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항

덤프버전 : r (♥ 0)




1. 개요[편집]


조선 성종의 부마. 고원위(高原尉). 는 용이(容耳). 시호는 문효(文孝). 본관은 고령(高靈).


2. 생애[편집]


신항(申沆)은 1477년(성종 8)에 태어났으며, 영의정을 지낸 보한재 신숙주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신주(申澍)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 신종호(申從濩)이며, 어머니는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7, 8세에 글을 읽은 지 몇 해 만에 시경(詩經)을 배우고, 황산곡집(黃山谷集)을 외우는 데 한자도 틀림이 없었다. 14세에 성종의 제1녀 혜숙옹주(惠淑翁主)를 아내로 맞아 순의대부(順義大夫)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다.

부친상을 당하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으며, 탈복한 뒤 관직에 돌아와 1499년(연산 5)에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겸하였다. 1501년(연산 7) 자의대부(資義大夫), 뒤이어 귀후서제조(歸厚署提調), 통헌대부(通憲大夫)에 올랐다.

1504년(연산 10)에 풍원위(豊原尉) 임숭재(任崇載)의 참소(讒訴)로 의금부에 하옥되었으며, 통헌대부가 거두어지고, 궁궐 출입이 금지되었다.

이에 두문불출하고 빈객을 맞지 않으며 적막하게 스스로를 지켰다. 중종반정 후 반정에는 가담하지 않았으나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책봉되고 봉헌대부(奉憲大夫)에 올랐다.

1507년(중종 2)에 세상을 떠났으며,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31 09:42:27에 나무위키 신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