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asakure.UK

덤프버전 :

파일:sasakure.UK.jpg

프로필
파일:sasakure.UK 프로필.jpg
이름sasakure.UK
성별남성
출생2월 11일
출신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후쿠시마현
직업작곡가
레이블sasakuration[1]
채널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이전 채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현재 채널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활동 내역
3. 곡 일람
3.1.1. 달성 기록
3.2. VOCALOID 리믹스 곡
3.4. 오리지널 곡
4. 디스코그래피
4.1. 메이저 데뷔 이전
4.2. 메이저 데뷔 이후
4.2.1. ボーカロイドは終末鳥の夢を見るか? (보컬로이드는 종말새의 꿈을 꾸는가?)[2]
4.2.2. プロトタイプ ナナクジャク(프로토타입 나나쿠쟈쿠)[3]
4.2.3. 幻実アイソーポス(환실 아이소포스)
4.2.4. MetroJackz
4.2.5. 雪色フレーバーピース(눈색 Flavor Piece)[4]
4.2.6. トンデモ未来空奏図 (환상의 미래공주도)
4.2.7. i:d
4.2.8. 摩訶摩謌モノモノシー (마카마카 모노모노시)
4.2.9. ロストピリカ (로스트피리카)
4.2.10. 不謌思戯モノユカシー (불가사희 모노유카시)
4.2.11. ゼツメツコモンセンス (절멸 COMMONSENSE)
4.2.12. CLOCK WORK ALPHA
4.2.13. 寓夢 (우몽)
4.2.14. UNIQTRAP
4.2.15. エルゴスム (에르고 숨)
4.2.16. Qili[5]
5. 유형 램페이지
5.1. 투고 곡
5.1.1. 오리지널 곡
5.1.2. 커버곡
5.2. 앨범
5.2.1. 有形世界リコンストラクション (유형세계 Reconstruction)
5.2.2. 有ル形
5.2.3. ODYSSEY
6. 상용 리듬게임
7. 의혹
8. 여담


1. 개요[편집]


일본의 뮤지션. 구 BMS 제작자이자 현 VOCALOID 프로듀서.

참고로 본명의 중 UK는 유카리[6]라고 읽는다. 여담으로 sasakure라고 지은 이유는 손거스러미(ささくれ)가 자주 일어서라고 하며 UK는 본명에서 따왔다고 한다.[7]

전체적인 악곡 분위기는 chocolate max명의 곡에서 잘 드러나는 귀여운 이미지의 이지리스닝/라운지 계통과 오케스트라 음원을 풍부하게 사용한 쪽으로 양분되는 편. 프로그레시브적인 성격의 다소 실험적인 곡들도 내기도 했다. AVALON, Jack the Ripper◆가 후자에 잘 부합하는 예로 들수 있다. 그 밖에 홀수박을 사용한 변박의 이용이 잦다.

작사 등으로부터 미야자와 겐지의 영향이 크게 드러나며 데즈카 오사무나 SF 소설가 호시 신이치에게서도 영향을 받았다. SF적이면서 동화적인 가사를 많이 쓰는 편..

니코니코 생방송에 한번 출연했는데, 상당히 정신 사나운(…) 움직임을 보이며 잠시라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꽤 활발한 성격으로 보인다. 생방송 중 직접 곡에 비트음을 입히는 작업을 뚝딱하는가 하면, 방송 내내 가만히 있질 못하는 것이 긴장한 탓인지 성격 탓인지 확실치 않지만 본인 왈 원래 그렇다고(…).

beatmania IIDX 개전 플레이어다. 싱글 더블 모두 개전.


2. 활동 내역[편집]


2002년 E reviver를 통해 데뷔, 얼마 지나지 않아 무명전 1회에서 BURNING EMOTION -dreamin' dreamin'-을 투고, 준우승을 하는데 이어 Be Happy!에서 ★SweeT DiscoverY★로 우승을 차지하면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게 된다.

이후 LiZ vs OMT, BMS OF FIGHTERS 등의 BMS 이벤트에 참가하며 X, Pangaea 등 명곡을 배출했으며 그 결과 적은 수의 작품에도 불구하고 당대 최대의 인기를 끄는 BMS 제작자로 자리매김한다.

그러던 중 2007년경 VOCALOID가 인기를 끌자 VOCALOID 오리지널 곡 작곡에 손을 대게 된다. 보컬로이드쪽 프로듀서 명은 ささくれP(사사쿠레P). 캄파넬라나 공허한 불사조 등으로 조금씩 명성을 쌓던 도중 2009년 라라라 종말론.이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최대의 전성기를 맞게 되고, 마이너한 BMS계에서만 유명하던 사사쿠레의 명성은 엄청나게 커지게 되었다. 이에 힘입어 2010년 3월에는 마침내 음반 레이블과 정식 계약을 맺고 발매한 앨범 '보컬로이드는 종말새의 꿈을 꾸는가(ボーカロイドは終末鳥の夢を見るか?)'를 통해 메이저로 데뷔하게 된다.

