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역대 시상식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


1. 개요
2. 1회 2011년
3. 2회 2012년
4. 3회 2013년
5. 4회 2014년
6. 5회 2015년
7. 6회 2016년
8. 7회 2017년
9. 8회 2018년
10. 9회 2019년
11. 10회 2020년
12. 11회 2021년
13. 12회 2022년
14. 13회 2023년



1. 개요[편집]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의 역대 시상식에 대한 문서다.
실제 시상일자는 다음해 연초지만,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 공식 홈페이지에서 집계시작 기간을 기준으로 연도를 표시하고 있다.
  • 각 부문별 최다 수상 가수는 다음과 같다.
    •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 (월간) : 아이유 (11회)
    • 올해의 가수상 앨범 부문 (분기) : 방탄소년단 (10회)


2. 1회 2011년[편집]


2012년 2월 22일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1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주영훈, 태연이었다. 2011년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 연간 1위는 티아라 - Roly Poly 곡이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시크릿 - <샤이보이>2월아이유 - <나만 몰랐던 이야기>3월케이윌 - <가슴이 뛴다>
4월BIGBANG - <LOVE SONG>5월2NE1 - <Lonely>6월시크릿 - <별빛달빛>
7월티아라 - <롤리폴리>8월리쌍 - <TV를 껐네>9월다비치 -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10월이승기 - <연애시대>11월원더걸스 - <Be My Baby>12월아이유 - <너랑 나>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동방신기 - <왜 (Keep Your Head Down)>
2분기비스트 - <Fiction And Fact>
3분기슈퍼주니어 - <Mr. Simple>
4분기소녀시대 - <The Boys>
올해의 신인상 그룹B1A4, 에이핑크
올해의 신인상 솔로허각, 김보경
올해의 발견상칵스, 노을, 걸스데이
올해의 실연자상김현아(코러스), 강수호(연주)
올해의 작사가, 작곡가상윤상(작곡가), 김이나(작사가)
스타일상프리픽스(안무), 서수경(스타일리스트)
기술상고승욱
프로듀서상김광수 코어컨텐츠미디어 대표
K-POP 공헌상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대표
뉴미디어 플랫폼상다음 유튜브
오리콘 특별상소녀시대
올해의 해외음원상마룬 5


3. 2회 2012년[편집]


2013년 2월 13일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2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주영훈, 가인이었다. 2012년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 연간 1위는 싸이 - 강남스타일 곡이다. 뉴미디어 플랫폼상이 아닌 뮤직디스트리뷰션상, 오리콘 특별상이 아닌 한류특별상을 시상했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티아라 - <Lovey-Dovey>2월BIGBANG - <BLUE>3월BIGBANG - <Fantastic Baby>
4월버스커버스커 - <벚꽃엔딩>5월소녀시대-태티서 - <Twinkle>6월원더걸스 - <Like this>
7월2NE1 - <I Love You>8월싸이 - <강남스타일>9월서인국, 정은지 - <All For You>
10월가인 - <피어나>11월이하이 - <1,2,3,4>12월이승기 - <되돌리다>
올해의 가수상 앨범BIGBANG(1분기), 소녀시대-태티서(2분기) 슈퍼주니어(3분기), 동방신기(4분기)
올해의 신인상 그룹B.A.P, 헬로비너스
올해의 신인상 솔로존박, 에일리
올해의 발견상3호선 버터플라이(인디밴드), Double K(힙합), Apink(핫트렌드)
올해의 실연자상김현수(코러스), 신현권(연주), 전훈(엔지니어)
올해의 작사가, 작곡가상테디(작곡가), 김이나(작사가)
스타일상이주선(안무), 송정옥(스타일리스트)
프로듀서상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
K-POP 공헌상홍승성 큐브엔터테인먼트 대표
뮤직디스트리뷰션상로엔엔터테인먼트(온라인), KMP홀딩스(오프라인)
한류 특별상씨엔블루
올해의 해외음원상마룬 5


4. 3회 2013년[편집]


