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아즈하르 모스크

덤프버전 : (♥ 0)

파일:이슬람 아즈하르.jpg
항공뷰
파일:1i64r32347edukofk8A9D.jpg
내부 중정 일대

1. 개요
2. 역사
2.1. 수니파 전환
2.2.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
3. 알 아즈하르 대학
3.1. 주요 동문


1. 개요[편집]


아랍어 الجامع الأزهر
영어 Al-Azhar Mosque

이집트 카이로 구도심의 모스크. 카바, 예언자 모스크, 우마이야 모스크 등과 함께 이슬람권에서 가장 유서깊고 상징적인 사원 중 하나이다. 부지 내에 있는 이슬람권 최고의 신학교인 알아즈하르 대학교[1] 역시 유명하다. 알 아즈하르는 '가장 고결한'이란 뜻이다.

970 ~ 972년 파티마 왕조의 칼리파 알 무이즈의 명으로 카이로 (알 까히라) 시의 중심 사원으로 건설되었다. 그후 2세기 가량 이스마일리 시아파 모스크 & 마드라사로 기능했으나[2] 1172년 살라흐 앗 딘 유수프가 수니파로 전환시킨 후 현재까지 수니파 이슬람 신학의 중심지로 남아있다. 모스크의 대표자인 알아즈하르 대이맘은 수니파 이슬람의 최고 권위자로 여겨지며, 파트와[3]를 내린다.

2. 역사[편집]


파일:Al-Azhar_Mosque_(R_Prazeres_2019)_DSCF4364.jpg
외벽 전경
파일:shutterstock_2269866857.jpg
돔과 미나렛

970년 4월에 착공 후 972년 6월에 완곹된 알 아즈하르 모스크는, 973년의 이둘 피트르에 알 무이즈가 예배를 인도하며 공식적으로 금요 사원으로 거듭났다. 본래 이름은 만수리야 혹은 까히라 모스크였으나 알 무이즈가 파티마 앗 자흐라의 이름에서 딴 알 아즈하르로 정하였다. 989년, 알 아즈하르는 카디 (법관) 앗 누만 빈 무함마드 등 45명의 학자들로 구성된 울라마가 조직되며 신학교로 거듭났다. 초기 이름은 도시 이름을 따서 알 만수리야, 알 까히라 모스크 등으로 불렸으나 칼리파가 파티마의 호칭인 자흐라를 응용한 알 아즈하르로 고정되었다. 쉬아 울라마는 기존에 비밀로 치부되던 이스마일리 교리를 대중에게 가르쳤고, 그러한 강의는 남녀 구분으로 진행되었다. 알 무이즈와 알 아지즈 등의 칼리파들은 라마단 기간에 최소 한 번은 금요 예배를 인도했다.

이후 칼리파들은 모스크의 확장에 나섰다. 알 아지즈는 천장을 높였고, 알 하킴은 중수 후 1005년에 수천 권의 필사본을 지닌 도서관을 더하였다.[4] 다만 1009년 완공된 알 하킴 모스크가 칼리파의 딘독 설교지가 되었고[5], 이후 서서히 소외되어 쇠퇴하던 알 아즈하르 모스크는 알 무스탄시르에게 보수되었다. 1138년에는 알 하피즈가 중정에 뾰족한 아치와 석고 부조를 더하고 예배당 입구에 돔을 세우는 등 대대적으로 중수했다. 하지만 12세기 후반, 내분과 십자군의 침공 등의 혼란기에 도서관의 장서들은 흩어졌고 알 아즈하르는 재차 쇠퇴했다. 1169년 이집트를 장악한 살라흐 앗 딘 유수프는 쉬아 울라마를 축출하고 수니파 모스크로 개조했다.[6]

2.1. 수니파 전환[편집]


새로 부임한 카디 사드르 앗 딘 빈 디르바스는 여전히 쉬아 세력이 있던 모스크가 부담스러웠는지 금요 예배 진행을 금하였고, 비교적 규모가 크고 최근에 세워진 알 하킴 모스크에서 진행했다. 살라흐 앗 딘은 미나렛 하나를 추가한 것 외에는 알 아즈하르를 무시했다. 그나마 아랍 철학 강의만이 지속되었고, 일부 학자들이 개인적으로 수업을 열 뿐이었다.[7] 한편 알 아즈하르는 아이유브 시기 이집트 각지에 세워진 26개의 수니파 마드라사 교육 체제를 수용했다. 특히 기존의 쉬아 사상에게서 더욱 차별화 및 반박하는 신학 교육을 중심으로 논증학, 수학 ,과학 등도 가르치며 종합 대학으로 나아갈 기초를 마련했다.