이후 2010년 3월 27일 사이트 이전과 함께 BMS 리스트를 공개 종료하였다. 메이저 데뷔와 함께 홈페이지 내용이 전면적으로 교체 되었고 현재는 개인 블로그와 같은 느낌의 포스팅과 곡 정보 안내 글이 주로 올라오는 중. 그래도 한동안 예전 홈페이지 자체는 그대로 남아있었으며 BMS 페이지에 접근 및 다운로드가 가능했으나, 어느 순간 모두 사라져버렸다. BMS 활동은 사실상 중단했으며, 이에 대한 의혹도 하단에 존재한다. 이 이후에는 보컬로이드나 오리지널 앨범 위주로 작업을 하고 있다.

유명 작곡가답게 상업 리듬게임에 투고된 작품이 여럿 있다. 첫 상업 리듬게임 데뷔는 가명인 TJ.hangneil[8]EZ2DJ 7th TRAX CLASS R ~CODENAME:VIOLET~에 투고한 神威.[9] 그 이후 Sabin Sound Star에도 TJ.hangneil 명의로 카드 사용 해금곡인 MxMxM Star라는 곡을 제공했다. 분위기는 BOF2008 참가곡 Radio Organico와 비슷한 느낌의 라이트한 팝. 2012년에는 사운드 볼텍스 부스jet coaster☆girl tRickStAr Remix로 참여함으로써 비마니 시리즈에 처음 참여했으며, 비트매니아 IIDX 21 SPADA에서 Atröpøs라는 곡을 제공하면서 DJ TECHNORCH, onoken에 이은 BMS작곡가 출신으로 IIDX에 곡을 제공한 작곡가가 되었다. 후발주자인 maimai 시리즈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CHUNITHM에도 여러 곡이 수록되었으며, 특히 츄니즘에는 보컬로이드 신곡이나 앨범의 게스트 참가곡을 수록하는 등 가장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6년 9월 8일에는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THE@TER ACTIVITIES 02의 수록곡인 俠気乱舞에 편곡으로 참여했다. 작곡은 본인이 아닌 fhána의 와가 유우키.

2017년 초에는 1분기를 강타한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에 관한 짤막한 음악+PV를 트위터에 종종 올리고 있다. 그중 거의 정상적으로 들리게 변한 따오기의 노래와 스-고이!만 반복하는 서벌이 압권. 모음집2

2018년에는 유튜브에 ささくれUK ANOTHER라는 부채널을 개설하고 보컬로이드 외의 다른 음성을 조교해서 만든 곡들을 업로드하고 있다. 2018년 7월 기준으로 버츄얼 유튜버키즈나 아이노쟈로리 아저씨, Siri, 케모노 프렌즈의 따오기(트위터에 올라왔던 노래의 풀버전)를 소재로 사용하였다. 다만 어느 순간부터 이 계정이 본계로 쓰이며 모든 개인작이 이 채널을 통해 업로드되기 시작하였다. 채널의 명의 또한 "sasakure.UK"가 되었다.

아이돌 육성 게임 앙상블 스타즈!의 등장인물 하루카와 소라솔로곡을 맡기도 하였다. 사사쿠레 본인 왈 게임을 좋아하는 캐릭터 특성에 맞게 작곡하였다고.

페르소나 3 댄싱 문 나이트에서 Light the Fire Up in the Night을 어레인지하였다.

