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베트남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연호

1. 개요
2. 딘 왕조(Nhà Đinh[1], 丁朝, 정조)
3. 전 레 왕조(Nhà Tiền Lê, 前 黎朝, 전 여조)
4. 리 왕조(Nhà Lý, 李朝, 이조)
5. 쩐 왕조(Nhà Trần, 陳朝, 진조)
6. 호 왕조(Nhà Hồ, 胡朝, 호조)
7. 후 쩐 왕조(Nhà Hậu Trần, 後 陳朝, 후 진조)
8. 후 레 왕조(Nhà Hậu Lê, 後 黎朝, 후 여조)
8.1. 초 레 왕조(Nhà Lê sơ, 初 黎朝, 초 여조)
8.2. 중흥 레 왕조(Nhà Lê trung hưng, 中興 黎朝, 중흥 여조)
9. 막 왕조(Nhà Mạc, 莫朝, 막조)
10. 떠이썬 왕조(Nhà Tây Sơn, 西山朝, 서산조)
11.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 阮朝, 완조)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베트남의 경우, 대외적으로는 중국 왕조에 사대를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대표적인 외왕내제 국가였으므로, 연호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왔다. 지방정권에서만 쓰이고 당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 연호 뒤에 (*)표시를 했다.


2. 딘 왕조(Nhà Đinh[2], 丁朝, 정조) [편집]


국호는 대구월(大瞿越, Đại Cồ Việt, 다이꼬비엣)로,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베트남 계 왕조인 응오 왕조(Nhà Ngô, 吳朝, 오조)를 멸망에 이르게 한 12사군의 난을 평정한 딘보린(Đinh Bộ Lĩnh, 丁部領, 정부령)에 의해 개창된 베트남의 두 번째 독립왕조. 수도는 호아르(Hoa Lư, 華閭, 화려).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타이빈太平태평97098010년선황(先皇, Tiên Hoàng)
폐제(廢帝, Phế Đế)


3. 전 레 왕조(Nhà Tiền Lê, 前 黎朝, 전 여조)[편집]


국호는 역시 대구월이며 수도 역시 호아르. 딘보린이 암살되고 도래한 혼란을 수습하고 레호안(黎桓, Lê Hoàn, 여환)이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 송나라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베트남의 독립을 지켰다.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티엔푹天福천복9809888년대행(大行, Đại Hành)
흥통興統흥통9899934년
응티엔應天응천994100713년중종(中宗, Trung Tông)[3]
까인투이景瑞경서100810091년와조(臥朝, Ngọa Triều)[4]


4. 리 왕조(Nhà Lý, 李朝, 이조)[편집]


국호는 대월(大越, Đại Việt, 다이비엣), 수도를 호아르에서 탕롱(Thăng Long, 昇龍, 승룡: 지금의 하노이)으로 옮겼다. 멸망 후 영종의 아들 리롱뜨엉고려로 망명, 화산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투언티엔順天순천1010102818년태조(太祖,
Thái Tổ)
티엔타인天成천성102810346년태종(太宗,
Thái Tông)
통투이通瑞통서103410395년
깐푸흐우다오乾符有道건부유도103910423년
민다오明道명도104210497년
티엔깜타인부天感聖武천감성무10491년
숭흥다이바오崇興大寶숭흥대보104910545년
롱투이타이빈龍瑞太平용서태평105410595년성종(聖宗,
Thánh Tông)
[5]
쯔엉타인자카인彰聖嘉慶창성가경105910667년
롱쯔엉티엔뜨龍彰天嗣용창천사106610682년
티엔후옹바오뜨엉天貺寶象천황보상10691년
턴부神武신무106910723년
타이닌太寧태녕107210764년인종(仁宗,
Nhân Tông)
아인부찌에우탕英武昭勝영무소승107610859년
꾸앙흐우廣祐광우108510927년
호이퐁會豐회풍109211019년
롱푸龍符용부110111109년
호이뜨엉다이카인會祥大慶회상대경1110112010년
티엔푸주에부天符睿武천부예무112011277년
티엔푸카인토天符慶壽천부경수11271년
티엔투안天順천순112711336년신종(神宗,
Thần Tông)
티엔쯔엉바오뜨天彰寶嗣천창보사113311385년
티에우민紹明소명113811402년영종(英宗,
Thần Tông)
다이딘大定대정1140116323년
찐롱바오응政龍寶應정용보응1163117411년
티엔깜찌바오天感至寶천감지보117411762년
찐푸貞符정부1176118610년고종(高宗,
Cao Tông)
티엔뜨자투이天資嘉瑞천자가서1186120216년
티엔자바오흐우天嘉寶祐천가보우120212053년
찌빈롱응治平龍應치평용응120512116년
끼엔자建嘉건가1211122413년혜종(惠宗,
Huệ Tông)
티엔쯔엉흐우다오天彰有道천창우도122412251년소황(昭皇,
Chiêu Hoàng)
혜종의 차녀. 베트남 유일의 여제. [6]


