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녀전선/코스튬/2016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녀전선/코스튬

파일:gf-logo.png
[ 펼치기 · 접기 ]
## 게임 정보
게임 정보
미디어 믹스
만화 · 앤솔러지 · 애니메이션(TVA · WEB)




소녀전선 코스튬 목록
2016201720182019
2020202120222023
1. 개요
2. 목록
2.1. 2016년 할로윈: 전쟁터의 마녀들
2.1.1. m45 - 과자 배달부
2.1.2. 마카로프 - 잭오랜턴
2.1.3. Mk23 - 스위트 데빌 [애니메이션]
2.1.4. 64식 - 떠돌이 마녀
2.1.5. M1919A4 - 카밀라
2.1.6. MP5 - 드라큘라
2.1.7. Vector - 고양이 발바닥
2.1.8. G11 - 은톨이 좀비
2.1.9. 스프링필드 - 클래식 마녀 [애니메이션]
2.1.10. WA2000 - 고성에서의 모험 [Live2D]
2.2. 조용한 일상
2.2.1. 마이크로 우지 - 잠에서 깬 바보
2.2.2. MP-446 - 고집 센 악동
2.2.3. M1918 - 바니걸
2.3. 소란스런 도시
2.3.1. 리엔필드- 제복 사냥꾼
2.3.2. 64식 - 물선녀복
2.3.3. 그리즐리 MkV - 주말 경비원
2.3.4. M1919A4 - 파티의 연인
2.4. 2016 크리스마스: 겨울의 즐거운 노랫소리
2.4.1. M14 - 성탄절 퍼레이드 의상
2.4.2. 스프링필드 - 성스러운 밤의 축복
2.4.3. FAL - 겨울 보급작전
2.4.4. NTW-20 - 루돌프
2.4.5. M21 - 성탄절 실내복
2.4.6. 콜트 리볼버 - 별똥별의 소원
2.4.7. SVD - 겨울 선녀
2.4.8. WA2000 - 겨울날 그대를 기다리며 [Live2D]
2.4.9. MG5 - 새빨간 야간경비원
2.4.10. 수오미 - 코르바툰투리의 눈요정 [Live2D]


1. 개요[편집]


2016년에 출시된 전술인형의 코스튬을 모아놓은 문서

순서는 중국 서버 출시 순서에 따른다.

기본적으로 스킨 전체적인 설명은 해당 스킨 뽑기에 관련된 내용이며, 보석 판매 혹은 퀘스트 지급 등의 경우 일정이 달랐을 수 있으니 참고하길 바람.


2. 목록[편집]




2.1. 2016년 할로윈: 전쟁터의 마녀들[편집]


최초로 발매된 스킨으로, 중국 서버에서 2016년 10월 28일부터 11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m45, 마카로프, Mk23은 패키지 구매, 64식은 출석보상, 나머지는 한정 뽑기로 진행되었다.

한국 서버 역시 서버 오픈과 함께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뽑기를 진행하여 스킨 시스템의 시발탄이 되었으며, Mk23과 64식의 코스튬은 초기에 특전 보상 및 이벤트로 지급되었다.

이후 한/중 모두 2017,2019년 할로윈 시즌에 찬란한 수집을 통해 한정 복각하였다.

스프링필드 스킨은 이후 패치를 통해 애니메이션 효과[1]가 적용되었다.

2.1.1. m45 - 과자 배달부[편집]


파일:GF_m45_HW.png파일:GF_m45_HW_D.png
기본중상


2.1.2. 마카로프 - 잭오랜턴[편집]


파일:dfㅇㅇㅇss231fsdf.png파일:dfㅇㅇㅇsㅇs231fsdf.png
기본중상


2.1.3. Mk23 - 스위트 데빌 [애니메이션][편집]


파일:GF_Mk23_S1.png파일:GF_Mk23_S1_D.png
기본중상


2.1.4. 64식 - 떠돌이 마녀[편집]


파일:GF_64type_HW.png파일:GF_64type_HW_D.png
기본중상


2.1.5. M1919A4 - 카밀라[편집]


파일:GF_M1919A4_HW.png파일:GF_M1919A4_HW_D.png
기본중상


2.1.6. MP5 - 드라큘라[편집]


파일:GF_MP5_HW.png파일:GF_MP5_HW_D.png
기본중상


2.1.7. Vector - 고양이 발바닥[편집]


파일:Pic_Vector_2_D 사본.png파일:Pic_Vectoㅇr_2_D 사본.png
기본중상


2.1.8. G11 - 은톨이 좀비[편집]


파일:GF_G11_HW.png파일:GF_G11_HW_D.png
기본중상


2.1.9. 스프링필드 - 클래식 마녀 [애니메이션][편집]