자급자족이 필수이던 초창기 BMS 제작자 특성상 BGA까지 같이 제작하던 것이 이후에도 이어져 자신의 곡에 자작 PV도 여럿 만들고 있다. BMS BGA에선 추상적 오브제를 애용하는 일반적 추세와 달리 자연 이미지를 상당히 애용하는 것, 그 배경 위에 여러가지 글귀가 상당히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그래서인지 사사쿠레의 BGA는 대체로 호평이 많았으며, AVALON의 BGA[10]에서 보이듯 퀄리티는 아마추어답게 조금 부족할지라도 PV의 전달력이나 임팩트 자체는 이 시절에 완성되어 있었다. 초창기 BMS 제작자~보컬로이드계에서 무명이던 시절엔 자작 PV를 쓰다가, 라라라 종말론.로 인기를 얻은 이후부터는 일러스트를 다른 사람(チャコロ 등)에게 맡기거나 PV 자체를 다른 사람(Sta 등)이 만드는 등 손을 떼었다가 2015년 즈음부터 다시 자작 PV의 빈도가 조금 늘었다. 무지개빛 어드벤처, 헬로우 플래닛과 같은 도트 그림 이미 Radio Organico에서 증명된 고퀄리티를 보여주며, 우리들의 16bit 전쟁과 같은 프로그레시브한 곡들은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어를 씌운듯한 BMS BGA 스타일의 PV를 자주 붙인다. BMS나 보컬로이드 초창기의 자작 그림들은 곡에 잘 맞고 귀엽긴 해도 퀄리티 자체는 아마추어 수준에서도 좋진 않았지만, 2015년 즈음부터 보이는 PV의 자작 그림들은 그새 내공이 쌓여서인지 그림체 자체는 비슷하면서도 퀄리티는 상당히 안정된 좋은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BMS 제작자로 커리어를 시작한 sasakure.UK는 2020년대에도 리듬 게임과 많은 연관을 유지하며 활발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11]. 특히 프로젝트 세카이의 수록곡으로 처음 소개된 톤데모 원더즈가 유튜브에서 1000만 회, 니코동에서 2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크게 흥행하는 동시에 기존 팬덤보다 낮은 연령층의 유저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작곡가인 sasakure.UK 본인 역시 트위터나 유튜브 등에서 츄니즘, 프세카 등을 하는 영상을 올리거나 프세카 프로필을 꾸며 올리는 등 리듬 게임에 대한 사랑(?)을 계속해 보여주고 있다.

2023년 3월 9일 U/M/A/A Inc.와의 계약을 종료했다.

3. 곡 일람[편집]



3.1. VOCALOID 오리지널 곡[편집]


투고 순. 전설입성곡볼드체 처리.
MV가 나중에 공개된 경우 투고일에 각주로 표시.

원제번역명가수투고일URL비고
PICO@LUV (☆彡とvとAIのウタ。)(PICO@LUV(☆彡vAI의 노래)하츠네 미쿠2007-12-2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첫 투고곡
モバイリ:センセーション(Mobi Re: Sens@tioN)모바이 리: 센세이션카가미네 린2008-02-0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はるのはるか봄의 아득함하츠네 미쿠2008-04-0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ニジイロ*アドベンチュア무지개빛*어드벤처하츠네 미쿠2008-05-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2]
アドレッセンチメートルAdolecentimeter하츠네 미쿠2008-08-0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ワンダーラスト원더라스트메구리네 루카2009-02-0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3] 라라라 종말론. 시리즈
*ハロー、プラネット。*헬로, 플래닛.하츠네 미쿠2009-05-2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4]라라라 종말론. 시리즈
ぼくらの16bit戦争우리들의 16bit 전쟁GUMI2009-07-1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5]라라라 종말론. 시리즈
カムパネルラ캄파넬라GUMI2009-10-2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ウタカタ永焔鳥공허한 불사조하츠네 미쿠,
메구리네 루카
2010-03-0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しゅうまつがやってくる!종말/주말이 다가온다![16]카가미네 린2010-06-0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라라라 종말론. 시리즈
ロストエンファウンド로스트 앤 파운드하츠네 미쿠2010-07-0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7]
タイガーランペイジ타이거 램페이지카가미네 린2010-08-0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ナキムシピッポ울보 삡뽀하츠네 미쿠2010-08-1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ガラクタ姫とアポストロフ잡동사니 공주와 아포스트로프하츠네 미쿠2011-05-1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8] ヒトとキジン(인간과 키진[19] 시리즈)[20]
「SeventH-HeaveN」하츠네 미쿠2011-07-2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1][22]
否世界ハーモナイゼ부정세계 하모나이제카가미네 린2012-04-1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ヒトとキジン(인간과 키진 시리즈)
39하츠네 미쿠2012-07-2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3]
Snow Song Show하츠네 미쿠2012-12-1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4]
HeavenZ-ArmZ하츠네 미쿠2013-01-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
ネガポジ*コンティニューズ네거포지*컨티뉴즈하츠네 미쿠2013-03-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6][27]
アオゾラハルサイトAozoraharusite하츠네 미쿠2013-03-1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8]
蜘蛛糸モノポリー거미줄 모노폴리하츠네 미쿠2013-04-1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トゥイー・ボックスの人形劇場Twee Box의 인형극장하츠네 미쿠2013-05-01[2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0]
ツギハギエデン누더기 에덴GUMI2013-06-0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アンチグラビティーズ안티 그래비티즈GUMI2014-07-29[3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ig-hugGUMI2014-10-1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ポンコツディストーカー폐품 디스토커IA2015-12-0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igure.하츠네 미쿠2016-08-2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32]
ぼくらの16bitエンズ・トリガー우리들의 16bit endZ triggerGUMI2016-11-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3] 라라라 종말론. 시리즈
スマートを模索する스마트를 모색하다하츠네 미쿠2016-12-2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Quiz하츠네 미쿠2017-03-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34]
或る街のギギ어느 마을의 기기하츠네 미쿠2017-08-1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MPLING MΘNSTER하츠네 미쿠2017-08-2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5]
阿呆なるものは바보라는 것은하츠네 미쿠2018-02-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詠と英知(A to H)영과 예지(A to H)GUMI2019-06-20[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レプリカ레플리카하츠네 미쿠2019-09-1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エゴ에고하츠네 미쿠2019-12-2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QUI하츠네 미쿠2020-01-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キマイラ키마이라하츠네 미쿠2020-06-02[3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トーチカ토치카하츠네 미쿠2020-09-1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トンデモワンダーズ톤데모 원더즈하츠네 미쿠2021-06-1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ディカダンス데카당스하츠네 미쿠2021-12-3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フューチャー・イヴ퓨처 이브하츠네 미쿠2022-6-1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8]
ÅMARA(大未来電脳)ÅMARA(대미래전뇌)하츠네 미쿠,
KAITO
2022-10-1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ポジネガ*ミステイカーズ포지네거*미스테이커스하츠네 미쿠2023-05-30파일:유튜브 아이콘.svg[39]
X.E.N.O하츠네 미쿠,
KAITO
2023-10-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40]