5. 쩐 왕조(Nhà Trần, 陳朝, 진조)[편집]


수도는 탕롱. 몽골의 원정을 성공적으로 막아내 독립을 지켰다.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끼엔쭝建中건중122512327년태종(太宗,
Thái Tông)
티엔응찐빈天應政平천응정평1232125119년
응우옌퐁元豐원풍125112587년
티에우롱紹隆소륭1258127214년성종(聖宗,
Thánh Tông)
바오푸寶符보부127312796년
찌에우바오紹寶소보127912856년인종(仁宗,
Nhân Tông)
쭝흥重興중흥128512938년
흥롱興隆흥륭1293131419년영종(英宗, Anh Tông)
다이카인大慶대경1314132410년명종(明宗,
Minh Tông)
카이타이開泰개태132413295년
카이흐우開佑개우1329134112년헌종(憲宗, Hiến Tông)
티에우퐁紹豐소풍1341135817년유종(裕宗,
Dụ Tông)
다이찌大治대치1358136911년
다이딘大定대정136913701년폐제(廢帝)[7]
티에우카인紹慶소경137013733년예종(藝宗,
Nghệ Tông)
롱카인隆慶융경137313774년예종(睿宗,
Duệ Tông)
쓰엉푸昌符창부1377138811년폐제(廢帝)[8]
꾸앙타이光泰광태1388139810년순종(順宗,
Thuận Tông)
[9]
끼엔떤建新건신139814002년소제(少帝,
Thiếu Đế)

6. 호 왕조(Nhà Hồ, 胡朝, 호조)[편집]


국호는 대우(大虞, Đại Ngu, 다이응우). 수도는 타인호아(Thanh Hóa, 淸化, 청화). 정권 교체의 혼란을 틈타 명의 영락제가 침입, 7년만에 멸망했다. 이후 진씨의 후예인 간정제(簡定帝)가 이끄는 반명 독립 운동이 일어나지만 베트남은 약 20년간 명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된다.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타인응우옌聖元성원1400호꾸이리(Hồ Quý Ly, 胡季犛, 호계리)
티에우타인紹成소성14011402
카이다이開大개대14031407호한트엉(Hồ Hán Thương, 胡漢蒼, 호한창)

7. 후 쩐 왕조(Nhà Hậu Trần, 後 陳朝, 후 진조)[편집]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흥카인興慶흥경14071409간정제(簡定帝陳頠, Giản Định Đế)
쭝꾸앙重光중광14091414중광제(重光帝陳季擴, Trùng Quang Đế)
명(明)에 정복되어 후 여조(後黎朝)가 성립하기 전까지 명의 지배를 받음.
티엔카인(*)天慶(*)천경14261428쩐까오(Trần Cảo, 陳暠, 진고)[10]

8. 후 레 왕조(Nhà Hậu Lê, 後 黎朝, 후 여조)[편집]


국호는 대월(大越), 수도는 동낀(Đông Kinh, 東京, 동경). 후기 여조는 황제는 명목상일 뿐이고 북의 찐씨(Chúa Trịnh, 主鄭, 주정[11]), 남의 응우옌씨(Chúa Nguyễn, 主阮, 주완[12])의 두 권신 가문이 나라를 양분해 사실상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상황을 맞이한다. 찐씨의 수도는 하노이(탕롱), 응우옌씨의 수도는 푸쑤언(Phú Xuân, 富春, 부춘 : 지금의 후에).

