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큰

덤프버전 : (♥ 0)

1. 사전적 의미
2. 건축 용어
3.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건물
4. 대한민국의 야구인 김성근의 별명
5. 이 단어가 포함된 표제어


1. 사전적 의미[편집]


Sunken. 움푹한, 가라앉은, 물밑의 등을 뜻하는 영어. 후술할 건축법에서는 '선큰'이라고 표기하며 국립국어원은 '성큰'이라는 표기를 제시하고 있다.
발음 기호는 미국 영어, 영국 영어 모두 [ ˈsʌŋkən ] 으로 발음나는 대로 적는 국립국어원 표기가 원어에 더 가깝다.


2. 건축 용어[편집]


파일:magokplaza.jpg파일:munjeongplaza.jpg
마곡광장문정컬쳐밸리 광장

지하에 빛을 유도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기준 지평면보다 낮은 광장 등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초고층재난관리법 시행령에 따르면, 지표 아래에 있고 외기(外氣)에 개방된 공간으로서 건축물 사용자 등의 보행ㆍ휴식 및 피난 등에 제공되는 공간이다.

성큰의 등장은 대도시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상이 건물들로 가득 차고 땅값이 상승하자 땅을 파 지하 공간을 활용하는 일이 늘어났다. 하지만 지하층은 머무는 사람에게 심리적으로 압박을 주는 공간이며 재난에 취약하기 때문에, 기존의 활용에서 벗어난 시도가 이어졌다. 성큰은 이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이었다. 지상과 지하를 연결해 둘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며, 경직된 곳에 상대적으로 편안하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재난 시 채광과 통풍이 이루어지는 대피 공간도 될 수 있다. 법령에는 초고층 건축물[1] 등의 지하층에 문화, 상업, 숙박시설 등이 있는 경우 피난안전구역이나 성큰을 설치할 것이 규정되어 있다.

보통은 진입 부분에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하철역, 지하도 등과 연결하기도 하며 동선을 보행자에게 맞춰 재편할 수 있는 수단이다. 공원을 지어 휴식공간으로도 쓰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용도를 막론하고 성큰을 도입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ECC가 대표적이며 이를 설계했었던 도미니크 페로(Dominique Perrault)는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설계 공모에 뽑혔는데, 여기도 대형 성큰이 포함되었다.


3.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건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지하 군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스타크래프트유즈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성큰 디펜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스타크래프트의 전략전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성큰 러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대한민국의 야구인 김성근의 별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성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이 단어가 포함된 표제어[편집]



5.1. EZ2AC의 수록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Sunken Island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해저도시(매직 더 개더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3. Sixtar Gate: STARTRAIL의 수록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Sunken Memory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4. 액션 게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Sunkenland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5. 워크래프트 3 맵 타일셋[편집]


워크래프트 3 확장팩 맵 타일셋 중 하나로 가라앉은 유적(sunken ruin)이 있다. 부서진 섬 인근 해저에 위치한 나이트엘프 유적을 묘사하기 위한 타일셋이다. 베이지색 깨진 대리석 느낌의 인공 구조물에 해초류가 뒤덮혀 있다. 주로 나가의 지역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30:17에 나무위키 성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층수 50층 이상이거나 높이 200미터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