3.1.1. 달성 기록[편집]


* 2010년 4월 9일, *헬로, 플래닛.VOCALOID 전설입성.
* 2010년 11월 28일, 우리들의 16bit 전쟁VOCALOID 전설입성.
* 2010년 12월 9일, 원더라스트VOCALOID 전설입성.
* 2014년 10월 7일, 39VOCALOID 전설입성.
* 2015년 9월 7일, 캄파넬라VOCALOID 전설입성.
* 2016년 4월 1일, 종말이 다가온다!VOCALOID 전설입성.
* 2016년 5월 31일, 타이거 램페이지VOCALOID 전설입성.
* 2017년 12월 10일, 로스트 앤 파운드VOCALOID 전설입성.
* 2021년 11월 22일, 톤데모 원더즈VOCALOID 전설입성.
* 2023년 8월 24일, 퓨처 이브VOCALOID 전설입성.
* 2023년 10월 5일, Twee Box의 인형극장VOCALOID 전설입성.


3.2. VOCALOID 리믹스 곡[편집]


  • I'm ALIVE! -PaniX BoX RemiX-[41] - 하츠네 미쿠 (2009.5.24)
  • Shibuya -NEO ShibuyaK RemiX-[42] - 하츠네 미쿠 (2009.6.17)
  • GummyBearSong-ムビギュビジャミスィギRMX- - Megpoid[43] (2009.7.12)
  • 椿姫 (sasakure.UK Falling Remix)[44] - 하츠네 미쿠 (2011.10.13)


3.3. CeVIO 오리지널 곡[편집]


원제번역명가수투고일URL비고
化孵化화부화카후2021-05-2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 오리지널 곡[편집]


투고 순. MV가 나중에 공개된 경우 투고일에 각주로 표시.

