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 1기)

최근 편집일시 : (♥ 0)

안녕 절망선생 (2007)
さよなら絶望先生
Sayonara, Zetsubou-Sensei
[1]
파일:attachment/Sayonara_Zetsubou_Sensei_Anime.jpg
작품 정보 ▼
장르학원, 블랙 코미디
원작쿠메타 코지
감독신보 아키유키
부감독타츠와 나오유키
시리즈 구성카네마키 켄이치(金巻兼一)
캐릭터 디자인모리오카 히데유키
총 작화감독모리오카 히데유키
야마무라 히로키(山村洋貴)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미술 감독카토 히로시(加藤 浩)
색채 설계타키자와 이즈미(滝沢いづみ)
촬영 감독에가미 레이(江上 怜)
편집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음향 감독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음악하세가와 토모키(長谷川智樹)
음악 제작스타차일드 레코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쿠보타 미츠토시(久保田光俊)
애니메이션 제작파일:샤프트(기업) 로고.svg
제작안녕 절망선생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07. 07. 08. ~ 2007. 09. 23.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tvk / (일) 00:3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2화
국내 심의 등급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3. 주제가
3.1. OP: 人として軸がぶれている
3.2. ED: 絶世美人
3.3. 10, 11화 OP: 強引niマイYeah〜
4. 회차 목록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안녕 절망선생을 원작으로 하는 TVA 시리즈 중 제1기.

샤프트 제작. 감독은 신보 아키유키. 히다마리 스케치와 함께 지금의 샤프트를 만들어 주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감독은 타츠와 나오유키로 본작을 포함한 쿠메타 코지의 광팬으로 유명하다. 2007년 7월에 방영되었다.

작가 쿠메타 코지의 17년간의 염원끝에 드디어 애니메이션화가 이루어졌다. 쿠메타 왈 "시청자들이 애니메이션 보기 보다는 애니메이션화 되기까지의 17년간 과정을 더 즐기는 애니메이션"라고 한다.

이야기 시리즈, 마마마와 더불어 샤프트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애니 중 하나[2]로 매화마다 실험적인 아방가르드 연출이 나온다.[3]


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녕 절망선생/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주제가[편집]



3.1. OP: 人として軸がぶれている[편집]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
파일:heisei_anisong_taisho.png
2000년~2009년
기획상
작품 정보 ▼
ハッピー☆マテリアル마호라학원 중등부 2-A(麻帆良学園中等部2-A) TV 애니메이션 『魔法先生ネギま!』 OP테마
人として軸がぶれている오오츠키 켄지(大槻ケンヂ)와 절망소녀들TV 애니메이션 『さよなら絶望先生』 OP테마
だんご大家族차타(茶太)TV 애니메이션 『CLANNAD -クラナド-』 ED테마

OP
人として軸がぶれている
TV ver.[4]
Full ver.
노래오오츠키 켄지와 절망소녀들
(후우라 카후카, 키츠 치리, 키무라 카에레, 세키우츠 마리아 타로, 히토 나미)
작사오오츠키 켄지
작곡NARASAKI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오프닝 디렉터오이시 타츠야
작화감독모리오카 히데유키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3.2. ED: 絶世美人[편집]


ED
絶世美人
TV ver.
Full ver.
노래절망소녀들
(후우라 카후카, 키츠 치리, 키무라 카에레, 세키우츠 마리아 타로, 히토 나미)
작사타다노 나츠미(只野菜摘)
작곡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오오타 카즈히로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3.3. 10, 11화 OP: 強引niマイYeah〜[편집]


EP 10, 11 OP
強引niマイYeah〜
TV ver.
Full ver.
노래절망소녀들
(후우라 카후카, 키츠 치리, 키무라 카에레, 세키우츠 마리아 타로, 히토 나미)
작사무라노 나오타마(村野直球)
작곡카와다 루카(川田瑠夏)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타츠와 나오유키
연출미야모토 유키히로
작화감독아베 겐이치로
코바야시 쵸(小林 調)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 회차 목록[편집]