8.1. 초 레 왕조(Nhà Lê sơ, 初 黎朝, 초 여조)[편집]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투언티엔順天순천14281434태조(太祖, Thái Tổ)
티에우빈紹平소평14341440태종(太宗, Thái Tông)
다이바오大寶대보14401443
다이호아大和대화14431454인종(仁宗, Nhân Tông)
지엔닌延寧연녕14541459
티엔흥天興천흥14591460(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응이전(Lê Nghi Dân, 黎宜民, 여의민)
꾸앙투언光順광순14601470성종(聖宗, Thánh Tông)
홍득洪徳홍덕14701498
까인통景統경통14981504헌종(憲宗, Hiến Tông)
타이찐泰貞태정1504숙종(肅宗, Túc Tông)
도안카인端慶서경15051509(묘호 없음) 위목제(威穆帝, Uy Mục đế)
홍투언洪順홍순15091516(묘호 없음) 양익제(襄翼帝, Tương Dực Đế)
(중폐제)
꾸앙티에우光紹광소15161522소종(昭宗, Chiêu Tông)
통응우옌統元통원15221527(묘호 없음) 공황(恭皇, Cung Hoàng)

8.2. 중흥 레 왕조(Nhà Lê trung hưng, 中興 黎朝, 중흥 여조) [편집]


공황이 장군 막당중(Mạc Ðăng Dung, 莫登庸, 막등용)에게 양위하고 퇴위, 소종의 다른 아들이 막 왕조에 대항한 반군을 일으켜 베트남 남부를 차지하고 장종으로 즉위할 때까지 약 6년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한다. 이때까지를 초기, 이후를 중흥 레 왕조로 구분한다.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응우옌호아元和원화15331548장종(莊宗, Trang Tông)
투언빈順平순평15491556중종(中宗, Trung Tông)
티엔흐우天祐천우1557영종(英宗, Anh Tông)
찐찌正治정치15581571
홍푹洪福홍복1572
자타이嘉泰가태15731577세종(世宗, Thế Tông)[13]
꾸앙흥光興광흥15781599
턴득愼德신덕1600경종(敬宗, Kính Tông)
호앙딘弘定홍정16001618
빈토永祚영조16191629신종(神宗, Thần Tông)
득롱徳隆덕륭16291635
즈엉호아陽和양화16351643
푹타이福泰복태16431649진종(眞宗, Chân Tông)
카인득慶徳경덕16491653신종(神宗, Thần Tông)
틴득盛徳성덕16531658
빈토永壽영수16581662
반카인萬慶만경1662
까인찌景治경치16631672현종(玄宗, Huyền Tông)
즈엉득陽徳양덕16721674가종(嘉宗, Gia Tông)
득응우옌徳元덕원16741676
빈찌永治영치16761680희종(熙宗, Hy Tông)
찐호아正和정화16801705
빈찐永盛영성17051720유종(裕宗, Dụ Tông)
바오타이保泰보태17201729
빈카인永慶영경17291732(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주이프엉(Lê Duy Phường, 黎維祊, 여유팽)
롱득龍徳용덕17321735순종(純宗, Thuần Tông)
빈흐우永祐영우17351740의종(懿宗, Ý Tông)
까인흥景興경흥17401786현종(顯宗, Hiển Tông)
찌에우텅昭統소통17871789(묘호 없음) 민제(愍帝, Mẫn đế)

9. 막 왕조(Nhà Mạc, 莫朝, 막조)[편집]


후 레 왕조의 권신이자 장군 막당중이 즉위한 이후 멸망까지 약 60년간 베트남 북부를 지배한 왕조. 태종 사후 곧 후 레 왕조의 장종이 즉위하면서 남부를 빼앗겨 지방정권으로 전락했고, 장종에 의해 1593년 멸망했다.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밍득明徳명덕15271529태조(太祖, Thái Tổ)
다이찐大正대정15301540태종(太宗, Thái Tông)
꾸앙호아廣和광화15411546헌종(憲宗, Hiến Tông)
빈딘永定영정1547선종(宣宗, Tuyên Tông)
까인릭景暦경력15481553
꾸앙바오光寶광보15541561
투안푹淳福순복15621566영조(英祖, Anh Tổ)
숭캉崇康숭강15661578
지엔타인延成연성15781585
도안타이端泰단태15861587
흥찌興治흥치15881590
헝닌洪寧홍녕15911592
부안武安무안15921593경종(景宗, Cảnh Tông)[14]
후 여조의 정벌로 사실상 멸망. 중국의 비호로 북부의 까오방 주변만을 지배하는 괴뢰 정권화.
바오딘(*)寶定(*)보정15921593민종(閔宗, Mẫn Tông)
캉흐우(*)康佑(*)강우1593
깐통(*)乾統(*)건통15931594대종(代宗, Đại Tông)
롱타이(*)隆泰(*)융태15951628광조(光祖, Quang Tổ)
투언득(*)順德(*)순덕16291677명종(明宗, Minh Tông)[15]
안남도통사계종(系宗, Quí Tông)
빈쓰엉(*)永昌(*)영창16611681

10. 떠이썬 왕조(Nhà Tây Sơn, 西山朝, 서산조)[편집]