원제번역명가수투고일URL비고
Jack-the-Ripper◆2009-09-26[4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46]
ユメノアト꿈의 흔적우사2009-10-0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bAd Companyz2010-06-0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時計と魔法のビスケット시계와 마법의 비스킷시미즈 아이2010-07-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バタフライ・エフェクト버터플라이・이펙트ChouCho2011-08-2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コイサイテハナ*사랑이 피어나는 꽃*mirto2012-03-1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深海のリトルクライ심해의 리틀 크라이토키 아사코2012-03-2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o Asteroid B-612lasah2012-08-0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オオカミ少年独白늑대소년 독백Cana(Sotte Bosse)2012-11-0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万有ヱレキテル만유 일렉텔2012-11-2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47]
エフューシヴEffusiveef2013-01-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48]
2 HAL 9000lasah2013-03-2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Utopia of Oz2013-04-2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49]
Mr. Wonderland피리오2013-05-2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蜃気楼エディアカラ신기루 에디아카라2013-08-1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idと人類模型이드와 인종모형lasah2014-02-1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エソラコト상상화소라코2015-06-14[5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閃鋼のブリューナク섬강의 브류나크피리오2015-07-1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51][52]
麒麟기린2015-08-0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ネコソギマターバップ네코소기 매터 밥카사네 테토2015-10-23[5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ア(マ)ヤカシ達のマカフカシギ (아(마)야카시들의 마카후카시기)[a]
百鬼夜行(MillionGhostWander)백귀야행2015-11-0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ア(マ)ヤカシ達のマカフカシギ (아(마)야카시들의 마카후카시기)[a]
クレイマーズ↑ハイ클레이머즈↑하이아야폰즈*2016-02-2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ア(マ)ヤカシ達のマカフカシギ (아(마)야카시들의 마카후카시기)[a]
マザー・グース・ラボラトリ마더구스 연구소2016-05-23파일:유튜브 아이콘.svg[54]
Good bye, Mr.Jack2016-05-31[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一番街コスモナウト1번가 코스모나우트소라코2016-08-0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怪物は君が食べたくてしょうがない괴물은 너를 먹고 싶어서 어쩔 줄 몰라피리오+2017-01-28[5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ネジ巻き師と太虚鳥태엽 감는 사람과 태허새lasah2017-02-17[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LONE to ALONElasah2017-04-21[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リフレイン・ウォーズ리프레인 워즈엔도 유리카2017-09-02파일:유튜브 아이콘.svg[59]
トロイメライと空白트로이메라이와 공백미카게 히소카파일:유튜브 아이콘.svg[60]
GÜRIGÜRICana(Sotte Bosse)2017-12-2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マグ・メル마그 멜2019-01-16[6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メイデー、メイビーネイビー메이데이, 메이비 네이비소라코2019-02-1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62]
ムーア무어Q.i2019-08-1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63]
車輪とライカ차륜과 라이카소라코2019-08-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ituxiQ.i2019-10-2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64]
MOTHERlasah2019-12-10[6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モ°ルモ°ル모°루모°루2020-01-2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ガラテアの螺旋갈라테아의 나선2020-04-04[6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余計なうた괜한 노래sasakure.UK2020-04-1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EmpErroR2020-04-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풀버전]
アンリ アルタ앙리 얼터Q.i2020-05-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神威KAMUI2020-05-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TJ.hangneil]
ozma2020-08-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TJ.hangneil]
イロ:フレテ이로:프레테소라코2020-11-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あけまして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2021-01-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imme吟味virtuaる最高star!!!!Gimme음미 virtua얼 최고 star!!!!사쿠라 미코,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호쇼 마린2021-02-2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IN NE KRO NElasah2021-03-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INGI리그렛파일:유튜브 아이콘.svg[67]
Apollo2021-09-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TJ.hangneil]
ファミリーアクティベーション패밀리 액티베이션SSRファミリー파일:유튜브 아이콘.svg[68]
ナハトムジクと白月나흐트무지크와 하얀 달미카게 히소카파일:유튜브 아이콘.svg[69]
ネヴァモア네버모어lasah2021-12-2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70]
廃棄対象_アヲ・キナ폐기대상_아오・키나2022-02-2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TJ.hangneil][71]
"mimizuqu"다즈비2022-04-0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72]
モンダイナイトリッパー!나토리 사나2022-04-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月面基地』『월면기지』2022-05-21[7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lackFlagBreaker!!야시로 키즈쿠2022-06-0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INGWORLD시라카미 후부키2022-06-2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魔王World Ender2022-07-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TJ.hangneil][74]

3.5. BMS[편집]


8년간 전 17곡. 대표적인 BMS 작곡가 치곤 작품 수가 적은 편이지만 대부분 출품 당시 큰 파급력을 지녔고(대회에 출품된 곡은 전부 최상위권에 올랐다.) 지금까지도 발광 BMS 등을 통해 그런 작품이 많다. 그 후, 2020년에 WORLD WAR -BATTLE ROYALE IN ALL REGIONS-이라는 BMS 대회에 ozma라는 곡으로 11년만에 새 BMS를 제작하였다.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 AVALON: BOF2008 참가곡이자 준우승곡.
  • エピトゥリカの祀: BOF2008 참가곡. 판게아와 비슷한 민속음악풍의 곡이다.
  • Radio Organico: BOF2008 참가곡. 사사쿠레의 BMS 중 유일한 도트풍의 BGA이다. 때문에 시기상 비슷한 헬로우 플래닛의 PV와 상당히 흡사한 편.

2009
  • Jack-the-Ripper◆: BOF2009 참가곡이자 준우승곡. BMS 은퇴작이며 현재 유일하게 사사쿠레의 공개 마이리스트에 남아있는 BMS곡. 메이저 데뷔 이전과 이후의 경계에 있다 보면 된다.

2020
  • ozma: WW(World WAR)Battle 참가곡. TJ.hangneil vs Jackz 명의를 사용했다. 무려 11년만의 BMS 복귀작. 총점 중앙값 평점 전관왕을 달성하며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EZ2DJ시절 사용했던 명의를 쓰면서 神威에 사용된 샘플링을 많이 사용했다는게 특징.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메이저 데뷔 이전[편집]


  • Wandering Visitor
  • Kaleido*Mixtule
  • Mistletoe -Viscumalbum-
  • ラララ 終末論。(라라라 종말론.)


