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다 케이나/디스코그래피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스다 케이나

1. 개요
2. 디스코그래피
2.1. 앨범
2.1.1. 1st Album 「Quote」
2.1.2. Major 1st Full Album 「Billow」
2.1.3. Major 2nd Full Album 「Ghost Pop」
2.2. EP
2.2.1. 1st EP 「teeter」
2.2.2. 2st EP 「porte」
2.3. 디지털 싱글
2.3.1. 1st 디지털 싱글 <はるどなり>
2.3.2. 2nd 디지털 싱글
2.3.3. 3rd 디지털 싱글



1. 개요[편집]


스다 케이나의 디스코그래피를 정리한 문서.

2. 디스코그래피[편집]



2.1. 앨범[편집]



2.1.1. 1st Album 「Quote」[편집]



발매일2018년 1월 31일
트랙곡명
1morph | 모르프 [1]
2レド | 리드(레드)
3idid
4Cambell | 캠벨
5ポリアンナ | 폴리안나 [2]
6街灯劇 | 가로등 극
7シックハウス | 식 하우스
8アマドール | 아마돌
9鳥曇り | 새 흐림
10密 | 밀

벌룬이 아닌 스다 케이나 명의로 낸 첫번째 앨범.


2.1.2. Major 1st Full Album 「Billow」[편집]



발매일2021년 2월 3일
트랙곡명
1Vanilla | 바닐라
2飛花 | 비화
3刹那の渦 | 찰나의 소용돌이
4Alba | 알바
5veil | 베일
6Carol | 캐럴
7メメント | 메멘토
8MUG | 머그
9迷鳥 | 미조 [3]
10風の姿 | 바람의 모습
11MOIL | 모일
12はるどなり | 하루도나리 [4]
13Welp | 웰프
14色に出ず | 이로니다즈 [5]
15ゆるる| 유루루 [6]


2.1.3. Major 2nd Full Album 「Ghost Pop」[편집]



발매일2023년 5월 24일
트랙곡명
1ラブシック | 러브 시크
2メロウ | 멜로우
3ダーリン | 달링
4バグアウト | 버그 아웃
5ノマド (self cover) | 노마드, 혹은 노매드 [7] [8]
6落花流水 | 낙화유수 [9] [10]
7幼藍 | 유람
8Howdy | 하우디 [11]
9パメラ (self cover) | 파멜라 [12]
10終夜 | 종야 [13]
11雲を恋う | 구름을 사랑해 [14]
12いびつな心 | 일그러진 마음
13綺麗事 | 깨끗한 일 [15]
14美談 | 미담

수록곡 <멜로우(メロウ)>는 애니메이션 스킵과 로퍼의 오프닝 곡으로 타이업되었으며, 애니 및 영상의 평이 좋아 원곡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OP 영상 MV 영상

2.2. EP[편집]



2.2.1. 1st EP 「teeter」[편집]



발매일2019년 1월 16일
트랙곡명
1mock | 모크 [16]
2パレイドリア | 파레이돌리아[17]
3farce | 파스 [18]
4Dolly | 돌리 [19]
5レソロジカ | 레솔로지카 [20]
6浮花 | 후카 [21]

내용DVD첨부초회한정반
1mock (Music Video)
2Dolly (Music Video)


2.2.2. 2st EP 「porte」[편집]



발매일2019년 8월 21일
트랙곡명
1veil (TV 애니메이션 「불꽃 소방대」 1기엔딩곡) | 베일
2MOIL (극장판 애니메이션 「니노쿠니」엔딩곡) | 모일
3語るに落ちる | 이야기에 빠지다 [22]
4青嵐 | 푸른 폭풍
5couch | 카우치 [23]

파일:벌룬 porte.jpg
내용DVD첨부초회한정반
1「porte」 concept movie
2「MOIL」 music video
3「veil」 music video


2.3. 디지털 싱글[편집]



2.3.1. 1st 디지털 싱글 <はるどなり>[편집]


はるどなり
파일:harudonari_sudakeina_full.jpg
발매일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1월 24일
레이블unBORDE/WARNER MUSIC JAPAN
장르J-POP
곡수1곡

MV


2.3.2. 2nd 디지털 싱글 <MUG>[편집]


MUG
파일:mug_sudakeina.jpg
발매일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4월 24일
레이블unBORDE/WARNER MUSIC JAPAN
장르J-POP
곡수1곡

MV


2.3.3. 3rd 디지털 싱글 <Alba>[편집]


Alba
파일:Alba_sudakeina.jpg
발매일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6월 5일
레이블unBORDE/WARNER MUSIC JAPAN
장르J-POP
곡수1곡

MV

[1] 변하다. 를 의미하는 영단어[2] 지나친 낙천주의자를 의미하는 영단어[3] 길을 잃은 철새들을 의미함.[4] 봄이 가까이 다가옴을 의미함.[5] 마음속의 생각이 표정이나 태도에서 나타나는 것, 색이붙다 라는 의미[6] 일본어로 흘러가는 모양을 의미하는 단어, 의역하자면 졸졸졸.[7] 유목민을 의미하는 영단어 [8] 프로젝트 세카이 유닛 25시 나이트코드에서 제공곡.[9]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혹은 남녀간 서로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을 이르는 말[10] 이 노래가 영화 "내가 사랑한 모든 너에게" 삽입곡인 점, M/V를 통해 남녀의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을 의미하는 단어 임을 유추할수 있다.[11] 안녕이라는 뜻으로 해석 할수 있다.[12] MTV VMAJ 2022 「Daisy Bell Award」 수상 악곡[13] 하룻밤사이를 걸침, 하룻밤 사이를 의미한다.[14] 구름을 그리워하다, 연모하다 라 번역할수도 있다.[15] 내용은 하여튼 겉치레만은 좋은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16] 조롱하다. 혹은 거진된 이라는 뜻의 영단어[17] 뜻은 '변상증'. 어떤 사물에서든지 일정한 규칙이나 형태를 찾아내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18] 소극(笑劇)이라는 뜻의 영단어[19] 인형이라는 뜻의 영단어[20] 실어증(失語症), 적확언어망각(適確言語忘却). 적절한 말 혹은 어떤 특정한 말을 상기(想起)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21] 일본어에 존재하지않는 단어이다, 한국어 한자의 음으로 부화, 뜻으로 해석하자면 (물에)뜬 꽃, 떠다니는 꽃.[22] 이야기도중 무심코 진실을 말하다 라는 의미이기도 하다.[23] 침상이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다 케이나 문서의 r1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스다 케이나 문서의 r1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1:38:54에 나무위키 스다 케이나/디스코그래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