후 레 왕조 후기 권신 가문인 찐씨와 응우옌씨가 사실상 나라를 둘로 나누어 각각 북부와 남부의 왕 노릇을 하던 도중 응우옌씨의 학정을 견디다 못해 일어난 민중 봉기 세력 떠이썬 당(西山黨)의 지도자들이 (같은 응우옌씨지만 권신 가문과는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다. 원래 호씨였는데 출세를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해 성을 갈은 것.) 잠시 왕 노릇을 할 때 사용하던 연호. 떠이썬 왕조는 곧 돌아온 응우옌씨에 의해 멸망하고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응우옌 왕조가 들어선다.
연호한자기간비고
시작종료
타이득泰德태덕17781793태덕(泰德, Thái Đức)
꾸앙쭝光中광중17881792광중(光中, Quang Trung)
까인틴景盛경성17931801경성(景盛, Cảnh Thịnh)
바오흥寶興보흥18011802

11.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 阮朝, 완조)[편집]


후 레 조 시기 베트남 남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응우옌 가문이 일시적으로 떠이썬 봉기에 의해 와해됐다가 재건되는 과정에서 베트남의 통일 정권으로 등장했다. 일세일원제가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 국호는 월남(越南, Việt Nam)으로, 명명(明命, Minh Mạng) 이후로는 대남(大南, Đại Nam)이란 국호를 국내 한정으로 썼다. 수도는 베트남 중부의 후에(Huế, 化, 화). 시조는 가륭(嘉隆)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 阮福映, 완복영).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쟈롱嘉隆가륭1802181917년세조 가륭
(世祖嘉隆, Thế Tổ Gia Long)
[16]
민망明命명명1820184020년성조 명명
(聖祖明命, Thánh Tổ Minh Mạng)
티에우찌紹治소치184118476년헌조 소치
(憲祖紹治帝, Hiến Tổ Thiệu Trị)
뜨득嗣德사덕1848188335년익종 사덕
(翼宗嗣德帝, Dực Tông Tự Ðức)
1883년 사덕의 붕어 이후 육덕(育德)과 협화(協和)[17]가 차례로 즉위했지만 내분으로 인해 곧 퇴위당한 후 살해당하고, 실권없는 태자가 옹립되어 건복으로 즉위한다. 프랑스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베트남의 영토를 삼분하여 직접 지배하에 넣고, 완조는 명목상 프랑스의 보호국으로 남지만 이후 베트남은 급격한 식민지화를 겪는다. 이후 즉위하는 황제들은 실권 없이 프랑스가 내세운 얼굴마담 역할을 했을 뿐이며, 반불 독립 운동에 연루되어 강제로 퇴위당하는 경우도 빈번했다. 이 경우 연호의 개정에 유년칭원법이 아닌 즉위년칭원법이 사용되며, 퇴위 당한 후 1945년 군주제 폐지까지 살아남아 묘호가 없는 황제도 있다.
연호한자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끼엔푹建福건복18841년간종 건복
(簡宗建福, Giản Tông Kiến Phúc)
함응이咸宜함의18851년함의
(咸宜, Hàm Nghi)
묘호 없음[18]
동카인同慶동경188518883년경종 동경
(景宗同慶, Cảnh Tông Ðồng Khánh)
타인타이成泰성태1889190718년성태
(成泰, Thành Thái)
묘호 없음[19]
주이떤維新유신190719169년유신
(維新, Duy Tân)
묘호 없음[20]
카이딘啓定계정191619259년홍종 계정
(弘宗啓定, Hoằng Tông Khải Ðịnh)
바오다이保大보대1926194519년보대
(保大, Bảo Đại)
묘호 없음[21]
제2차 세계대전 후 베트남이 분단되며 남북에 각각 공화국이 성립. 보대는 프랑스 망명 후 그곳에서 사망. 베트남은 이후 서력기원을 사용 중.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10:10에 나무위키 연호/베트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에서는 왕조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집(House)이라는 뜻의 고유어 'Nhà'를 사용한다. 물론 한문식 명칭인 '朝'를 안쓰는 건 아니다. 그저 쯔놈식 명칭을 우선으로 쓸 뿐이다.[2] 한국어에서는 왕조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집(House)이라는 뜻의 고유어 'Nhà'를 사용한다. 