, 조종 출신이 27명, 방공포병 출신이 1명, 항공관제/방공관제 출신이 2명, 군수(항공우주공학,기계공학/보급) 출신이 4명, 인사행정 출신이 2명이다.





  • 군수(항공우주공학,기계공학(□표시)/보급( ■표시))
    • 4대 마쓰다 다케시
    • 18대 오무라 히토시
    • 24대 히라오카 유지[9]
    • 32대 가타오카 하루히코

  • 인사행정
    • 8대 오가타 가게토시[10]
    • 12대 쓰노다 요시타카


5. 인민해방군 공군[편집]


현직
파일:중국인민해방군상장창딩추.jpg
창딩추 상장
2021년부터 13대 공군사령원 창딩추 공군상장이 취임했다. 이전 보직은 연합참모부 부참모장


5.1. 역대 공군사령원[편집]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역대 공군사령원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기.svg
1대2대3대4대5대
류야러우우파셴마닝장팅파왕하이
6대7대8대9대10대
차오솽밍위전우류순야오차오칭천쉬치량
11대12대13대14대15대
마샤오톈딩라이항창딩추..

  • 1대 류야러우(刘亚楼) 공군상장 1949. 10 - 1965. 5
  • 2대 우파셴(吴法宪) 공군중장 1965. 5 - 1973. 5[11]
  • 3대 마닝(马宁) 공군소장 1973. 5 -1977. 4
  • 4대 장팅파(张廷发) 공군소장 1977. 4 - 1985. 7
  • 5대 왕하이(王海) 공군상장 1985. 7 - 1992. 11
  • 6대 차오솽밍(曹双明) 공군상장 1992. 11 - 1994. 10
  • 7대 위전우(于振武) 공군상장 1994. 10 - 1996. 11
  • 8대 류순야오(刘顺尧) 공군상장 1996. 11 - 2002. 5
  • 9대 차오칭천(乔清晨) 공군상장 2002. 5 - 2007. 9
  • 10대 쉬치량(许其亮) 공군상장 2007. 9 - 2012. 10
  • 11대 마샤오톈(马晓天) 공군상장 2012. 10 - 2017. 8
  • 12대 딩라이항(丁来杭) 공군상장 2017. 8 - 2021. 8
  • 13대 창딩추 공군상장 2021.9~


6. 대만 공군[편집]


현직
파일:202205041545_459220.jpg.png
류런위안 (劉任遠)
공군관교 74년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대만 공군의 최선임 장교이다.


6.1. 역대 공군사령[편집]


||
[ 펼치기 · 접기 ]

공군총사령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저우지러우왕슈밍첸지아샹쉬환셩라이밍탕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첸이판스투푸우위에궈루린첸셴링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린웬리탕페이황셴롱첸자오민리톈위
제16대
류구이리
공군사령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선궈전펑성주레이위지옌밍류전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선이밍장저핑슝허우지류런위안




역대이름한국음한자재임기간계급
1대저우지러우주지유周至柔1946년06월-1952년03월공군1급상장
2대왕슈밍왕숙명王叔銘1952년03월-1957년07월공군상장[12]
3대첸지아샹진가상陳嘉尚1957년07월-1963년07월공군상장
4대쉬환셩서환승徐煥升1963년07월-1967년07월공군상장
5대라이밍탕뇌명탕賴名湯1967년07월-1970년07월공군상장
6대첸이판진의범陳衣凡1970년07월-1975년06월공군상장
7대스투푸사도복司徒福1975년06월-1977년08월공군상장
8대우위에오월烏鉞1977년08월-1982년01월공군상장
9대궈루린곽여림郭汝霖1982년01월-1986년07월공군상장
10대첸셴링진신령陳燊齡1986년07월-1989년11월공군상장
11대린웬리임문례林文禮1989년11월-1992년09월공군상장
12대탕페이당비唐飛1992년09월-1995년06월30일공군상장
13대황셴롱황현영黃顯榮1995년07월01일-1998년06월11일공군상장
14대첸자오민진조민陳肇敏1998년06월12일-2002년02월28일공군상장
15대리톈위이천우李天羽2002년03월01일-2004년05월19일공군상장
16대류구이리유귀립劉貴立2004년05월20일-2006년02월16일공군상장


