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009

덤프버전 : (♥ 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공항광역간선지선순환심야마을
60026003[b]60096100
6101610563006705
공항리무진
6000[a]600160026003
600460056008[b]6010
6011601260136014[b]
6015601660176018
60196021[a]6030
한국도심공항
61006101[a]6101-1[a]6102
61036105[a]
K-리무진
6701670267036705
6707A[b]
서울공항리무진
6006600960206020-1
620063006600
[a] 김포공항이 기점인 노선 / [b] 김포공항 경유 노선



파일:A6009_1941.png

1. 노선 정보
1.1. 폐지된 노선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60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공항버스6009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가락1동주민센터)종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종점행첫차03:55기점행첫차05:20
막차20:10막차22:50
배차간격13~45분
운수사명서울공항리무진인가대수21대[1]
노선가락1동주민센터(헬리오시티) - 삼성서울병원 - 푸른마을아파트 - 연금매장 - 학여울역(은마아파트) - 타워팰리스 - 양재역 - 강남역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J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하차: 3층/승차: 1층 4A) - 인천공항T2(하차: 3층/승차: 지하1층 15번홈)

중간 출발 정류장
인천공항T2 방향타워팰리스3:55
가락동 방향없음

1.1. 폐지된 노선[편집]


공항버스 6009-1번
기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푸른마을아파트)종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종점행첫차04:26기점행첫차07:06
막차19:35막차22:51
평일배차65~75분주말배차65~75분
운수사명서울공항리무진인가대수-
노선푸른마을아파트 - (← 삼성서울병원 ←) - 연금매장 - 학여울역(은마아파트) - 타워팰리스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J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2. 개요[편집]


서울공항리무진에서 운행하는 공항리무진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1년 5월 10일에 6009번이 신설되었다. 당시 번호는 609번이었으며, 당시에는 대치동이 기점이었다.

  • 2001년 9월에 '대치동 - 가락시장'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06년 4~5월에 609-1번이 분리신설되었다. 기점은 교육문화회관(현 더케이서울호텔)이었다.

  • 2008년 7월 1일에 공항버스도 BIS에 포함되면서 609번, 609-1번이 번호만 6009번, 6010번으로 변경되었다.

  • 6010번이 폐선되었다. (시기 미상)

  • 2009년 8월 1일에 우등버스 노선으로 전환되었고, '논현사거리 - 반포역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역 - 올림픽대로' 구간이 '논현사거리 - 신사역 - 올림픽대로'로 변경되었다.

  • 2011년 5월 11일에 '일원역 - 가락시장'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5년 4월에 6010번이 6500번으로 부활함과 동시에 AT센터, 하이브랜드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 2018년 1월 15일에 6009번, 6500번이 인천공항 제2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그리고 기존 노선대로 인천공항 1터미널까지만 운행하는 6009-1번이 신설되었으며, 6500번은 2터미널 연장으로 인해 운행시간이 늘어나면서 이유로 1일 4회(더케이호텔 기준 07:00, 11:00, 15:00, 19:00)에서 1일 3회로 감회되었다.


  • 2019년 5월 31일부터 도곡역에 정차한다.

  • 2020년 3월 1일에 푸른마을아파트에서 가락1동주민센터(헬리오시티)까지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일원동 회차 구간이 사라지면서 서울 방향만 경유하던 삼성서울병원을 양 방향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4월 25일부로, 코로나19로 인해 1일 2회로 감회 운행에 들어가게 되었다. 관련 안내문 현재는 딱 영종도 출퇴근 수요만 맡고 있는 상황이다.

  • 2022년 4월 1일부로 해외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마친 해외입국자도 탑승이 가능해졌다.


  • 2022년 6월 21일부로 1일 9회로 증편됐다.



  • 2022년 10월 18일부로 1일 27회로 증편됐다. #

4. 특징[편집]


  • 서울공항리무진 소속 공항버스 중 가장 운행횟수가 많은 노선으로[2], 노선 정류장 인근의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 푸른마을 사람들은 근처에 이 노선이 있는데 더 빠르게 갈려고 수서역으로 가서 6300번을 타는 사람들이 있다.

  • 강남대로 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정류장에 멈춰서 기사가 짐을 싣거나 빼는 사이에 뒤의 버스들이 전부 밀리는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 강남대로 버스전용차로 정체의 원인 중 하나이다. 이 문제를 해결할려면 공항버스 전용 가로변 정류장을 따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정류소를 가로변으로 빼면 공항 도착시간에 맞출수가 없어서 정체로 인한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4.1. 시간표[편집]


시간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천공항로고투명.png 인천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공항
광역
좌석
간선
공영
직행좌석
직행좌석 3개 노선 모두 별도 요금 징수
인천 · 김포 · 김해 · 제주 · 대구 · 청주 · 무안 · 울산 · 여수 · 포항 · 군산 · 원주 · 광주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0 23:27:35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00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19대 운행[2] 이에 비견되는 노선은 공항버스 6003, 공항버스 6103 정도인데, 6103의 경우 도심공항터미널과 인천국제공항 간의 연락 노선이므로 예외로 하고, 6003은 김포공항 수요가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본 노선이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