2014년 2월 12일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2013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오상진, 유리이었다. 2013년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 연간 1위는 싸이 - 젠틀맨 곡이다. 5개의 수상부문이 추가되었다. 올해의 한류 특별상은 K-POP 월드한류스타상으로 변경되었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소녀시대 - <I Got A Boy>2월씨스타19 - <있다 없으니까>3월다비치 - <거북이>
4월싸이 - <Gentleman>5월포미닛 - <이름이 뭐예요?>6월씨스타 - <Give it to me>
7월다이나믹 듀오 - <BAAAM>8월산이 - <아는 사람 얘기>9월소유(가수), 매드클라운 - <착해 빠졌어>
10월아이유 - <분홍신>11월miss A - <Hush>12월서인국, 지아 - <이별남녀>
올해의 가수상 앨범소녀시대(1분기), 조용필(2분기) EXO(3,4분기)
올해의 신인상 그룹방탄소년단, 레이디스 코드
올해의 신인상 솔로정준영, 김예림
팬 투표 인기상EXO
올해의 노래방 인기상정준영, 로이킴
올해의 롱런 음원상걸스데이
올해의 핫 퍼포먼스상Apink
올해의 발견상장미여관(인디밴드), B.A.P(월드루키), 크레용팝(핫트렌드)
올해의 실연자상길은경, 타미김(연주), 조준성(엔지니어)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이단옆차기(작곡가), 김이나(작사가)
스타일상야마앤핫칙스[1](안무), 정보윤(스타일리스트)
뉴미디어 플랫폼상벅스
프로듀서상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
K-POP 공헌상조용필
뮤직디스트리뷰션상CJ E&M
K-POP 월드한류스타상2NE1
올해의 해외음원상DJ 골룸


5. 4회 2014년[편집]


2015년 1월 28일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2014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이특, 혜리. 2014년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 연간 1위는 소유X정기고 - 곡이다. 신인상을 하나로 합쳤으며 2개의 상이 추가되었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걸스데이 - <Something>2월소유, 정기고 - <썸>3월2NE1 - <Come Back Home>
4월AKMU - <200%>5월god - <미운오리새끼>6월태양 - <눈,코,입>
7월산이, 레이나 - <한여름밤의 꿀>8월박보람 - <예뻐졌다>9월씨스타 - <I Swear>
10월김동률 - <그게나야>11월MC몽 - <내가 그리웠니>12월Apink - <Luv>
올해의 가수상 앨범동방신기(1분기), EXO-K(2분기), 슈퍼주니어(3, 4분기)
올해의 신인상WINNER, 마마무
팬 투표 인기상EXO
올해의 노래방 인기상임창정
올해의 롱런 음원상소유, 정기고
올해의 핫 퍼포먼스상AOA
올해의 발견상EXID, 블락비(핫트렌드), 방탄소년단(월드루키)
올해의 실연자상장혁(연주), 강태우[2](코러스)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김도훈(작곡가), 민연재(작사가)
올해의 장르상에픽하이
스타일상안무팀DQ(안무), 박서현, 최지향(스타일리스트)
뉴미디어 플랫폼상카카오뮤직
프로듀서상김시대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대표
K-POP 공헌상신해철
뮤직디스트리뷰션상유니버설 뮤직
K-POP 월드한류스타상카라
웨이보 K-POP스타상슈퍼주니어
올해의 해외음원상마룬 5

올해의 가수상 앨범 수상자는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EXO였다. SM 엔터테인먼트가 쓸어담았다.

K-POP 공헌상을 받은 신해철은 이미 사망 1주기였던터라 같은 N.EX.T Utd.에 소속된 트윈 보컬 이현섭이 대리수상했다.


6. 5회 2015년[편집]