4.2. 메이저 데뷔 이후[편집]



4.2.1. ボーカロイドは終末鳥の夢を見るか? (보컬로이드는 종말새의 꿈을 꾸는가?)[75][편집]



4.2.2. プロトタイプ ナナクジャク(프로토타입 나나쿠쟈쿠)[76][편집]



4.2.3. 幻実アイソーポス(환실 아이소포스)[편집]


파일:幻実アイソーポス앨범.jpg

4.2.4. MetroJackz[편집]


파일:MetroJackz앨범.jpg

4.2.5. 雪色フレーバーピース(눈색 Flavor Piece)[77][편집]



4.2.6. トンデモ未来空奏図 (환상의 미래공주도)[편집]


파일:トンデモ未来空奏図앨범.jpg
이 앨범의 15번 트랙인 AtröpøsBEMANI 시리즈에 수록되었다.

4.2.7. i:d[편집]


파일:i:d앨범.jpg

4.2.8. 摩訶摩謌モノモノシー (마카마카 모노모노시)[편집]


마카마카 모노모노시
摩訶摩謌モノモノシー
파일:摩訶摩謌モノモノシー앨범.jpg
발매일 2014년 12월 17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ア(マ)ヤカシㅊダイアリィ feat. ピリオ아(마)야카시 다이어리 feat. 피리오
02君が居なくなった日네가 없어진 날
03トドノツマリ様 feat. lasah토도노츠마리 님 feat. lasah
04tig-hug feat. GUMI
05ネコソギマターバップ feat. 重音テト네코소기 매터 밥 feat. 카사네 테토
06回ル想ヒ도는 마음
07ポンコツザワールド feat. IA폰코츠 더 월드 feat. IA
08sorekara
앨범명에서 摩訶(마하)는 불가사의한 일 혹은 위대함이나 훌륭함을 뜻하는 불교용어이며, 그 뒤의 摩謌의 謌는 "노래 가" 자. 둘 다 일본어로 "마카"로 읽을 수 있다. 사사쿠레 특유의 언어유희인 셈. 모노모노시(장음 포함, 모노모노시이)는 위엄이 있다, 어마어마하다, 장엄하다 등을 뜻하는 物物しい(모노모노시이)로부터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4.2.9. ロストピリカ (로스트피리카)[편집]


로스트피리카
ロストピリカ
파일:ロストピリカ앨범.jpg
발매일 2015년 8월 16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Introduction-
02メイデー、メイビーネイビー feat. sorako메이데이, 메이비 네이비 feat. 소라코
(Mayday, Maybe Navy)
03オーロラを食べた子오로라를 먹은 아이
04orter:noom feat. lasah
05麒麟기린
06LostUtopiA feat. Perio
07サイコロジー사이콜러지 (psychology)
08Emily’s broken toy
09Good Bye, Mr. Jack


4.2.10. 不謌思戯モノユカシー (불가사희 모노유카시)[편집]


불가사희 모노유카시
不謌思戯モノユカシー
파일:不謌思戯モノユカシー앨범.jpg
발매일 2015년 12월 2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ようこそ、不謌思戯어서오세요, 불가사희
02ピンボケ世怪平和 feat. Annabel어설픈 세계평화 feat. Annabel
03ポンコツディストーカー feat. IA폐품 디스토커 feat. IA (Ponkotsu Distorker)
04クレイマーズ↑ハイ feat. あやぽんず*클레이머즈↑하이 feat. 아야폰즈*(Claimer’s High)
05n o u r
06ゴースト・ライト feat. 重音テト고스트・라이트 feat.카사네 테토 (Ghost Light)
07ヤチヨノ子守唄 feat. そらこ오랜 세월 자장가 feat. 소라코
08ウバワレタモノ feat. lasah우바와레타모노 feat. lasah
09阡年と螺旋、散るものを feat. すぃ천년과 나선, 지는 것을 feat. 스이
10百鬼夜行(MillionGhostWander)백귀야행
11ki ki kai kai feat. GUMI
12ア(マ)ヤカシ・モノガナシィ feat. ピリオ아(마)야카시 모노가나시 feat. 피리오
13…to mo da ti ?
14ガラテアの螺旋갈라테아의 나선
15閃鋼のブリューナク feat. ピリオ섬강의 브류나크 feat. 피리오


4.2.11. ゼツメツコモンセンス (절멸 COMMONSENSE)[편집]