역대이름한국음한자재임기간계급
1대선궈전심국정沈國禎2006년02월17일 - 2007년07월15일공군상장
2대펑성주팽승죽彭勝竹2007년07월16일 - 2009년07월15일공군상장
3대레이위지뇌옥기雷玉其2009년07월16일 - 2011년01월05일공군상장
4대옌밍엄명嚴明2011년01월06일 - 2013년01월15일공군상장
5대류전우유진무劉震武2013년01월16일 - 2015년01월30일공군상장
6대선이밍심일명沈一鳴2015년01월31일 - 2018년02월28일공군상장
7대장저핑장철평張哲平2018년03월01일 - 2019년06월31일공군상장
8대슝허우지웅후기熊厚基2019년07월01일 - 2022년 4월 30일공군상장
9대류런위안유임원劉任遠2022년 5월 1일 - 현직공군상장


7. 싱가포르 공군[편집]


싱가포르 공군총장


8. 호주 공군[편집]




9. 영국 공군[편집]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United Kingdom))라고 부르며 약칭은 CAS이다. 17대 참모총장까지는 원수가 맡기도 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계속 대장이 맡고 있다.


10.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8:44:18에 나무위키 공군참모총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ichael B. Donley,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이나 재직했다. 로버트 게이츠, 리언 패네타, 척 헤이글 등 3명의 국방부 장관을 보좌했다.[2] '폭격기 경력자'로 표현은 되어있지만, 폭격기 뿐만 아니라 전략공군사령부 산하 탄도미사일 부대에서의 경력 또한 화려한 인물들이다. 이 정도 장군들에게는 폭격기 조종 경력이라는 것이 단순히 폭격부대 전문가 수준이 아니라 핵전쟁을 지휘할만한 능력을 의미한다. [3] 다만, 미 육군항공대가 그의 육군항공사령관 재임시기 이미 육군으로부터 반독립 상태에 있어 실질적으로 공군참모총장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했다. 2차대전 시기 합동참모회의에 그도 참여하며 미군의 항공작전 전반을 총괄하였다.[4] 현재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 있는 연구소지만 워낙 중요한 국책연구기관이라 공군 인사들이 부소장을 맡는다. 다만 21세기 들어서는 별 자리 줄이는 추세라서 웬만하면 2~3성급 장성이 임명되는 편.[5]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참모로, 진주만 공습을 기획한 전범자로 유명하다[6] 해군기관학교. 일본 해군의 기관장교 양성 학교[7] 이 인간은 경질당했는데 중일전쟁이 일어난 게 코민테른에 의한 사주이며 일본은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 때문에 잘린 뒤에 우익 단체들과 어울리고 있다. 관련 아사히신문 기사를 번역한 글 거기다 2014년 2월 9일 도쿄도지사 선거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혔다.[8] 일본에선 비행이라고 한다.[9] 일등공좌 시절에 항자대 제3 보급창(3rd Air Dept.) 기획과장, 항공막료부 총무과 홍보실장, 공장보 시절에 항자대 보급본부 간사를 역임했으며 방위대 출신으로 이공계통이 아니다.[10] 일본군 육군 시절 인사행정분야에서 근무했으며, 항자대시절 항공지원집단, 방위연구소(자위대 안보 싱크탱크)에서 근무하였다. 장비시설본부에서 근무한 적이 있지만 공학계 기술관료라고 보기에는 전공이나, 주 커리어 면에서 무리가 있기에 이전해서 서술한다.[11] 계급이 낮다 싶을 수 있는데 1966년부터 1987년까지 중국군은 계급이 없어서 계급 폐지 전의 계급을 적어서 그렇다.[12] 왕슈밍부터는 전원이 2급상장이다. 2급은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