2016년 2월 17일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5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이특, 유라이었다. 2015년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 연간 1위는 BIGBANG뱅뱅뱅 곡이다. 일부 상의 명칭이 영어로 변경되었고 기존 상에서도 수상분야를 달리한 부문이 많았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Mad Clown - <화 (Feat. 진실 of Mad Soul Child)>2월나얼 - <같은 시간 속에 너>3월MC몽 - <사랑 범벅 (Feat. 챈슬러 of the Channels)>
4월미쓰에이 - <다른 남자 말고 너>5월BIGBANG - <LOSER>6월BIGBANG - <뱅뱅뱅 (BANG BANG BANG)>
7월BIGBANG - <IF YOU>8월BIGBANG -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9월iKON - <취향저격>
10월태연 - <I (Feat. 버벌진트)>11월지코 - <Boys And Girls (Feat. Babylon)>12월싸이 - <DADDY (Feat. CL of 2NE1)>
올해의 가수상 앨범EXO(1, 2, 4분기), 슈퍼주니어(3분기)
올해의 신인상iKON, 여자친구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블랙아이드필승, 김이나
올해의 실연자상이태윤(연주), 강성호(코러스)
올해의 스타일상지은(스타일리스트), 야마&핫칙스(커리어그라피)
뉴미디어 플랫폼상CJ E&M 엠넷 콘텐츠
올해의 핫트랜드상백아연, B.A.P
올해의 프로듀서상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회장
올해의 해외음원상아델 'Hello'
K-POP 월드한류스타상방탄소년단
올해의 월드 루키상AOA, 세븐틴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소찬휘 'Tears' (First Bridge)
팬 투표 인기상EXO
올해의 핫 퍼포먼스상Red Velvet, 빅스
올해의 발견상(R&B, 힙합)Zion.T(R&B), 송민호(힙합)
올해의 발견상(트로트, 인디)이애란(트로트), 혁오(인디)
인위에타이 아시아최고영향력상BIGBANG
웨이보 스타상세훈
올해의 롱런 음원상나얼 '같은 시간 속에 너'

총평은 음반은 EXO, 음원은 BIGBANG이 쓸어갔다. 남자 솔로 가수들의 강세와 걸그룹의 부진이 뚜렷했다.

EXO는 슈퍼주니어가 받은 3분기 상을 제외한 나머지 분기의 음반 부문상을 휩쓸면서 인기 아이돌임을 입증했다.

걸그룹의 부진이 심했다. 그동안 올해의 가수상 음원부문에서 걸그룹은 최소 4팀 이상이 받아갔던 것에 비해 이번 5회에서는 미쓰에이가 그룹으로는 유일하게, 태연이 걸그룹 출신 솔로로 유일하게 올해의 가수상을 받았다. 걸그룹은 이외의 분야로 뒤져봐도 신인상의 여자친구, 핫 퍼포먼스상의 Red Velvet, 올해의 월드 루키상의 AOA 정도만이 있었다. 그야말로 2015년 음원계는 은근한 걸그룹의 몰락기다. 실제로 가온차트 디지털 종합차트 TOP 10에서도 걸그룹은 단 한 팀도 순위에 이름을 못 올렸다. 걸그룹의 부진과 대조적으로 남자 솔로 가수들은 강세를 보였다. 올해의 가수상 음원부문에서 5명이 받아갔으며, 올해의 발견상으로 2명이 더 받아갔다.

BIGBANG은 5~8월 매월 초에 나왔던 노래들이 전부 1위를 차지하면서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7. 6회 2016년[편집]


2017년 2월 22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6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했다. 사회는 이특, 솔라였었다. (6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V LIVE 영상)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여자친구 - <시간을 달려서>2월마마무 - <넌 is 뭔들>3월장범준 - <사랑에 빠졌죠 (당신만이)>
4월TWICE - <Cheer Up>5월어반자카파 - <널 사랑하지 않아>6월씨스타 - <I Like That>
7월원더걸스 - <Why So Lonely>8월BLACKPINK - <휘파람>9월임창정 - <내가 저지른 사랑>
10월TWICE - <TT>11월BLACKPINK - <불장난>12월BIGBANG - <에라 모르겠다>
올해의 가수상 앨범GOT7(1분기), EXO(2,3분기), 방탄소년단(4분기)
올해의 신인상 남자NCT 127
올해의 신인상 여자BLACKPINK
올해의 발견상DEAN(R&B), 비와이(힙합), 볼빨간사춘기(인디), 한동근(발라드)
올해의 실연자상김령(코러스), 이성열·최태완(연주)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블랙아이드필승(작곡가), 조윤경(작사가)
올해의 스타일상손성득(안무), 최희선(스타일리스트)
올해의 프로듀서상방시혁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V라이브 글로벌 인기상방탄소년단
K-POP 공헌상젝스키스
월드 한류스타상샤이니
팬 투표 인기상세훈(개인), EXO(팀)
올해의 핫퍼포먼스상인피니트, 세븐틴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M.C The Max
올해의 롱런 음원상M.C The Max
올해의 해외 음원상마룬 5
올해의 해외 라이징 스타상찰리 푸스