절멸 COMMONSENSE
ゼツメツコモンセンス
파일:ゼツメツコモンセンス앨범.jpg
발매일 2016년 8월 14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introduction#2318
02一番街コスモナウト feat. そらこ1번가 코스모나우트 feat. 소라코
03怪物は君が食べたくてしょうがない feat. ピリオ+괴물은 너를 먹고 싶어서 어쩔 줄 몰라 feat. 피리오+
04マホガーアノボー feat. 田口囁一(感傷ベクトル)마호가 아노보 feat. 타구치 쇼이치(감상벡터)
05oshiete*commonsense
06ALONE to ALONE feat. lasah
07咎の王 feat. ピリオ죄의 왕 feat. 피리오
08extinction#2318
09なんでもないシンク feat. そらこ아무것도 아닌 싱크 feat. 소라코


4.2.12. CLOCK WORK ALPHA[편집]


CLOCK WORK ALPHA
CLOCK WORK ALPHA
파일:CLOCK WORK ALPHA앨범.jpg
발매일 2016년 8월 14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arkhē
02CLOCKWORK ALPHA
03γ線上神話論γ선상신화론
04ネジ巻き師と太虚鳥태엽 감는 사람과 태허새
05five seconds before sunrise
06MONSTER -heterogenea remix-
lasah와의 합작앨범.

4.2.13. 寓夢 (우몽)[편집]


우몽
寓夢
파일:寓夢앨범.jpg
발매일 2017년 12월 29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寓夢 (GÜM)우몽
02GÜRIGÜRI feat. Cana from Sotte Bosse
03僕はロールプレイング・ゲームを信じない나는 롤플레잉 게임을 믿지 않는다
04キマイラ feat. Annabel키마이라 feat. Annabel
05トーキョートット도쿄톳토
06パラボラアンブレラ파라볼라 엄브렐라
07TOXICPINK feat. Perio
08月面基地월면기지
09マグ・メル마그 멜 (magmell)
10something like chocolate


4.2.14. UNIQTRAP[편집]


UNIQTRAP
UNIQTRAP
파일:UNIQTRAP앨범.jpg
발매일 2017년 12월 29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UNIQTRAP
02Ruins (Neomorph remix)
03Ghost Fight (Dubbing remix)
04Spear of Justice (Echoes remix)
05Determination (Rewake remix)
06ASGORE (Tortile remix)
07Hopes and Dreams (Alterego remix)
08MEGALOVANIA (Lovevol remix)
09Undertale (Ender remix)
Undertale의 리믹스 앨범.
리믹스 앨범에서도 사사쿠레의 말장난이 두드러지는데, 1번 트랙의 첫 글자를 포함하여 각 트랙의 괄호에 적힌 리믹스 유형의 첫 글자를 따서 이으면 Undertale 이라는 글자가 완성된다.


4.2.15. エルゴスム (에르고 숨)[편집]


에르고 숨
エルゴスム
파일:エルゴスム앨범.jpg
발매일 2019년 12월 13일
크로스페이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원제번역명
01エゴ에고
02レプリカ레플리카
03スマートを模索する스마트를 모색하다
04阿呆なるものは바보라는 것은
05サーカトーヴォ사카토보
06quiz
07或る街のギギ어느 마을의 기기
08S∀MPLING MΘNSTER
09トーチカ토치카
10QUI
앨범명인 エルゴスム (ergo sum)은 그러므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4.2.16. Qili[78][편집]




5. 유형 램페이지[편집]


유형 램페이지
프로듀서sasakure.UK
보컬mami[79]
기타사사키 히데히사
베이스니카모토 료스케
키보드키시다 유우키[80]
드럼이마이 요시노리
채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유형 램페이지(有形ランペイジ)
sasakure.UK가 자신의 음악 표현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 결성된 밴드.

5.1. 투고 곡[편집]




5.1.1. 오리지널 곡[편집]


원제번역명가수투고일URL비고
世界五分前仮説세계 5분 전 가설2012-10-0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81]
ウィークエンダーの憂鬱위크엔더의 우울이레이 료2018-12-02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マグ•メル마그 멜mami2019-01-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82]
ネバーランド네버랜드피리오2019-07-0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レプリカ레플리카mami2019-09-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83]
世界五分後神話세계 5분 후 신화mami2019-12-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QUImami2020-01-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84]
人類邂逅인류해후mami2020-10-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ユメノ嶌꿈의 섬mami2021-05-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1.2. 커버곡[편집]




5.2. 앨범[편집]



5.2.1. 有形世界リコンストラクション (유형세계 Reconstruction)[편집]


사사쿠레가 프로듀서 자격으로 참여했으며, 타이틀곡 世界五分前仮説 (세계 5분 전 가설)을 작곡. 그래서인지 11번 트랙이 *ハロー、プラネット。(*Hello, Planet.)이다! 밴드 버전으로 편곡되었으며, 보컬은 당시 이 그룹의 보컬 marina.

