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덤프버전 :

||

AfreecaTV PUBG League
대회 출범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우승팀
대회 출범파일:KSV_Notitlelogo_square.png
KSV NOTITLE
KSV NOTITLE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Most Kill
MVP 시상양대인
(TTM 4DallarOK)
고정완
(NTT Esther)

파일:nttceremony.png
KSV NOTITLE, APL의 초대 슈퍼스타가 되다!

파일:APL Pilot Season.png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대회 기간2017년 12월 8일 ~ 2018년 2월 3일
주최파일:pubg corp krafton.png
주관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개최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가팀173팀
에란겔, 미라마
모드스쿼드 3인칭
경기장예선, 본선}
홍대 아프리카TV 오픈스튜디오 PC방
결승}
KBS아레나
메인 스폰서파일:몬스터 에너지 로고.svg
스폰서파일:Logitech의 로고.svg파일:인텔 로고.sv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온라인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박상현
해설자
김동준, 김지수
인터뷰어
이현경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상 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200,000,000원
결승우승100,000,000원
준우승20,000,000원
3위10,000,000원
4위3,200,000원
5위2,000,000원
6위 ~ 10위1,200,000원
11위 ~ 20위1,000,000원
Most Kill1,100,000원
스플릿우승6,000,000원
준우승4,000,000원
3위2,000,000원
4위1,000,000원
5위600,000원
솔로스플릿 1 우승1,000,000원
스플릿 1 준우승800,000원
스플릿 1 3위500,000원
스플릿 2 데이 1위500,000원
스플릿 2 우승300,000원
스플릿 3 데이 1위500,000원
스플릿 3 Most Kill300,000원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KSV_Notitlelogo_square.png KSV NOTITLE'''
준우승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 MVP
파이널 Most Kill양대인 (TTM 4DallarOK)
1. 개요
2. 참가팀
3. 정규시즌 순위
4. 일정
5. 대회 규정
6. 평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최초의 PUBG 프로 레벨 리그



1. 개요[편집]


아프리카TV에서 주관하는 아프리카TV PUBG 리그의 첫 시즌으로, 정규 시즌 대신 파일럿 시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2. 참가팀[편집]



||



3. 정규시즌 순위[편집]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팀명스플릿 1스플릿 2스플릿 3종합AP비고
1KSV_NOTITLE158012551290412540우승
2NoBrand8551245605270530
3OGN ENTUS ACE-10601395245525
4KONGDOO LSSi980960-194020
5OP.GG970820-179015
6OskarDragonz905810-1715-
7OGN ENTUS FORCE845-7451590-
8PMP-10405051545-
9KSV_AseL-6658751540-
10MVP595865-1460-준우승
11Maxtill.MAD-6456251270-
12AFREECATV Ghost680430-1110-
13LUCCICHIO--10401040-
14Talk too much--940940-
15CLOUD9885--885-
16433--850850-
17AFREECATV Snow820--820-
18KONGDOO#2--760760-
19ITCK--755755-
20Maxtill_VIP--730730-
21AR-715-715-
22Tetralord680--680-
23MAXIMUM670--670-
24G.FUEL EVO-X660--660-
25MKG--610610-
26Reflex--595-595-
27eStarFire-580-580-
28esu-580-580-
29No SCOPE570--570-
30Team Klux-560-570-
31Blue--550550-
32VG--535535-
33Leese&children520--520-
34Shat Shat520--520-
35armani505--505-
36Fire-505-505-
37BlossoM--490490-
38zodGaming--475475-
39DanDooDae460--460-
40Astrick-445-445-
41DDC--445445-
42TeamEURO-430-430-
43coreim415--415-
44HappyNewYear-415-415-
454AM405--405-
46QWER--100100-
하늘색: 어드밴티지 포인트 획득 | 연두색: 결승전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4. 일정[편집]







5. 대회 규정[편집]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20팀이 동시에 진행하는 게임인 만큼 일반적인 리그 혹은 토너먼트 방식은 채택되지 못하고 특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 시즌이 세 개의 스플릿(Spl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플릿은 예선과 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스플릿 본선의 결과를 합산하여 상위 20팀들이 결선(Final)으로 진출하고, 상위 4개 팀은 어드벤티지를 받는다. 스플릿마다 예선을 다시 치루며, 본선 상위 4팀은 다음 스플릿에 자동 진출한다. 예선부터 본선까지 전 경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매 스플릿 시작마다 예선으로 새롭게 참가팀을 선발한다. 이전 스플릿 1~4위는 다음 스플릿에서 예선 없이 본선으로 바로 직행한다.


