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tCoder

덤프버전 :



AtCoder
파일:AtCoder LOGO.png
국가일본
사이트 목적알고리즘 트레이닝
소유자AtCoder Inc.
설립일2012년 4월 14일
회원수97,500명 이상[1][기준]
총 제출 횟수3,500만 회 이상[기준]
총 대회 횟수938회[기준]
링크홈페이지
1. 개요
2. 대회
2.1. ABC
2.2. ARC
2.3. AGC
2.4. AHC
2.5. 순위의 결정
2.6. 에디토리얼
3. 레이팅


1. 개요[편집]


경쟁적 프로그래밍 대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사이트이다.

2. 대회[편집]


AtCoder의 대회는 크게 ABC, ARC, AGC, AHC 4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4가지의 각 종류마다 문제의 난이도가 다르다.
대회를 참가할 때 Rated와 Unrated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데, Rated를 선택하면 문제 열람/제출 여부와 상관없이 레이팅이 반영되는 반면, Unrated를 선택하면 레이팅에 반영되지 않는다. 대회 시작 후 5분이 지나도록 선택하지 않거나, 대회의 레이팅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Unrated이다.

문제의 레이팅은 공식적으로는 제공하지 않으나 Kenkooo 에서 볼 수 있다.

2.1. ABC[편집]


Atcoder Beginner Contest. 가장 쉬운 난이도의 대회이며, 총 7문제가 출제된다.[2] 제한 시간은 100분이다. 레이팅 범위는 0 ~ 1999.
ARC, AGC와 달리 문제별 배점이 대회 회차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3]
ABC318까지는 A~G, Ex의 8문제 체제였으나, ABC319부터는 A~G의 7문제로 바뀌었다. 바뀐 이후 G의 난이도 범위는 바뀌기 전 G, Ex의 난이도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문제 번호배점
A100
B200
C300
D400
E, F500
G600

가장 쉬운 난이도의 대회라고 하지만 코드포스 Div.2보다 조금 쉬운 수준이다. 경쟁적 프로그래밍을 많이 접해보지 않은 유저들은 절대 만만히 볼 수 없는 수준의 대회이고, G는 solved.ac 기준 Platinum II ~ Diamond III 수준으로 엄청나게 어렵다. 레이팅 0-1999 수준의 유저들이 일반적으로 풀 수 없는 난이도의 문제들이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위쪽의 고수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문제들이다.

ARC/AGC에 비해 보다 전형적인 유형의 문제들이 나온다.

2.2. ARC[편집]


Atcoder Regular Contest. 중간 난이도의 대회이며, 총 6문제가 출제된다. 제한 시간은 120분, 레이팅 범위는 0 ~ 2799이다.

Regular 대회라고 하지만 코드포스 Div.1보다 조금 쉬운 수준의 고난이도 대회이다. 전형적인 유형의 ABC에 비해서는 문제들의 완성도가 매우 높고, 여러 창의적 아이디어와 관찰을 요구하기 때문에 Kenkooo에서 비슷한 레이팅이 찍힌 문제라도 ARC/AGC의 문제가 ABC 문제보다 어렵다.

2.3. AGC[편집]


Atcoder Grand Contest. 가장 어려운 난이도의 대회이며, ARC와 마찬가지로 총 6문제가 출제된다. 대회 시간이 편차가 있는데, 보통 150~180분이다. 레이팅 범위는 1200 이상.[4]
가장 난이도 높은 프로그래밍 대회 중 하나일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Codeforces의 Div.1을 훨씬 초월하는 수준의 미친듯한 고난이도 대회이다. 가장 쉬운 A번조차도 Kenkoooo 기준 민트~블루가 나오는 일이 허다하여, 1200 레이팅 기준 한 문제도 못 풀어도 레이팅이 오르는(...) 광경을 볼 수도 있다.

2.4. AHC[편집]


Atcoder Heuristic Contest. 휴리스틱 대회이며, 한 문제에 대해 더 나은 해를 찾아나가는 형식의 부분점수제를 채택하고 있다. 대회 시간이 짧으면 4시간, 길면 수 일 이상까지도 된다. 또한, 다른 대회와 달리 제출 쿨타임이 존재한다.[5]

2.5. 순위의 결정[편집]


참가자의 점수는 푼 문제의 배점의 합이다. 동점자는 페널티를 이용하여 순위가 결정된다. 페널티는 다음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페널티) = (대회 시작 후 마지막으로 "AC" 판정을 받기까지 걸린 시간) + (푼 문제 각각에 대해 결과가 "CE"가 아닌 제출 횟수 - 1) × 5분


2.6. 에디토리얼[편집]


대회가 끝나면 에디토리얼이 공개된다. 에디토리얼은 모든 문제의 풀이와 소스코드를 간단히 적은 글이다. 일본어 에디토리얼은 보통 대회 종료 후 즉시 공개되지만, 영문 에디토리얼은 시간 간격이 약간 있는 편이다.

3. 레이팅[편집]


색상레이팅칭호[6]
빨간색2800 ~5단(5 Dan) 이상[7]
주황색2600 ~ 27994단(4 Dan)
2400 ~ 25993단(3 Dan)
노란색2200 ~ 23992단(2 Dan)
2000 ~ 21991단(1 Dan)
파란색1800 ~ 19991급(1 Kyu)
1600 ~ 17992급(2 Kyu)
청록색1400 ~ 15993급(3 Kyu)
1200 ~ 13994급(4 Kyu)
초록색1000 ~ 11995급(5 Kyu)
800 ~ 9996급(6 Kyu)
갈색600 ~ 7997급(7 Kyu)
400 ~ 5998급(8 Kyu)
회색0 ~ 3999급(9 Kyu) 이하
검은색0[8]-
대회를 참가하면 대회 성적에 맞게 레이팅이 바뀐다. 레이팅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보다 잘 보면 오르고, 못 보면 레이팅이 떨어진다. 400 단위마다 아이디 색상이 바뀌며, 최고 레이팅 기준으로 200 단위마다 새로운 칭호를 얻는다.

코드포스 레이팅과는 어느 정도 비례하나, 같은 숫자의 레이팅이 나타내는 실력 수준은 같지 않다. 코드포스-앳코더 레이팅 변환기 로 레이팅 환산을 가늠해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8:38:37에 나무위키 AtCode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회에 1회 이상 참가한 회원 수[기준] A B C 2022년 9월 19일[2] 문제 번호는 알파벳 순으로 되어 있다.[3] 8문제 체제 이후 최초의 예외는 ABC301로, E 475점, Ex 625점이었다.[4] 2020년 6월부터 레이팅 하한이 생겼다.[5] 4시간짜리 대회의 경우 5분, 수 일 이상인 대회의 경우 30분이다.[6] 최고 레이팅 기준[7] 단수가 10단까지 올라가다가 4000 이상이 되면 4000~4199는 Legend, 4200~4399는 King 칭호가 된다. 이를 달성한 유저는 tourist 한 명뿐이다.[8] Rated 대회에 한 번도 참가하지 않은 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