작년 걸그룹 부진을 깨끗하게 씻어낸 동시에 걸그룹의 세대교체를 여실히 보여주는 결과였다. 무려 네 걸그룹이 처음으로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에 자신들의 이름을 올렸을 뿐만 아니라 이중 TWICE와 블랙핑크는 두번이나 수상하는 결과가 나왔다. 여기에 기존의 음원강자였던 씨스타와 원더걸스 또한 저력을 보여주며 수상하여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 총 12곡중 8곡을 걸그룹의 노래로 채워넣었다.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의 전유물과도 같았던 앨범부문에서 처음으로 비SM소속 그룹이 2개의 음반상을 받아가게 되었다. EXO가 여전한 위용을 과시하는 가운데, 엄청난 성장세의 방탄소년단과 꾸준히 팬덤을 확장해 나가는 GOT7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객관적인 데이터로 수상자를 정하는 시상식인 만큼 시상의 공정성 시비가 일어나지 않는 시상식이었는데 이번에는 잡음이 좀 발생했다. 지금까지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의 경우에는 가온 디지털 차트 월간 1위 곡에게, 올해의 가수상 앨범 부문의 경우에는 분기별 판매량 1위를 차지한 음반에게 주어졌다. 하지만 이번 시상식부터는 디지털 음원 부문은 같은 달에 발매한 곡들의 발매일로부터 30일간의 성적을, 오프라인 음반 부문은 같은 분기에 발매한 음반들의 발매일로부터 6주간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수상하도록 바뀐 것. 사실 이전의 집계 방식은 발매일에 따른 유불리가 있어서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도 어중간한 발매일 때문에 수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개편은 공정성을 더욱 높이는 조치라고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변경 사항을 미리 공지하지 않아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집계 방식이 바뀐 것이 아니라 시상 기준만 변경된 것이기 때문에 주최 측에서 변경 사항을 미리 공지할 의무는 없다. 주최 측에서는 시상식 전에 변경된 시상 기준을 정확하게 공지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은 없다. 또한 이러한 시상 기준 변경이 과연 공정성을 강화하는가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바뀐 방식 때문에 가온 디지털 차트 월간1위를 기록하고도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을 수상하지 못한 노래는 수지&백현의 <Dream>, 10cm의 <봄이 좋냐>, 젝스키스의 <세 단어>이다. 반면 바뀐 방식 덕분에 대신 수상하게 된 노래는 장범준의 <사랑에 빠졌죠>, 씨스타의 <I Like That>, 블랙핑크의 <불장난>인데, 데이터 상으로는 앞의 세 곡 모두가 뒤의 세 곡보다 높은 가온지수를 기록했다.[3] 그러나 이 곡들은 모두 발매 시기가 크게 차이나기 때문에 객관적인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애초에 단순히 가온지수가 높다고 해서 상을 받아야 한다면 월별/분기별 시상은 의미가 없다. 또한 수상하지 못한 세 곡은 각각 여자친구의 <시간을 달려서>, 트와이스의 <CHEER UP>, 트와이스의 <TT>에게 상을 내준 것이므로 장범준, 씨스타, 블랙핑크가 '대신' 수상하게 되었다는 표현도 옳지 않다.

새로운 시상 기준을 적용할 경우 이른바 역주행 곡들은 수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지만 주최 측에서는 역주행 곡들이 받는 피해보다 발매일로 인해 수상하지 못하는 곡들이 받는 피해가 더 크다고 판단해 시상 기준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방탄소년단무대BIGBANG의 무대 연출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SNS 및 인터넷상에서 논란이 되었다. 해당 무대는 2016년 8월 20일에 열린 그룹 BIGBANG 탑의 개인 무대 오프닝 영상이었다. 이걸 본 건지 YG 소속 연출자가 SNS에 방탄소년단의 무대에 유감을 표현해서 논란이 커졌다. 링크

두 무대의 공통점은 TV를 켰을 때 화면에 잡히는 기본적인 신호를 활용했다는 것이다. TV 방송 화질 평가용으로 쓰이는 컬러바와 방송 신호가 약할 때 나타나는 스노우 노이즈 효과, 붉은색 No signal 메시지 등이다. 참고로, 스노우노이즈 효과와 컬러바는 복고 콘셉트로 나온 90년대 뮤직비디오에도 활용된 바 있다. 공일오비의 단발머리 뮤직비디오를 보면 중간 중간에 스노우노이즈 효과가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태지 5집 수록곡 Take Two 뮤직비디오에는 TV가 소재로 등장하는 곡이라 컬러바가 등장한다. 한 마디로 TV 하면 흔히 등장하는 소재였다. No signal 메시지는 모니터에 영상이 뜨지 않을 때 나타나는 표시이다. 폰트는 모니터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영상

