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연의 부름 II/온라인 예선전

덤프버전 :

||



1. 개요
2. 선발방식
3. 지역별
3.1. 한국 지역
3.2. 중국대륙 지역
3.2.1. 조별 토너먼트
3.2.1.1. A조
3.2.1.2. B조
3.2.1.3. C조
3.2.1.4. D조
3.2.2. 리매치
3.3. 일본 지역
3.4. 동남아 지역
3.5. 북미·유럽 지역
3.6.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1. 개요[편집]


심연의 부름 II의 지역별 온라인 예선전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2. 선발방식[편집]


각 지역의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상위 4위에 든 클랜은 해당 지역의 심연의 부름 온라인 예선전으로 초대받는다. 단, 중국대륙 지역은 상위 16위에 든 클랜이 중국대륙 지역의 온라인 예선전에 초대된다. 이 클랜들은 경쟁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글로벌 파이널 진출권을 얻어낼 수 있었고 한국 지역에는 1장의 진출권이 할당됐다. 참고로 2019년 심연의 부름 II 개최 시기에는 프로팀은 없었으므로 모든 지역의 클랜들이 아마추어 팀이었다.

  • 중국대륙 지역: 중국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16클랜이 참여하여 7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다른 지역과 다르게 참가 팀이 많은 관계로 조별 토너먼트와 리매치 단계로 나눠 본선 참가 클랜을 선발한다. 중국대륙 지역은 총 8개의 클랜이 본선에 참가하며, 이중 7클랜은 이 중국 지역 예선전에서 선발되었고, 나머지 1클랜은 이전에 열린 2018 크로스 플랫폼 클래식(跨平台精英赛)의 우승 클랜이다.[1]
    • 조별 토너먼트 단계 (4월 6일~4월 14일): 4개팀씩 A, B, C, D조로 나뉘어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각 조의 우승 4개 클랜(조 1위)은 즉시 진출권을 획득, 준우승 클랜(조 2위)과 패자 브라켓 우승 클랜(조 3위)은 다음 리매치 토너먼트로 진출해 또 다시 경쟁한다.
    • 리매치 단계 (4월 19일~4월 21일): 4개팀씩 두 개의 승자 브라켓으로 나뉘어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각 브라켓의 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획득하고, 패자 브라켓의 우승 1개 클랜도 진출권을 획득한다.

  • 일본 지역: 일본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2월 15일~2월 16일 이틀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 동남아 지역: 동남아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6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2월 16일~2월 17일 이틀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 한국 지역: 한국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1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7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 북미·유럽 지역: 북미·유럽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1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6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3. 지역별[편집]



3.1. 한국 지역[편집]


한국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1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7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TK
포인트 1위
2 / 0
TOP
포인트 2위
0 / 0

결승 (1/27)
TK
2 / 0
AD
0 / 0
||
NBD
포인트 3위
0 / 1
AD
포인트 4위
2 / 1
||
3위 결정
M1
(패자
TOP
기권패
M2
(패자
NBD
부전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한국 지역 온라인 예선전 최종 결과
1위<gold,#7f6b00>TK (Team Korea)
2위AD (TeamAD)
3위NBD
4위TOP
노란색: 본선 참가권 획득

한국 지역 심연의 부름 II 탑의 정상 단계에서 TOP4에 든 TK(Team Korea), TOP, NBD, AD(TeamAD) 클랜이 한국 지역 온라인 예선전에 초대되었다. 최종적으로 TK(Team Korea) 클랜이 우승하며 한국 지역 대표로 본선에 참가하게 됐다.

3.2. 중국대륙 지역[편집]


중국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16클랜이 참여하여 7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다른 지역과 다르게 참가 팀이 많은 관계로 조별 토너먼트와 리매치 단계로 나눠 본선 참가 클랜을 선발한다. 중국대륙 지역은 총 8개의 클랜이 본선에 참가하며, 이중 7클랜은 이 중국 지역 예선전에서 선발되었고, 나머지 1클랜은 이전에 열린 2018 크로스 플랫폼 클래식(跨平台精英赛)의 우승 클랜이다.[2]


3.2.1. 조별 토너먼트[편집]


조별 토너먼트 단계 (4월 6일~4월 14일): 4개팀씩 A, B, C, D조로 나뉘어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각 조의 우승 4개 클랜(조 1위)은 즉시 진출권을 획득, 준우승 클랜(조 2위)과 패자 브라켓 우승 클랜(조 3위)은 다음 리매치 토너먼트로 진출해 또 다시 경쟁한다.

