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네마 베리테

덤프버전 :

cinéma vérité


1. 소개[편집]


장 루슈에드가 모랭이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져있는 개념으로, 그들은 1920년대에 지가 베르토프가 제시한 '키노 프라우다'[1]가 시네마 베리테의 주된 모델로 꼽아왔다.[인용]


2. 예시[편집]


  • 장 루슈의 작품들. 민족지학자로서, 주로 1세계에 의해 지배받었던 아프리카 나라들에서 작업한 것들이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9:05:32에 나무위키 시네마 베리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어 표현인 '시네마 베리테'의 러시아어 표현이다. '키노'는 영화이고, '프라우다'는 진실이다.[인용] : 김태희, "시네마-베리테, 혹은 영화적 진실"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10년 봄호 (제31집) (2010): p.31. 프랑스문화예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