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덤 콜라렉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ba0021><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ba0021,#ff4465> 31 앤더슨 · 40 바크만 · 43 산도발 · 44 조이스 · 46 허겟 · 47 캐닝 · 48 데트머스 · 53 에스테베즈 · 54 수아레스 · 58 다니엘 · 59 소리아노 · 60 완츠 · 61 워렌 · 63 실세스 · 65 퀴하다 · 66 잉그램 · 71 카세레스 · 78 로젠버그 · # 메데로스 · # 코차노비츠 · # 콜라렉 · # 가르시아 · # 심버 ||
|| 포수 || 14 오하피 · 21 타이스 ||
|| 내야수 || 2 렌히포 · 6 렌던 · 9 네토 · 13 소토 · 18 샤누엘 · 19 파리스 · 23 드루리 · 38 스테파닉 · 75 캐비지 · # 리바스 ||
|| 외야수 || 3 워드 · 7 아델 · 16 모니악 · 27 트라웃 · 39 애덤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 몽고메리 파일:미국 국기.svg 배리 엔라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가예고 파일:미국 국기.svg 빌 헤즐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칠리 데이비스 ·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보 포터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영 시니어 파일:미국 국기.svg 필 플랜티어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고인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리 내론 파일:미국 국기.svg 알리 모다미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애덤 콜라렉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Dodgers_WS_Champ_Logo.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0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5번
맷 무어
(2011~2016)
애덤 콜라렉
(2017)
라인 스태닉
(2018~2019)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6번
대나 이브랜드
(2016)
애덤 콜라렉
(2018~2019)
랜디 아로자레나
(202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6번
카를로스 루이즈
(2016)
애덤 콜라렉
(2019~2020)
쉘든 노이지
(202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1번
마르코 에스트라다
(2019)
애덤 콜라렉
(2021)
스티븐 보트
(202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57번
J.B. 웬델켄
(2018~2021)
애덤 콜라렉
(2022)
타일러 시어
(202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6번
히스 험브리
(2022)
애덤 콜라렉
(2023)
라이언 야브로
(2023~)
뉴욕 메츠 등번호 66번
프랭클린 킬로메
(2020)
애덤 콜라렉
(2023)
결번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번
애덤 콜라렉
(2024~)
현역

파일:메츠콜라렉.jpg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
애덤 콜라렉
Adam Kolarek
본명애덤 존 콜레어릭[1]
Adam John Kolarek
출생1989년 1월 14일 (35세)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카톤스빌 고등학교 - 메릴랜드 대학교
신체190cm / 97kg
포지션투수
투타좌사좌타
프로입단2010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32번, NYM)
소속팀탬파베이 레이스 (2017~2019)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9~2020)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1~202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3)
뉴욕 메츠 (2023)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4~)
계약1yr / $900,000
연봉2024 / $900,000
가족배우자 멜라니 콜라렉
에이전트L. Warner Companies Baseball Agency
등장곡Breed - Nirvana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여담



1. 개요[편집]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세계적으로 찾기 힘든 좌완 사이드암 스로 투수.[3] 투심 패스트볼 구속은 평균 89~90마일에 최대 94~5마일 정도이며 변화구로는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를 구사한다. 그 중 패스트볼-체인지업 구사율이 가장 높으며 슬라이더는 간간이 섞어던지고 커브는 보여주기용으로 간혹 던지는 정도. 구속은 빠르지 않지만 특유의 투구폼이 가지는 생소함과 사이드암 스로에서 나오는 무브먼트로 타자들의 타이밍을 뺏어 땅볼을 유도하는 땅볼 투수다.

하지만 변화구 구위가 특출난 편이 아니어서, 통산 K/9이 6.25개 불과할 만큼 탈삼진 능력은 뛰어나지 않고, 좌완 사이드 스로라는 점 때문에 우타자 상대 피OPS가 좌타자를 상대할 때에 비해 2할가량 높다는 것이 단점. 현재로서는 LOOGY에 적합하지만, 통산 땅볼비율이 50%에 땅볼 뜬공 비율은 2.85개일 정도로 땅볼 유도 능력 자체는 탁월하기 때문에 우타자 상대 성적만 좋아진다면 필승조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 물론 좌완 사이드암이라는 투구폼 특성상 태생적으로 우타자 상대가 어려운지라, 나름 한계가 분명한 선수. 나이도 많아서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기도 하고. 그래도 100만 달러가 안 되는 저렴한 연봉에, 좌타자 상대로는 분명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어서 제한된 용도로 쓰기에는 적합한 선수다.

2020 시즌부터 등판한 투수는 최소한 세 타자를 상대해야 하는 규정이 생겨서 기존처럼 LOOGY로 기용하기는 힘들어졌기에, 콜레어릭의 입지에도 적잖은 위협이 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정작 정규시즌에 들어서자 투심 패스트볼의 위력을 극대화한 피칭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우완 상대 피OPS가 .737였고 라인드라이브 타구도 더 많이 허용하는 등 우타자 상대로 그렇게 썩 안정적인 편은 아니었으나 19시즌(.857)과 18시즌(.788)에 비하면 꽤 낮추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좌타자 상대 39타수 3피안타를 기록하며 좌타자들에게는 여전히 극강의 모습을 보여줬다.

4. 수상 내역[편집]




5. 여담[편집]


  • 파일:kolarekover1.jpg
    파일:kolarekside1.jpg
뉴욕 메츠 마이너 시절까지는 평범한 오버핸드 스로 투수였다. 사이드암으로 전환한건 탬파베이로 이적한 2016년부터였다.관련 기사(영문)
  • 아버지 프랭크 콜라렉도 야구선수였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마이너에서 포수로 활동했다. 통산 마이너 성적은 261경기 .189/.282/.258.


[1] 한국에선 보통 스펠링 그대로 '콜라렉'이라고 읽지만, 현지 발음은 \koh-LAIR-ick\으로 '콜레어릭'에 좀 더 가깝다.영상 참조.[2] 비공개 계정이다.[3] 랜디 존슨이나 크리스 세일 같은 로우 스리쿼터도 아니고 그보다 팔각도가 더 낮은 사이드암 투수다. 2020년 기준으로 콜레어릭과 비슷한 유형의 투수로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같은 롤을 소화하고 있는 팀 힐이 있다. 그 외에도 前 삼성 라이온즈 임현준, 팔각도를 내린 2020년 이후의 김성민외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6:50:21에 나무위키 애덤 콜라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