3.2.1.1. A조[편집]

심연의 부름 II
중국대륙 지역 온라인 예선전 조별 토너먼트 A조 대진표
Gr (Glory)
W1 / 1
VE
1 / 1

승자전 (4/6)
Gr
2 / 0
<gold,#7f6b00>
RG
0 / 0
||
Miracle
0 / 1
RG
2 / 1
||
패자전 (4/6)
M1
(패자
VE
0 / 2
M2
(패자
Miracle
1 / 2
||
W 판정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파란색: 리매치 단계 진출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3.2.1.2. B조[편집]

심연의 부름 II
중국대륙 지역 온라인 예선전 조별 토너먼트 B조 대진표
TZC
W1 / 2
AS
1 / 2

승자전 (4/7)
TZC
1 / 0
<gold,#7f6b00>
ws
2 / 0
||
ws
2 / 1
Ts1
0 / 1
||
패자전 (4/7)
M1
(패자
AS
0 / 1
M2
(패자
Ts1
2 / 1
||
W 판정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파란색: 리매치 단계 진출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3.2.1.3. C조[편집]

심연의 부름 II
중국대륙 지역 온라인 예선전 조별 토너먼트 C조 대진표
ikB
2 / 0
Ele
0 / 0

승자전 (4/13)
ikB
0 / 2
<gold,#7f6b00>
5hs
1 / 2
||
HLW
0 / 1
5hs
2 / 1
||
패자전 (4/13)
M1
(패자
Ele
0 / 0
M2
(패자
HLW
2 / 0
||
W 판정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파란색: 리매치 단계 진출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3.2.1.4. D조[편집]

심연의 부름 II
중국대륙 지역 온라인 예선전 조별 토너먼트 D조 대진표
FATE
2 / 1
OK (OneKnife)
0 / 1

승자전 (4/14)
FATE
1 / 1
<gold,#7f6b00>
XGI
W1 / 1
||
XGI
2 / 0
N.B.
0 / 0
||
패자전 (4/14)
M1
(패자
OK
W10 / 1
M2
(패자
N.B.
2 / 1
||
W 판정승 | W1 상대 부정행위로 판정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파란색: 리매치 단계 진출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3.2.2. 리매치[편집]


리매치 단계 (4월 19일~4월 21일): 4개팀씩 두 개의 승자 브라켓으로 나뉘어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각 브라켓의 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획득하고, 패자 브라켓의 우승 1개 클랜도 진출권을 획득한다.

심연의 부름 II
중국대륙 지역 온라인 예선전 리매치 대진표
승자조
TZC
B조 2위
0 / 2
Miracle
A조 3위
1 / 2

ikB
0 / 1
Miracle
2 / 0
||
ikB
C조 2위
2 / 0
OK
D조 3위
0 / 0
||
Gr
A조 2위
1 / 2
Ts1
B조 3위
0 / 2

Gr
W1 / 1
HLW
1 / 1
||
FATE
D조 2위
0 / 1
HLW
C조 3위
2 / 1
||
패자조
M1
(패자
TZC
부전승
M2
(패자
OK
기권패

M5
(패자
ikB
1 / 1
TZC
2 / 1

TZC
1 / 2
Ts1
0 / 2
||
M3
(패자
Ts1
1 / 2
M4
(패자
FATE
0 / 2

M6
(패자
HLW
0 / 2
Ts1
1 / 2
||
W 판정승 | 게임 승리 수 / 무승부 수
연두색: 매치 승리 | 노란색: 본선 진출권 획득




3.3. 일본 지역[편집]


일본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2월 15일~2월 16일 이틀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3.4. 동남아 지역[편집]


동남아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참여하여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6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3.5. 북미·유럽 지역[편집]


북미·유럽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1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1월 26일 하루 동안 3판 2선승(BO3)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3.6. 홍콩·마카오·대만 지역[편집]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인 게임 포인트 경기에서 뽑힌 4클랜이 2개의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2월 16일~2월 17일 이틀 동안 3판 2선승(BO3)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우승 및 준우승 2개 클랜은 진출권을 얻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5 23:23:12에 나무위키 심연의 부름 II/온라인 예선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 크로스 플랫폼 클래식(跨平台精英赛)에서 우승한 클랜은 ITC로 이후 본선에서 한국 지역 대표팀인 팀코리아(TK)와 붙게 된다.[2] 2018 크로스 플랫폼 클래식(跨平台精英赛)에서 우승한 클랜은 ITC로 이후 본선에서 한국 지역 대표팀인 팀코리아(TK)와 붙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