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폐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지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2. 간선버스
3. 지선버스
3.1. 211번
3.2. 220~222번
3.3. 261번
3.4. 271번
3.5. 301번
3.6. 410번
3.7. 441번
3.8. 530번
3.9. 540번
3.10. 570번
3.11. 740번
3.12. 860번
3.13. 꼬꼬 1, 꼬꼬2번
4. 시영버스
5. 마을버스



1.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 폐선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이 문서에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진행된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폐선된 노선들은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2018년 개편 전 문서를 참조할 것.



2. 간선버스[편집]


  • 770: 2013년 4월 BRT 정식 개통으로 폐선되었다.
  • 602: 2018년 12월 1일 세종시내버스 대개편으로 폐선되었다.
  • 620, 621: 620번은 2016년 1월 폐선되었다. 문서 참조.



3. 지선버스[편집]


  • 651, 657: 2013년 6월 BRT 개통 후 중복노선 정리를 위해 폐선되었다.


3.1. 211번[편집]


세종 버스 211 문서 참조.



3.2. 220~222번[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2018년 개편 전 문서 6.8번 문단 참조.


3.3. 261번[편집]


세종 버스 16 문서 참조


3.4. 271번[편집]


세종 버스 17 문서 참조.


3.5. 301번[편집]




3.6. 410번[편집]




3.7. 441번[편집]


세종 버스 441 문서 참조.


3.8. 530번[편집]


세종 버스 530 문서 참조.


3.9. 540번[편집]


장군면사무소 - 하봉리마을회관
1일 8회 운행.
마을 택시로 전환되며 폐지.

3.10. 570번[편집]


세종 버스 570 문서 참조.


3.11. 740번[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지선버스 740번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조치원역)종점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봉암2리마을회관)
종점행첫차09:20기점행첫차09:35
막차19:27막차19:45
배차간격1일 5회
노선조치원역 - 조치원전통시장 - 죽림리 - 번암삼거리 - 월하리 - 봉암리 - 봉암2리마을회관

2018년 4월 27일에 270번과 통합되면서 17번이 되었다.

세종 버스 740번 운행시각표
2017년 3월 23일 기준 / 출처
횟수조치원봉암2리
109:2009:35
210:5011:10
313:2513:45
415:2015:40
519:2719:45


3.12. 860번[편집]


세종 버스 860 문서 참조.


3.13. 꼬꼬 1, 꼬꼬2번[편집]


세종 버스 꼬꼬1, 세종 버스 꼬꼬2 문서 참조.


4. 시영버스[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시영버스 무번호(시영)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아름동복합커뮤니티센터)종점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가락마을6단지)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
막차16:00막차
배차간격1일 6회
운수사명세종특별자치시청인가대수?대
노선아름동복합커뮤니티센터 - 두루중.고교 - 가락마을 - 가재마을 - 정부세종청사스포츠센터 - 도램마을1단지 - 가락마을6단지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시영버스 무번호(시영-1)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가재마을5단지)종점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한국개발연구원)
종점행첫차07:45기점행첫차-
막차08:05막차-
배차간격1일 2회
운수사명세종특별자치시청인가대수2대
노선가재마을5단지 → 범지기마을 → 아름초교 → 도램마을 → 정부세종청사 → 문화체육관광부 → 겅정거래위원회 → 세종호수공원 → 세종국책연구단지 → 한국개발연구원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직접 운영하는 노선이었다. 2015년 5월 6일부터 시범운행에 들어갔고 2015년 7월에 폐지. 관련 기사

위 노선 외에도 정부청사 순환 시영버스 등 다양한 노선이 운영되었다.

시영-1 노선은 215번의 출근시간대 배차 간격을 10분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하루 2회 편도로만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이는 이 노선이 폐지된 이후 215번에 집중배차가 시행되면서 이어졌다.

이 노선을 운행하던 관용 차량에 혈세를 낭비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


5. 마을버스[편집]



34조치원터미널부강버스정류소송용리 · 내판역 · 명학산단 · 황룡사 · 부강역12회
51장군면사무소김종서장군묘장군면복지회관 · 대교1구밤실입구 · 대교1리경로당5회
52(1기)용암2리마을회관평기리 → 송학리 → 용암리 → 송문리 → 평기리7회
54장군면사무소→하봉저수지→송정리→하봉저수지→장군면사무소→장군면복지회관→대교리(정계)→장군면복지회관2~3회[B]

51, 54번은 두루타버스에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52번(1기)는 75번에 흡수통합되었고, 34번은 운행여건 개선을 위해 감차되면서 32번에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5:15:31에 나무위키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B] 장군면사무소~송정리 구간은 2회, 장군면사무소~대교리 구간은 3회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