이러한 영상은 유튜브에 No signal effect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 보면 숱하게 나올 정도로 일종의 클립아트 같은 요소이다. 링크 두 무대 모두 저 당시에 유행했던 글리치라는 트렌드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무대가 시작할 때의 컬러바와 스노우 노이즈 효과 앞 NO Signal 문구가 나오는 가운데 무대 뒤에서 노래를 하는 장면이 화면에 잡히는 것, 이 모든 것이 그저 같은 컨셉이라서 겹칠 수 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이에 2017년 2월 24일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측은 이는 방탄소년단이 준비한 무대가 아니며, 제작사가 면밀하지 못했다고 공식 사과했다. 기사 하지만 일부 VIP는 사과를 받지 않고 가수의 잘못이라 억지 주장하며 사이버 테러를 하고 일제강점기 독립을 위한 저항시를 함부로 실트 총공 문구에 사용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7회 2017년[편집]


2018년 2월 14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7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한다. 사회는 이특, 다현이었다. 7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V LIVE 영상, 1부, 2부)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AKMU - <오랜 날 오랜 밤>2월TWICE - <KNOCK KNOCK>3월아이유 - <밤편지>
4월아이유 - <팔레트>5월싸이 - <I LUV IT>6월G-DRAGON - <무제>
7월EXO - <Ko Ko Bop>8월선미 - <가시나>9월젝스키스 - <특별해>
10월에픽하이 - <연애소설>11월Wanna One - <Beautiful>12월TWICE - <Heart Shaker>
올해의 가수상 앨범방탄소년단(1,3분기)[4], 세븐틴(2분기)[5], Wanna One(4분기)[6]
올해의 신인상Wanna One(앨범 부문), 우원재(음원 부문)
올해의 음반제작상아이유 - <Palette>, 페이브엔터테인먼트
월드 한류스타상GOT7
올해의 월드루키상BLACKPINK
올해의 롱런음원상아이유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윤종신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뉴이스트 W, GOT7
K-POP 공헌상윤종신
올해의 해외 음원상에드 시런 - Shape of You
올해의 해외 라이징 스타상션 멘데스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PDOGG(작곡가 부문)[7], 아이유(작사가 부문)[8]
올해의 실연자상강태우(코러스 부문)[9][10], 이승엽(연주부문)[11]
올해의 스타일상LIA KIM[12](커리어그라피 부문), 김예진[13], 최경원[14](스타일리스트 부문)
올해의 발견멜로망스(인디), 헤이즈(R&B), 창모(힙합), 황치열(발라드)
팬 투표 인기상태연(여자 부문), Wanna One(남자 부문)

시작전에 수치를 비공개한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막상 당일 수치를 공개했다. 다만 1분기, 3분기 음반상의 후보들의 수치는 미공개됐는데 수상자인 방탄소년단의 VCR 소감의 불발과 동시에 성의없는 영상으로 때운것으로 인해 팬들의 반발을 샀다. 그리고 무려 10개월만인 12월 3일에 사과 비스무리한걸 했다.기사

음원상에서 유독 보이그룹의 활약이 돋보였던 해로 엑소, 젝스키스, 워너원이 음원상을 타게 되었다. 반면 걸그룹의 대활약이 보였던 작년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TWICE만이 가온상을 2번 타게 되었다.

음반 부분의 경우 대형 기획사, 특히 SM의 전유물과도 같았던 다른 해와는 달리 가온 어워즈 최초로 3대 기획사 소속가수들이 시상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수상자는 방탄소년단, 세븐틴, Wanna One으로 각각 빅히트, 플레디스, YMC소속 가수들이다.

팬투표 인기상 부분 역시 몇년 연속으로 EXO가 수상했었으나 이번년도에 최초로 Wanna One한테 팬투표수가 밀리는 결과가 초래되어 결국 엑소는 최초로 팬투표 인기상을 수상하지 못하게 되었다. 여성 가수 부문에는 태연이 수상했다.

무대의 순서도 논란이 있었는데 최다 수상자인 아이유, 거대규모 팬덤의 Wanna One, 최고참급의 젝스키스가 엔딩을 할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세븐틴이 엔딩을 하면서 무대 순서가 에러라는 비판도 있었다.