물론 한문식 명칭인 '朝'를 안쓰는 건 아니다. 그저 쯔놈식 명칭을 우선으로 쓸 뿐이다.[3] 휘는 레롱비엣(Lê Long Việt, 黎龍鉞, 여용월). 1007년 즉위 3일만에 동생인 레롱딘(Lê Long Đĩnh, 黎龍鋌)에게 암살. 레롱딘이 즉위하여 와조가 됨.[4] 휘는 레롱딘. 치질이 심해 오래 앉아있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옆으로 누워 조회를 보았다고 해서 통칭 와조(臥朝), 베트남 어로 응오아찌에우(Ngọa Triều). 형을 죽이고 왕위에 올라 국사는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지냈으며, 결국 장군 리꽁우언(Lý Công Uẩn, 李公蘊, 이공온)이 반란을 일으켜 리 태조로 즉위하면서 전 레 왕조는 멸망한다.[5] 이 연호를 처음 사용한 1054년부터 국호를 대월(大越)로 변경[6] 쩐투도(Trần Thủ Độ, 陳守度, 진수도)의 계략으로 부황에게 양위받아 7세에 즉위했다. 1225년 쩐투도의 조카 쩐까인(Trần Cảnh, 陳煚, 진경)과 혼인했고, 남편에게 선양하는 방식으로 리 왕조는 멸망했다. 그 후 1237년 태종의 자식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혼당했으며 1278년 6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 휘는 즈엉녓레(Dương Nhật Lễ, 楊日禮, 양일례). 명종의 손자로, 서자(庶子)였기에 쩐씨가 아니었고 계승권도 없었으나 유종이 아들이 없자 양자로 삼아 유종 사후 즉위했다. 하지만 즉위 직후 자신의 이름을 원래대로 바꾸고 종실을 무시하는 행동을 일삼자 종친들의 쿠데타로 실각하고 작은 아버지가 즉위(예종), 곧 암살당했다.[8] 휘는 쩐히엔(Trần Hiện, 陳晛, 진현). 외척인 권신 호꾸이리를 모살하려 했으나 실패, 오히려 자신이 폐서인 된 후 암살당함. 후에 호꾸이리는 곧 진조를 멸하고 스스로 황위에 오른다.[9] 순종이라는 묘호가 모든 걸 말해주지만(...) 10살에 즉위, 호꾸이리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다가 성년이 되자 곧 암살당했다. 사실상 쩐 왕조 마지막 황제.[10] 반명 봉기 세력에 의해 옹립된 군주로, 출신도 알 수 없고 정말 쩐씨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1428년 반군 내부의 분열로 인해 암살당했다.[11] 쯔놈식 명칭[12] 역시 쯔놈식 명칭이다.[13] 1592년 막조를 정벌하고 베트남을 다시 통일.[14] 세종의 정벌로 멸망. 일부 잔존 세력이 명나라에 망명해 국경 지방에 망명 정권을 세웠으나 이도 1677년 자연 소멸.[15] 정장(찐씨 정권)의 공격으로 청으로 도주. 이설에 의하면 두사람의 재위기간이 구분되지 않고 기록되었다는 설이 있음. [16] 연호인 가륭은 베트남 남부의 중심도시인 쟈딘(Gia Định, 嘉定: 지금의 호찌민 시)과 북부의 중심도시이자 베트남의 전통 도읍인 탕롱(Thăng Long, 昇隆, 승륭; 지금의 하노이)에서 각자 한 글자씩 딴 것으로 베트남을 통일했다는 의미. 탕롱의 한자 표기가 이전 서술과 다른 이유는 레 왕조 멸망 이후 용(황제)이 살지 않는다 하여 베트남 독음으로 같은 발음인 '隆'으로 바꿨기 때문이다.[17] 육덕은 연호를 정할 새도 없이 즉위 3일만에 폐위당했고, 협화가 즉위하여 1884년은 협화 원년이 될 예정이었으나 협화가 그해를 못 넘기고 10월 폐위당한 후 곧 살해되었다. 그 뒤를 이은 이가 건복.[18]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하다가 강제로 퇴위당한 후 알제리(…)로 유배 됨. 1943년 사망.[19] 아들인 유신과 함께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한 죄로 강제로 퇴위당해 아프리카 레위니옹 섬(…)에 유배. 이차대전 종전 후 귀국했으나 군주제는 이미 폐지된 후였고, 귀국 직후 사망.[20] 베트남 광복회와 내통,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해 아버지 성태와 함께 유배. 1944년 자유 프랑스 운동에 호응해 이차대전에 참전. 종전 후 베트남으로 귀국 도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2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8월 혁명이 발생해 왕정이 끝남. 프랑스로 망명해 그곳에서 199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