  • 에피소드의 제목들은 주로 일본 문학에서 구절을 따와 비튼 문구들이다.
  • 괄호 표시는 타이틀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제목이다.
  • 전화 총 작화감독: 모리오카 히데유키, 야마무라 히로키(山村洋貴),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さよなら絶望先生
안녕 절망선생
카네마키 켄이치
(金巻兼一)
후쿠다 미치오미야모토 유키히로야마무라 히로키
(山村洋貴)
2007.07.08.
제2화トンネルを抜けると白かった
(僕の前に人はいない僕の後ろに君はいる)
터널을 빠져나오니 하얗다
(내 앞에 사람이 없어 내 뒤에 네가 있어)
타카야마 카츠히코모리 요시히로
(森 義博)
후루카와 히데키
(古川英樹)
2007.07.15.
제3화その国を飛び越して来い
(僕たちは、どんなことがあっても)
一緒に固まっていなければ駄目だ
그 나라를 뛰어넘어 와라
(우리들은 어떤 일이 있어도)
함께 엉겨붙지 않으면 안 된다
카네마키 켄이치타츠와 나오유키
시오츠키 카즈야
(潮月一也)
이타무라 토모유키시오츠키 카즈야2007.07.22.
제4화ヒジニモ負ケズ ヒザニモ負ケズ
(アンテナ立ちぬ いざ生きめやも)
팔꿈치에도 지지 않고 무릎에도 지지 않는다
(안테나가 서지 않아 이젠 살아야겠구나)
타카야마 카츠히코타나카 미노루
(田中 穣)
이이무라 마사유키
(飯村正之)
타나카 미노루2007.07.29.
제5화(身のたけくらべ)
シミと毒だし
(키 재보기)
얼룩과 해독
야마무라 히로키
미야자키 슈지
(宮崎修治)
시미즈 케이타
(清水慶太)
요시다 히데유키
(吉田秀之)
지츠하라 노보루
(実原 登)
2007.08.05.
제6화見合う前に跳べ
만나기 전에 뛰어라
쿠보타 마사시
(久保田雅史)
音間聞이타무라 토모유키코가와 토모노리2007.08.12.
제7화仮名の告白
(ある朝グレゴール・ザムザが目をさますと神輿を担いでいた)
가면의 고백
(어느 아침 그레고리 잠자가 눈을 뜨니 가마를 짊어지고 있었다)
타카야마 카츠히코모리 요시히로후루카와 히데키2007.08.19.
제8화私は宿命的に日陰者である
(それだから逃げるのだ ついて来い!フイロストラトス!)
나는 숙명적인 음지 사람이다
(그러니까 도망치는 거다 따라와라! 후이로스트라토스!)
쿠보타 마사시후쿠다 미치오카마타 유스케
(鎌田祐輔)
타나카 미노루2007.08.26.
제9화富士に月見草は間違っている
(証明しようと思っていた。今年の正月)
후지에 달맞이꽃은 잘못되었다
(증명하려고 생각했다. 올해 정월에)
카네마키 켄이치카마타 유스케요시다 히데유키지츠하라 노보루2007.09.02.
제10화(一人の文化人が羅生門の下で雨やどりしていた)
生八ツ橋を焼かねばならぬ
(한 명의 문화인이 라쇼몽 밑에서 비를 피하고 있었다)
나마야츠하시를 굽지 않으면 안된다
쿠보타 마사시후쿠다 미치오미야모토 유키히로
이타무라 토모유키
니시다 미야코
(西田美弥子)
코가와 토모노리
2007.09.09.
제11화あれ不可よ 原作があるじゃないかね
그건 불가능하네 원작이 있지 않나
카네마키 켄이치모리 요시히로후루카와 히데키2007.09.16.
제12화なんたる迷惑であることか!
이 무슨 민폐란 말인가!
타카야마 카츠히코오이시 타츠야이이무라 마사유키오오타 카즈히로
타나카 미노루
모리오카 히데유키
2007.09.23.


5. 엔드 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엔드 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아래 키 비주얼은 영화 '아랍의 폭풍'의 포스터 패러디.[2] 혹은 샤프트와 궁합이 잘 맞는 애니 중 하나[3] 실사영상을 콜라주하거나 시시때때로 그림체를 바꾸는건 기본이고 한 에피소드에 여러 애니메이션 기법을 사용하거나 성우를 돌려쓰는등 정신 사나울 정도로 다양하다. 이러한 연출은 이후 다른 작가 원작인 이야기 시리즈에서도 이어진다.[4] 해당 동영상은 중도완성본으로, 이전 에피소드에서는 그냥 까만 화면에 자막으로 스태프롤만 띄운채로 노래가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 문서의 r1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1:11:37에 나무위키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 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