9. 8회 2018년[편집]


2019년 1월 23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2018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한다. 인기상 부문은 폐지했다. (8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V LIVE 영상, PART 1, PART 2)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월iKON - <사랑을 했다>2월로이킴 - <그때 헤어지면 돼>3월BIGBANG - <꽃 길>
4월TWICE - <What is Love?>5월볼빨간사춘기 - <여행>6월BLACKPINK - <뚜두뚜두>
7월TWICE - <Dance The Night Away>8월Red Velvet - <Power Up>9월임창정 - <하루도 그대를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10월아이유 - <삐삐>11월제니 - <SOLO>12월[15]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Wanna One - <0+1=1 (I PROMISE YOU)>
2분기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Tear'>
3분기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Answer'>
4분기EXO - <DON'T MESS UP MY TEMPO>
올해의 신인상앨범Stray Kids, IZ*ONE음원HAON, (여자)아이들
올해의 음반제작상iKON - <사랑을 했다 (LOVE SCENARIO)>, YG엔터테인먼트
월드 한류스타상세븐틴
올해의 월드루키상모모랜드, 더보이즈
올해의 롱런음원상iKON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장덕철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세븐틴
K-POP 공헌상방탄소년단
올해의 해외 음원상카밀라 카베요 - Havana
올해의 발견상(발라드), 펀치(R&B)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서지음(작사), 테디(작곡)
올해의 실연자상김미정, 심상원(연주), 전재희(코러스)
올해의 스타일상지은(스타일리스트), 손성득(커리어그라피)

2019년도 작년과 같이 세븐틴이 엔딩을 했고 참가한 모든 팀 가운데 유일하게 4곡을 공연했다. 작년에 방탄소년단을 금지어 취급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2019년에는 K-POP 공헌상 소개영상&수상 소감 VCR을 내보였다.

작년에는 약세였던 걸그룹들이 올해는 상당히 강세를 보였다. 총 4곡이 수상을 했으며 BLACKPINK의 솔로 제니까지 포함하면 5달. 또한 걸그룹, 보이그룹, 남녀 솔로까지 수상자들이 꽤나 고루 분포되어 균형있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TWICE의 경우 3년 연속으로 2회 수상에 성공하는 역대 최초의 가수가 되었다.


10. 9회 2019년[편집]


2020년 1월 8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며 2019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한다. 사회는 슈퍼주니어이특ITZY리아.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16] - <180도>1월엠씨더맥스 - <넘쳐흘러>2월화사 - <멍청이>
3월태연 - <사계>4월볼빨간사춘기 - <나만, 봄>5월다비치 - <너에게 못했던 내 마지막 말은>
6월장혜진, 윤민수 - <술이 문제야>7월 - <헤어져줘서 고마워>8월선미 - <날라리>
9월AKMU -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10월MC몽 - <인기 (Feat. 송가인, 챈슬러)>11월아이유 - <Love poem>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세븐틴 - <YOU MADE MY DAWN>
2분기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PERSONA>
3분기세븐틴 - <An Ode>
4분기EXO - <OBSESSION>
올해의 신인상앨범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원ITZY
올해의 음반제작상청하 - <벌써 12시>, MNH엔터테인먼트
월드 한류스타상몬스타엑스
올해의 월드루키상Stray Kids, (여자)아이들
올해의 롱런음원상폴킴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임재현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NCT DREAM, 청하
올해의 소셜 핫 스타상방탄소년단
올해의 리테일 앨범상방탄소년단
올해의 탑 키트셀러상EXO
올해의 해외 음원상앤 마리 - 2002
올해의 해외 라이징스타상빌리 아일리시
올해의 발견상케이시(발라드), 엔플라잉(밴드)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민연재(작사), 블랙아이드필승(작곡)
올해의 실연자상최훈(연주), 주찬양(코러스)
올해의 스타일상최희선(스타일리스트)[17], 최리안(커리어그라피)[18]




11. 10회 2020년[편집]


