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남 버스 602

덤프버전 :

||


파일:DSC02237.png
파일:성남 602번 현대차량.webp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 마을버스 60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602 지도 노선도.svg
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분당동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사송동공영차고지)
종점행첫차06:08기점행첫차06:00(평), 06:02(휴)
막차23:12(평), 23:08(휴)막차23:06(평), 23:02(휴)
평일배차8~13분휴일배차10~15분
운수사명성남교통인가대수8대[1]
노선분당동행정복지센터 - 현대시범아파트 - 서현역 - 이매촌한신 - 백현마을2단지 - 판교역동편 - 봇들마을9단지 - 삼평고교 - 사송동.종점[2]


2. 개요[편집]


분당동주민센터에서 서현역, 백현마을, 판교역, 봇들마을을 거쳐 사송동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2010년 이전까지는 서현역-샛별마을을 운행하는 서현교통 소속의 운행댓수 3대의 평범한 마을버스였다. 차량도 행선판을 덕지덕지 붙인 녹색 카운티가 다녔다.

하지만 서현교통이 성남여객과 계열관계가 되면서 이 노선은 폭풍성장을 이루었다.

갑자기 서현역-백현마을-봇들마을로 노선이 연장되더니 로얄미디 가스, 그린시티 가스 등의 중형차들이 들어왔다. 과거에는 회사에 새차가 들어오는 족족 이 노선에 들어왔으나 602-1, 2등이 신설되면서 밀려나고 있는 상황.

이후 사송동으로 노선이 또 연장되었다.


4. 특징[편집]


  • 서현역.AK플라자(2번출구앞) 정류소에서 방향이 중복되기 때문에 반드시 행선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샛별마을 방향은 이매촌한신에서 바로 서현역.AK플라자(2번출구앞) 정류소를 지나 샛별마을로 향하지만 반대 방향인 사송동 방향은 샛별마을에서 우선 새마을금고앞 서현역.AK플라자 정류소를 거친 다음 유턴해서 다시 2번출구앞 정류소를 경유한다. 이후에 황새울로에 있는 서현역.AK플라자 정류소를 거치고 나서야 이매촌한신을 지나게 된다.

  • 배차간격은 10분 내외로 짧은 편은 아니지만 나름 괜찮은 편이다. 하지만 식사시간에는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으로 늘어나니 주의.

  • 판교에서 샛별마을로 가는 경우 서현역에서 바로 출발하지 않고 5분 정도 대기를 한다. 이 대기시간도 그나마 판교역 개통 이전의 노선에 비해 많이 줄어든 것이다.

  • 실질적인 기점은 분당동주민센터지만, 실제로 차량 대기는 사송동에서 한다. 다만 사송동공영차고지는 평시에는 들어가지 않고 가스충전과 식사, 차량 정비시에만 들어간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20년2,765
2021년3,523△ 758
※ 하차 인원 미포함

주말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20년1,360
2021년2,320△ 96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9:24:30에 나무위키 성남 버스 60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말 4~5대 운행.[2] 가스충전 외에는 차고지로 들어가지 않고 차고지 바로 앞에서 유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