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봉

최근 편집일시 : (♥ 0)

대한민국 육군인사사령관
신은봉
Shin Eunbong
파일:준장신은봉.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2년 ~ 현재
학력완산고등학교 (졸업 / 13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 석사[1])
임관육군사관학교 (48기)
현재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육군인사사령관
주요 보직제66보병사단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참모장
제2작전사령부 인사처장
제17보병사단 1대대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현재 계급은 소장, 직능은 인사이다.


2. 생애[편집]


전주 완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13회) 1988년 육군사관학교(48기)로 입교하여 1992년 졸업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99년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


3. 주요 직위[편집]


  • 대위
    • 제22보병사단 제55보병연대 3대대 11중대장[3]
  • 중령
  • 대령
  • 준장
    • 제2작전사령부 인사처장
    •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참모장
    • 제66보병사단[4]
  • 소장

4. 여담[편집]


  • 육사 동기로 김성민, 박후성, 주성운, 이진우, 여인형, 정진팔 중장 등이 있다 그 중 정진팔은 고등학교 1년 후배로 신 장군이 재수로 육사에 입교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전역 대기직인 동원사단장을 역임했지만 이례적으로 소장 진급하여 육군인사사령관으로 영전했다. 육사 11기 백운택[5] 71사단장, 육사 29기 김기호 62사단장 등, 동원사단장을 역임하고 진급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9:24:29에 나무위키 신은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군 정보화 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1999)[2] 교수사관이 아닌 야전에서 근무하는 군인들은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할 때 대부분 직업의 특성 때문에 군사학이나 행정학, 정책학, 경영학, 북한학을 전공하지 교육학,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인의 임관 4년 선배인 장광선 장군의 석사 전공이 사회복지학이며, 육사 2기수 후배인 하헌철 장군의 석사 전공도 마찬가지로 자연과학이다.[3] 대대장 전인범[4] 전임자 전병희, 후임자 여인웅[5] 백운택은 원래 전역했어야 할 사람이 전두환의 쿠데타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후 수경사령관으로 영전한 노태우의 빈자리를 꿰찬 것으로, 반역죄를 저질러서 승진한 비정상적인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