아이유브 왕조기 소외되었던 알 아즈하르는 맘루크 왕조기에 대대적으로 증축되어 현재의 웅장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1266년 1월, 술탄 바이바르스는 약 한세기 만에 금요 예배 진행을 허가했다.[8] 이는 아이유브 시기 도시마다 하나의 회중 사원만 있어야 한다고 본 샤피이파 대신 그러한 제약이 없는 하나피파가 맘루크들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이다. 맘루크 조는 학생 및 교수진에 대한 재정 지원을 부활시켰고, 아미르 이즈 앗 딘 아이다무르 알 힐리는 부근에 사저를 지으며 알 아즈하르 모스크의 외벽과 천장 등을 보수했다. 그는 또한 카펫을 전면 교체했다.

1302년, 이집트의 지진으로 모스크는 피해를 입었으나 아미르 사이프 앗 딘 살라르가 보수했다. 1309년에는 북서벽을 일부 허물어 아크부가위야 마드라사가, 1332-40년에 타이바르시야 마드라사가 더해지며 부지가 넓어졌다. 다만 두 마드라사 모두 별개의 문과 예배당이 있었다. 알 아즈하르는 1397년 바르쿠크, 1424년 알 무아야드 샤이크를 시작으로 술탄들의 직접적인 증축을 받으며 확장되었다.[9] 특히 15세기 말의 카이트베이깐수 알 구리는 선대에 실패한 석조 미나렛 건립 등 증축을 통해 울라마의 환심을 사려 했다.

2.2.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편집]


14세기까지만 해도 알 아즈하르는 (살라흐 앗 딘이 세운) 이집트의 다른 마드라사들과 달리 공교육 체계에 포함되지 않고 독자적인 체제를 유지했다. 카이로의 엘리트층은 주로 그러한 마드라사에서 수학하였다. 그럼에도 수세기간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법학, 신학, 아랍어 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기에 명성을 듣고 이집트 뿐만 아니라 이슬람권 전역에서 학생들이 몰려들어 학생 수에서는 알 아즈하르가 최대였다. 학생들은 국적에 따라 리와크 (반/기숙사)로 구별되었고, 평균 6년 과정 후 학위를 취득했다. 15세기 무렵 이집트의 울라마 중 1/3이 알 아즈하르의 학생 혹은 교수 출신이었다. 맘루크 시기까지는 아직 카이로 내에서는 살리히야 마드라사가 알 아즈하르 보다 더 명문으로 여겨졌다.

1517년 오스만 제국의 정복 후, 존중은 있었지만 직접적인 조정의 후원은 끊겼다. 셀림 1세는 카이로를 떠나기 전, 알 아즈하르의 금요 예배에 참석했고 이후의 총독들도 자주 찾았지만 후원을 한 경우는 2명 뿐으로 거의 없었다. 그나마 가끔 학생 및 교수들에게 급여를 주는 정도였다. 한편 오스만 제국은 1523년 등 맘루크들의 잦은 반란에도 그들에게 베이 작위를 주며 체제를 크게 바꾸지 않았고, 18세기 들어 맘루크 계급은 사실상 자치를 얻게 되었다. 그들 중 알 카즈두글리 베이는 1735년 장님 리와크를 신설하고 카이트베이가 세웠던 튀르크, 시리아 리와크를 재건하였다.

3. 알 아즈하르 대학[편집]


파일:جامعة الازهر.jpg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페스의 알 카라위인 대학에 이어 현존하는 세계에서 2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다. 특히 수니파 신학과 샤리아 학문에 있어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졸업생들은 이슬람권 전역 및 이집트 내에서 존경을 받는다. 본래 마드라사라 불리던 알 아즈하르 대학은 1962년 국유화 된 후 공립대학교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른다.

3.1. 주요 동문[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6 18:34:05에 나무위키 알 아즈하르 모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디나 신학 대학교와 쌍벽을 이루며, 동시에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이다[2] 알 아즈하르란 이름도 파티마의 칭호인 앗 자흐라에서 유래되었다[3] 법률 해석문[4] 1010년에는 목재 대문을 달았다.[5] 설교 전에 모스크를 한 바퀴 돌았다고[6] 미흐랍에 파티마 칼리파들이 새겨진 은판을 제거했고, 쉬아 교리서들은 폐기되었다.[7] 다만 이러한 학자들을 아이유브 술탄들이 후원하기도 했다[8] 쿠트바는 5일 전에 신축된 새 민바르에서 진행됨[9] 다만 둘다 새로운 석조 미나렛 건설에는 실패한다. 맘루크 술탄들은 시내의 경관에 획기적인 변화를 주고 자신의 권위를 드러낼 수 있는 미나렛 건설에 열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