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펜서 아리게티

최근 편집일시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2d62><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eb6e1f,#e06314> 31 그레이브먼 · 35 벌랜더 · 43 맥컬러스 Jr. · 47 몬테로 · 52 B.아브레우 · 53 하비에르 · 55 프레슬리 · 56 블랑코 · 58 브라운 · 59 발데스 · 60 쿠넬 · 61 마르티네즈 · 62 소사 · 64 비엘락 · 65 우르퀴디 · 66 더빈 · 67 무신스키 · 68 프랭스 · 77 가르시아 · 91 게이지 · # 휘틀리 · # 오르테가 · # 콜먼 ||
|| 포수 || 18 살라사르 · 21 디아스 · # 카라티니 ||
|| 내야수 || 2 브레그먼 · 3 페냐 · 14 듀본 · 16 케신저 · 17 헨슬리 · 27 알투베 · 28 싱글턴 · 79 J.아브레우 ||
|| 외야수 || 6 마이어스 · 9 절크스 · 20 맥코믹 · 30 터커 · 44 알바레즈 · # 코로나 ||
||<-2>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조 에스파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마르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밀러 · 파일:미국 국기.svg 빌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콜린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댄 피로바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알렉스 신트론 · 파일:미국 국기.svg 트로이 스니커 공석 ·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페티스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슈거랜드 스페이스 카우보이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스펜서 아리게티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1번
제이슨 캔즐러
(2022~2023)
스펜서 아리게티
(2024~)
현역

파일:애스트로스아리게티24.jpg
휴스턴 애스트로스 No.41
스펜서 아리게티
Spencer Arrighetti
본명스펜서 제인 아리게티
Spencer Zane Arrighetti
출생2000년 1월 2일 (24세)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
출신텍사스 주 해리스 카운티 케이티[1]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신코 랜치 고등학교 - 나바로 칼리지 -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교 -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피엣
신체188cm, 84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2021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8번, HOU)
소속팀휴스턴 애스트로스 (2024~)
계약1yr / $740,000
연봉2024 / $740,000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5. 여담



1. 개요[편집]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휴스턴 애스트로스[편집]


AAA에서 무난한 활약을 보여주면서 마침 프램버 발데스의 팔꿈치 염증으로 로테이션을 매꾸기 위한 대체 선발로 콜업되어서 메이저 데뷔전을 치르게 됐다.

2024년 4월 10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 선발 등판해 3이닝 7피안타 3볼넷 3K 7실점을 기록하며 험난한 데뷔전을 치렀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4월 15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 선발 등판해서 4이닝 2실점을 기록했고 패전투수가 됐다.

5월 2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 선발 등판해 5⅔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호투했다. 그러나 타선이 아리게티가 내려오고 후반에 점수를 몰아서 내는 바람에 팀은 승리했으나 ND를 기록했다.

5월 8일 뉴욕 양키스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5실점을 기록하고 패전 투수가 됐다.

5월 13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에서 선발 등판해 5이닝 2실점을 기록하고 팀이 승리를 달성하며, 통산 첫 승을 기록했다.

5월 19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 선발 등판해 6⅓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데뷔 첫 6이닝 이상을 소화했다. 이날은 6이닝 1실점 QS요건을 갖출 수 있었으나 무리해서 7회에 등판했다가 1아웃 만루를 쌓고 강판됐다. 이후 브라이언 아브레우가 분식회계로 3실점을 추가로 하면서 QS가 날라갔다. 다만 이 운영은 감독의 실책으로 평가되는데, 7회 1아웃 상황에서도 이미 내려도 상관없는 투구수였는데 주자 출루 후 교체 없이 만루 쌓을 때까지 기다린 것이다. 그래도 초반부터 빵빵한 타선의 득점지원으로 시즌 2승을 기록했다.

5월 25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에서 선발 등판해 5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타선이 점수를 못 내는 바람에 패전 투수가 됐다.

5월 30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선발 등판해 6이닝 무실점 2피안타 8K를 기록하며 호투했다. 데뷔 첫 무실점과 QS와 더불어 통산 한 경기 최다 탈삼진까지, 그야말로 최고의 하루를 보냈다. 팀도 승리하면서 시즌 3승을 적립했다.

6월 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 선발 등판해 3이닝 1실점 3피안타 3볼넷 4K를 기록했다. 실점은 적었지만 제구 난조로 너무 볼을 많이 던지는 등 투구수가 많아져서 조기 강판됐다. 팀은 타선이 불같은 화력을 보여주며 승리했다.[2]

6월 10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 선발 등판해 5.2이닝 1실점 4피안타 6K를 기록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포심, 커터,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등을 던지며 디셉션이 가미된 쓰리쿼터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커브 각도는 랜맥주가 연상된다. 결정구는 커터로 보이며, 슬라이더는 스위퍼성 궤적을 가지고 있어서 완성도가 좋다. 체인지업의 경우 구종가치가 매우 낮아서 잘 안던지는 편. 포심도 그다지 좋진 않다. 단점은 제구로 신인임을 감안해야되지만 제구력이 매우 나빠서 투구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아 3이닝 1실점 70구 같은 기괴한 기록도 나온다. 구종들 완성도도 높고 구위도 좋은데 제구가 나쁘고 멘탈이 약하다는 점이 문제라고 볼 수 있다.

4. 연도별 성적[편집]




5. 여담[편집]


  • 뉴멕시코 출생이지만 어릴 때 아버지 직장때문에 휴스턴으로 이사하고 쭉 휴스턴 케이티에서 자랐다. 14살 때 처음 미닛 메이드 파크를 방문하고 그대로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팬이 되었다고 한다. 덕분에 휴스턴의 지명을 받았을 때 매우 감격했고 콜업되어 휴스턴 유니폼을 입고 빅리그에 데뷔한 날은 인생 최고의 날이었다고 한다. 그야말로 성공한 덕후이자 간만에 나온 휴스턴 로컬 선수.

  • 현대 메이저리그에서 데뷔때 부터 고향 연고 팀에서 뛰는 흔치 않은 선수다.

[1] 휴스턴 서쪽의 배드타운. 휴스턴에서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아리게티의 모교 신코 랜치 고등학교도 케이티에 있다.[2] 다만 투구수를 보면 1~2이닝은 더 볼 수도 있었으나 던지는 도중 타구에 다리를 맞는 바람에 보호 차원에서 내린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2 01:32:18에 나무위키 스펜서 아리게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