2021년 1월 13일에 개최됐다. 별도의 공연은 없었고, 토크쇼 형식으로 시상만 진행됐다.
  • MC: 이특, 리아
  • 패널: 주영훈, 재재
  • 주최: 파일:한콘음협.png
  • 주관: 가온차트 뮤직 어워즈 사무국
  • 방송: 파일:엠넷 로고.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온라인 중계[19][20] mubeat amazer live.
  • 홈페이지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21]Red Velvet - <Psycho>1월지코 - <아무노래>2월방탄소년단 - <ON>
3월M.C The Max - <처음처럼>4월오마이걸 - <살짝 설렜어 (Nonstop)>5월아이유 - <에잇(Prod&Feat. SUGA OF BTS)>
6월BLACKPINK - <How You Like That>7월지코 - <Summer Hate (Feat. 비)>8월방탄소년단 - <Dynamite>
9월청하, 크리스토퍼 - <Bad Boy>10월BLACKPINK - <Lovesick Girls>11월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7>
2분기백현 - <Delight>
3분기세븐틴 - <헹가래>
4분기방탄소년단 - <BE (Deluxe Edition)>
올해의 신인상앨범ENHYPEN음원aespa
올해의 음반제작상창모 - <METEOR>, AMBITION MUSIK
뮤빗 글로벌 초이스상임영웅, BLACKPINK
월드 한류스타상NCT
올해의 월드루키상ATEEZ, ITZY
올해의 롱런음원상아이유 - <Blueming>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황인욱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IZ*ONE, Stray Kids
올해의 소셜 핫 스타상BLACKPINK
올해의 리테일 앨범상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7>
K-POP 공헌상이수만
올해의 탑 키트셀러상NCT - <RESONANCE PT.1>
올해의 해외 라이징스타상Tones And I
올해의 발견상영탁(트로트)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Pop Time(작곡), 아이유 (작사)
올해의 실연자상YOUNG(연주 부문), Kriz(코러스 부문)
올해의 스타일상박민희(스타일리스트)[22], 김발코(비주얼디렉터&스타일리스트)[23]


12. 11회 2021년[편집]


2022년 1월 27일에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며 2021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한다. 사회는 재재, NCT도영[24], STAYC시은.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라는 이름으로는 마지막 시상식이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25]태연 - <What Do I Call You>1월아이유 - <Celebrity>2월샤이니 - <Don't Call Me>
3월아이유 - <라일락>4월강다니엘 - <Antidote>5월방탄소년단 - <Butter>
6월브레이브걸스 - <치맛바람 (Chi Mat Ba Ram)>7월방탄소년단 - <Permission to Dance>8월Red Velvet - <Queendom>
9월콜드플레이, 방탄소년단 - <My Universe>10월아이유 - <strawberry moon>11월TWICE - <SCIENTIST>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IZ*ONE - <One-reeler / Act IV>
2분기NCT DREAM - <맛 (Hot Sauce)>
3분기방탄소년단 - <Butter>
4분기NCT 127 - <Sticker>
올해의 신인상앨범이찬원음원이무진
올해의 음반제작상아이유 - <LILAC>, EDAM엔터테인먼트
뮤빗 글로벌초이스 상방탄소년단(남자), 리사(여자)
올해의 월드 한류스타상Stray Kids
올해의 월드 루키상ENHYPEN, aespa
올해의 롱런 음원상방탄소년단 - <Dynamite>
올해의 파퓰러 싱어상스탠딩 에그
올해의 핫 퍼포먼스상오마이걸, 더보이즈
올해의 소셜 핫 스타상방탄소년단
올해의 리테일 앨범상방탄소년단 - <Butter>
올해의 탑 키트셀러상NCT DREAM - <Hello Future>
올해의 어덜트 컨템포러리 뮤직상임영웅
올해의 해외 음원상저스틴 비버 - <Peaches>
올해의 해외 라이징스타상The Kid LAROI, Justin Bieber
올해의 발견호미들(힙합), STAYC(핫 트렌드)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라이언 전(작곡), 아이유(작사)
올해의 실연자상정재필(연주 부문), 김연지(코러스 부문)
올해의 스타일상손성득(커리어그라피), 김욱(스타일리스트)[26]


13. 12회 2022년[편집]


사회는 (여자)아이들미연, NCT도영
2023년 2월 18일 서울 올림픽 공원에서 개최되며 개최되며 2022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상한다.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로 개명된 후 첫 시상식이다.

