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2015)

덤프버전 : r20170327 (♥ 0)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도덕·역사과 고등학교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진로 선택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 펼치기 · 접기 ]




과목사회·문화
교과군사회(일반사회)
개설시기제 3차 교육과정
분류일반사회
목표요약예정
비고제 4차 교육과정 시기에 정치·경제와 통합되어 사회Ⅰ, 사회Ⅱ가 되었다가 제 5차 교육과정 시기에 분리
1. 개요
2. 내용
2.1. Ⅰ. 사회ㆍ문화 현상의 탐구
2.2. Ⅱ. 개인과 사회 구조
2.3. Ⅲ. 문화와 일상생활
2.4. Ⅳ. 사회 계층과 불평등
2.5. Ⅴ. 현대의 사회변동
3. 여담


1. 개요[편집]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문화 교과 내용이다. 이 교육과정 이전의 내용은 이전 교육과정 문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2. 내용[편집]


총 5단원으로 구성되었다. 기존 교육과정에서 5단원에 있었던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단원은 생활과 윤리쪽으로 넘긴것으로 보인다.

2.1. Ⅰ. 사회ㆍ문화 현상의 탐구[편집]


  • 학습 내용 : 사회ㆍ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자료 수집 방법, 사회ㆍ문화 현상의 연구 태도와 윤리 및 탐구 절차
사회ㆍ문화의 5할인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이 등장한다. 다만, 교환이론은 여전히 교육과정 밖이다.

2.2. Ⅱ. 개인과 사회 구조[편집]


  • 학습 내용 : 개인과 사회의 관계, 사회화, 지위와 역할, 사회 집단과 사회 조직, 일탈 이론

2.3. Ⅲ. 문화와 일상생활[편집]


  • 학습 내용 : 문화,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해 태도, 하위문화, 대중문화, 문화 변동
기존 5단원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대중매체가 여기로 이사를 왔다.

2.4. Ⅳ. 사회 계층과 불평등[편집]


  • 학습 내용 : 사회 불평등을 보는 관점, 사회 불평등 양상, 사회 이동, 사회 계층 구조, 복지 제도

2.5. Ⅴ. 현대의 사회변동[편집]


  • 학습 내용 : 사회 변동, 사회 변동 이론, 사회 변동 양상, 세계 시민, 지속가능한 사회
근대화를 설명하는 이론에 대한 지시사항이 사라졌다.

3. 여담[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