파일:M1ddd_wait.png파일:M1dddd_wait.png
기본중상


2.1.10. WA2000 - 고성에서의 모험 [Live2D][편집]


파일:GF_WA2000_HW.png파일:GF_WA2000_HW_D.png
기본중상



2.2. 조용한 일상[편집]


일상복 컨셉의 스킨으로, 3개의 코스튬이 추가되었다.
일상(바니걸)

2.2.1. 마이크로 우지 - 잠에서 깬 바보[편집]


파일:GF_MicroUZI_S1.png파일:GF_MicroUZI_S1_D.png
기본중상


2.2.2. MP-446 - 고집 센 악동[편집]


파일:800sspsdfP38a 사본.png파일:800ㄴㄹP38a 사본.png
기본중상


2.2.3. M1918 - 바니걸[편집]


파일:df454sfsd.png파일:df4dfsd.png
기본중상



2.3. 소란스런 도시[편집]


마찬가지로 일상복 컨셉의 스킨. 4개의 코스튬이 추가되었고, 중국서버에서 2016년 12월 1일부터 12월 22일까지 진행되었다.

한국 서버에서는 조용한 일상과 함께 찬란한 수집에 추가되었다.

2.3.1. 리엔필드- 제복 사냥꾼[편집]


파일:GF_Lee-Enfield_S.png파일:GF_Lee-Enfield_S_D.png
기본중상


2.3.2. 64식 - 물선녀복[편집]


파일:GF_64type_S2.png파일:GF_64type_S2_D.png
기본중상


2.3.3. 그리즐리 MkV - 주말 경비원[편집]


파일:GF_Grizzly_nj.png파일:GF_Grizzly_nj_D.png
기본중상


2.3.4. M1919A4 - 파티의 연인[편집]


파일:GF_M1919A4_S2.png파일:GF_M1919A4_S2_D.png
기본중상



2.4. 2016 크리스마스: 겨울의 즐거운 노랫소리[편집]


2016년 크리스마스 스킨으로, 중국서버에서 2016년 12월 22일부터 2017년 1월 5일까지 뽑기가 진행되었다.

M14, 스프링필드, FAL은 패키지, NTW-20은 이벤트 보상으로 지급되었으며, 나머지 6종에 대하여 뽑기가 진행되었다.

한국 서버는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한여름의 성탄제 뽑기로서 추가되었다.

2.4.1. M14 - 성탄절 퍼레이드 의상[편집]


파일:GF_M14_CM.png파일:GF_M14_CM_D.png
기본중상


2.4.2. 스프링필드 - 성스러운 밤의 축복[편집]


파일:d_wait.png파일:dssds45dffs.png
기본중상


2.4.3. FAL - 겨울 보급작전[편집]


파일:Pic_fFsNFAL 사본.png파일:Pic_fFsNFALc 사본.png
기본중상


2.4.4. NTW-20 - 루돌프[편집]


파일:800pxㅇㄴㄴㅇW20 사본.png파일:80ㅁㄴㄹW20 사본.png
기본중상


2.4.5. M21 - 성탄절 실내복[편집]


파일:GF_M21_CM.png파일:GF_M21_CM_D.png
기본중상


2.4.6. 콜트 리볼버 - 별똥별의 소원[편집]


파일:sdfd2ㄴㄴㅇㄹhsff.png파일:sdfdㅇ2ㄴㄴㅇㄹhsff.png
기본중상


2.4.7. SVD - 겨울 선녀[편집]


파일:GF_SVD_CM.png파일:GF_SVD_CM_D.png
기본중상


2.4.8. WA2000 - 겨울날 그대를 기다리며 [Live2D][편집]


파일:WA2000_Christmas.jpg파일:GF_WA2000_CM_D.png
기본중상


2.4.9. MG5 - 새빨간 야간경비원[편집]


파일:GF_MG5_CM.png파일:GF_MG5_CM_D.png
기본중상


2.4.10. 수오미 - 코르바툰투리의 눈요정 [Live2D][편집]


파일:GSGAGDDSSSD.png파일:GSGAGDDDSSSD.png
기본중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23:45:19에 나무위키 소녀전선/코스튬/2016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ive2D 하위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