수상부문수상자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27]IVE - <ELEVEN>1월Kep1er - <WA DA DA>2월태연 - <INVU>
3월(여자)아이들 - <TOMBOY>4월IVE - <LOVE DIVE>5월LE SSERAFIM - <FEARLESS>
6월방탄소년단 - <Yet To Come>7월aespa - <Girls>8월BLACKPINK - <Pink Venom>
9월BLACKPINK - <Shut Down>10월LE SSERAFIM - <ANTIFRAGILE>11월ITZY - <Cheshire>
올해의 가수상 앨범1분기NCT - <Universe>
2분기세븐틴 - <Face The Sun>
3분기방탄소년단 - <Proof>
4분기Stray Kids - <MAXIDENT>
올해의 신인상앨범IVE음원NewJeans
올해의 솔로 가수상임영웅(남자), 나연(여자)
올해의 그룹상세븐틴(남자), BLACKPINK(여자)
올해의 음반제작상(여자)아이들 - <TOMBOY>, 큐브엔터테인먼트
뮤빗 글로벌초이스 상임영웅(남자), BLACKPINK(여자)
올해의 월드 한류스타상투모로우바이투게더
올해의 월드 루키상STAYC
올해의 롱런 음원상임영웅 - <사랑은 늘 도망가>
올해의 핫 퍼포먼스상ENHYPEN
올해의 뉴 아이콘상최예나, NMIXX
올해의 소셜 핫 스타상방탄소년단
올해의 리테일 앨범상방탄소년단 - <Proof>
올해의 베스트 키트앨범상NCT
올해의 해외 음원상Justin Bieber, The Kid LAROI - <STAY>
올해의 해외 라이징스타상GAYLE
올해의 발견BE'O(힙합), 윤하(록, 메탈)
올해의 작곡가, 작사가상라이언 전(작곡), 서지음(작사)
올해의 실연자상최인성(연주 부문), 배수정(코러스 부문)
올해의 스타일상박민희(비주얼 디렉터), 김은주, BLACK.Q(퍼포먼스 디렉터)
아이돌플러스 뉴 스타상TEMPEST
아이돌플러스 글로벌 아티스트상방탄소년단

올해의 솔로 가수상과 올해의 그룹상 부문이 신설되었다.


14. 13회 2023년[편집]


2023년 9월 12일 한국음악콘텐츠협회와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의 부산 정례 개최를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연속 개최한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 열리는 것은 부산이 처음이다. 또한 뮤직 어워즈에 부산 도시 브랜드 '부산 이즈 굿(Busan is good)' 특별상을 신설하고 시상식을 활용한 관광 상품화, 지역 음악 콘텐츠 산업 및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측은 2026년 이후 부산 개최도 자신하고 있다. #1 #2

2024년 1월 10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

[1] 배윤정, 전홍복[2] 소울맨 [3] 수지&백현 <Dream> - 76.1백만, 10cm <봄이 좋냐> - 94.8백만, 젝스키스 <세 단어> - 76.7백만
장범준 <사랑에 빠졌죠> - 68.5백만, 씨스타 <I Like That> - 67.4백만, 블랙핑크 <불장난> - 71.8백만
[4] 오프라인 1분기, YOU NEVER WALK ALONE, 오프라인 3분기, LOVE YOURSELF 承 `Her`[5] 오프라인 2분기, Al1[6] 오프라인 4분기, 1-1=0 (NOTHING WITHOUT YOU)[7] 방탄소년단 프로듀서[8] 전문 작사가가 아닌, 싱어송라이터가 받은 최초의 사례[9] 소울맨 [10] 어반자카파, 비투비, 황치열 등 코러스 담당[11] WINNER, AKMU, 젝스키스, 볼빨간사춘기 등 기타 연주 담당[12] TWICE, 선미, 아이오아이 등 안무 창작[13] Red Velvet 스타일리스트[14] BLACKPINK 스타일리스트[15] 2020년 시상식에서 시상[16] 2018년[17] ITZY 스타일리스트[18] 청하 안무가[19] 가온차트 유튜브 채널.[20] 비공개로 전환.[21] 2019년[22] BLACKPINK 스타일리스트[23] BLACKPINK 스타일리스트[24] 본래 STAYC 시은과 함께 SUPER JUNIOR은혁이 MC를 맡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도영으로 대체되었고 재재가 함께 투입되었다. 시은은 그대로 진행.[25] 2020년[26] 샤이니, EXO 카이, aespa, WOODZ 스타일리스트[27] 2021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9:22:15에 나무위키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역대 시상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