Blue zone (Split 1- Split 2)
PHASE12345678
Delay(s)1200000000
Wait(s)300200150120120909060
Move(s)300140906040303030
Shrink0.40.650.50.50.50.50.50.5
DPS0.40.60.813579
Cricle Centralization0
Circle Speed1

Blue zone (Split 3- 결승전)
PHASE12345678
Delay(s)900000000
Wait(s)300120909090606060
Move(s)240120909090606060
Shrink0.40.650.50.50.50.50.50.5
DPS0.40.60.813579
Cricle Centralization0.1
Circle Speed1

PUBG Official Point Matrix
순위획득 포인트
1500
2365
3310
4270
5230
6205
7190
8175
9160
10145
11-12130
13-15115
16-20100

경기 방식1킬 당 포인트
스쿼드/솔로10

FINAL Advantage Point
순위획득 포인트
140
230
325
420
515

RP의 경우 순위에 따른 RP는 DP와 똑같이 지급되며, 여기에 킬포인트(킬당 10포인트)가 추가되어 RP가 집계된다. 3라운드를 끝내고 RP의 합산 결과로 경기일마다 순위를 정해 DP를 지급하는 방식이며, DP에는 킬에 따른 추가 포인트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 DP는 누적되며, 한 스플릿 DP 점수 상위 4개 팀은 다음 스플릿 본선으로 자동 진출한다. 이렇게 세 스플릿을 진행하고 DP 누적 점수 상위 20개 팀이 결선에 진출하는데, 이 중 상위 5개 팀은 결선에 어드벤티지 포인트를 얻고 시작한다. 즉, 본선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준 팀에게 결선에서 약간의 어드벤티지를 주겠다는 뜻. 본선 최종 1위에 40 포인트, 2위에 30 포인트, 3위에 25 포인트, 4위에 20 포인트, 5위에 15 포인트의 어드벤티지 포인트가 주어진다. 공지에 올라온 예시

공동 순위의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RP가 동률일 경우에는 해당 경기일의 팀 킬 합산을 통해 합산 킬수가 더 높은 팀이 상위 순위를 받으며, 킬 합산도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 라운드(3라운드) 생존 순위가 높은 팀이 상위 순위를 받는다. 스플릿이 끝날 때마다 매겨지는 DP 순위의 경우 해당 스플릿 합산 킬수가 높은 팀이 상위 순위를 받고, 합산 킬 수도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 경기일(Day 4)의 Day 순위가 높은 팀이 상위 순위를 받는다.

모든 경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아프리카TV 오픈스튜디오 PC방에서 오프라인으로 치러지며, 예선 접수는 한국/일본 서버 스쿼드 레이팅 상위 80팀으로 컷오프한다. 당연히 나이는 만 18세 이상만 가능하며, 모든 오프라인 경기에 참가 가능해야 한다. 스플릿 예선은 A~D조까지 나누어 이틀에 걸쳐 진행되고, 각 조 1~4위까지 본선에 진출한다. 순위 산정 방식은 본선의 RP 방식과 같다. 3라운드가 끝나면 A, B조의 5~14위 팀들이 참가하는 와일드카드 단판 경기가 진행되고, 이 경기 1등이 와일드카드로 본선에 진출한다. C, D조도 마찬가지로 와일드카드를 뽑아 총 18팀을 예선에서 뽑는다. 그리고 중국 초청팀 2팀을 추가해 본선을 20팀으로 진행한다.

한 스플릿이 끝나면 상위 4팀과 초청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다음 스플릿 예선으로 향한다. 그 외의 팀들은 다시 접수 받아 레이팅 컷으로 선발한다. 즉, 이전 스플릿 본선에 진출했던 팀들은 다음 스플릿 예선에 자동 진출하여 스트레스 받는 레이팅 올리는 일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 대회와 공방을 동시에 뛸 필요까지는 없어졌다.

메인 대회인 스쿼드 대회와 달리 솔로 대회도 따로 진행하며, 다만 순위에 따른 다음 스플릿 진출 등의 혜택 없이 이벤트성으로 진행된다.


6. 평가[편집]


역대 한국 PUBG 리그 중 가장 주목도가 높았던 대회

첫 배틀그라운드 프로리그인데다 시기상으로도 배틀그라운드의 국내 주가가 정점을 찍었던 만큼 대회 자체의 주목도 역시 매우 높았다. 유명 스트리머들이 선수로 데뷔해 활약을 펼친 무대라는 점도 흥행을 견인하는 원동력이었다. 평균 시청자 수는 1~2만, 결승전 시청자수는 평균 6만~최대 동시 시청자 수는 약 7만 3천 명으로 신규 종목의 첫 대회 치고는 상당히 재미를 많이 봤다고 할 수 있어 흥행의 최대 지표인 시청자 수에서도 가장 큰 성과를 보았다. 우승자 NTT는 단연 배틀그라운드계의 슈퍼스타이자 최강팀으로 자리잡았고, NTT의 운영방식은 이후 배그 프로씬에서 스쿼드 팀 운영의 기본기로 취급되며 저마다의 스타일로 채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첫 대회의 영광은 오래 가지 못했다. 관전렉 개선, 옵저빙 편의성 개선 등, E스포츠화를 위해 파일럿 시즌 당시 미진했던 부분 개선을 당연히 진행해야 했던 펍지는 거의 손을 놓았고, 그런 실망스러운 운영에 시청자들이 외면하기 시작하며 APL 파일럿과 PSS 베타 이후 3대 리그가 PKL 정규 리그로 출범했으나 당장 정규 시즌으로 들어선 APL은 시즌 1,2를 기준으로 평균 시청자 수가 파일럿 시즌의 1/3로 토막났고, APL과 여타 리그의 우승팀이 슈퍼스타로서 곳곳의 환호를 받는 모습도 보이지 않고 있고, 경기들도 파일럿 시즌만큼의 이슈는 만들지 못하고 있다. 파일럿 시즌의 흥행을 더 크게 이어나가기 위해 펍지의 각성이 필요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