5.2.2. 有ル形[편집]



5.2.3. ODYSSEY[편집]




6. 상용 리듬게임[편집]



6.1. EZ2AC[편집]


  • 神威[TJ.hangneil][85]
  • MxMxM Star


6.2. EZ2ON 시리즈[편집]



6.2.1. EZ2ON REBOOT[편집]



6.2.2. EZ2ON REBOOT : R[편집]


  • ozma[TJ.hangneil]

6.3. Sabin Sound Star[편집]


  • MxMxM Star[TJ.hangneil]


6.4. BEMANI 시리즈[편집]



6.4.1. 사운드 볼텍스[편집]


  • jet coaster☆girl tRickStAr Remix
  • キミヱゴサーチ[86]
  • GaLaXyEggPlanT
  • Jack-the-Ripper◆
  • KINGWORLD

6.4.2. 유비트 시리즈[편집]




6.4.3. beatmania IIDX[편집]




6.4.4. 노스텔지어 시리즈[편집]




6.4.5. DanceDanceRevolution[편집]




6.5. maimai 시리즈[편집]


  • ガラテアの螺旋
  • the EmpErroR
  • Good bye,Mr.Jack
  • The Wanderlast
  • モ°ルモ°ル[87]
  • 麒麟

6.6. CHUNITHM[편집]



  • タイガーランペイジ
  • 閃鋼のブリューナク[88]
  • ぼくらの16bit戦争
  • Jack-the-Ripper◆
  • Garakuta Doll Play (sasakure.UK clutter remix)
  • Mr. Wonderland
  • 神威
  • AVALON
  • Pangaea
  • ANU[89]


6.7. 온게키[편집]


  • 神威
  • Apollo[TJ.hangneil]
  • エピトゥリカの祀

6.8. WACCA[편집]


  • LIN NE KRO NE feat.lasah


6.9. Arcaea[편집]


  • 魔王 (sasakure.UK × TJ.hangneil)


6.10. GROOVE COASTER[편집]




6.11.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편집]



7. 의혹[편집]


메이저 이후 그가 BMS 시절을 흑역사 취급한다는 설이 있다.

  • BMS 페이지의 소멸
무엇보다 가장 큰 증거 중 하나로, BMS 페이지는 그의 동인 시절 대부분이 담겨있는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공식 웹사이트 리뉴얼 이후 어느순간 사라졌고 현재는 공식 웹사이트로 이동된다. 웹 아카이브의 남아있는 BMS 페이지는 2007년 초반(Pangaea까지)까지가 마지막.

  • BOF2008 영상의 차별 취급
BOF2008 당시 사사쿠레는 1인팀 사사쿠레이션에서 에피투리카의 제사, AVALON, Radio Organico를 출품했다. 이 때 사사쿠레는 이를 니코동에 올린 적이 있고, 지금도 그 영상은 여전히 남아있다. 그런데 이 세 곡은 그의 메인 마이리스트와 분리되어 따로 마이리스트가 부여되어 있다. 게다가 사사쿠레의 니코동 계정은 마이리스트 목록과 영상 목록이 전부 비공개이다. 이건 삭제만 안했다일 뿐이지 사실상 모르는 사람이라면 찾아보기 어렵게 해놓은 것. 물론 BMS 작품에도 당당히 메인 마이리스트에 끼어있는 Jack-the-Ripper◆란 예외가 있지만 이미 종말이 다가온다!를 제외한 모든 라라라 종말론.이 투고되어 사사쿠레의 인지도가 크게 오른 상황에 올라온, 즉 단순히 BMS와 연결된 동인 시절로만 보기엔 애매한 케이스이기 때문에 특별 취급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공식 사이트의 디스코그래피와 영상이 취소선 처리되어있고[91] 이식된 잭 더 리퍼의 음원이 전부 메이저 이후의 앨범인 MetroJackz 버전이라던지[92] 어느 정도 의심되는 사항이 존재한다.

다만 Diverse System 15주년 기획 RADIAL에 곡을 투고한 걸 보면 완전히 동인쪽을 버리진 않은 듯. 물론 디버스 시스템은 현재 동인 레이블이라기엔 너무나 커졌고[93] 동인 작곡과 BMS 제작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혹에서 벗어날 정도는 아니다.

그런데 갑자기 BM98 탄생 20주년 기념 행사에 DJ로 참가하면서 아주 흑역사 취급까지는 아닌 것 같은 모습을 보여줬다. 그 전에서도 AVALON을 CHUNITHM에 수록한 전적이 있다. 물론 리마스터 버전으로 수록한 경우긴 하지만.

그러다가 BMS 이벤트 중 하나인 WORLD WAR[94]의 참가 명단에 TJ.hangneil vs Jackz라는 이름이 발견되었다! 해당 명의가 속한 지역[95]이 과거 BMS 경력이 충만한 아티스트들로[96] 모여있는 전용 지역이라 BMS 커뮤니티가 한번 술렁였다. 종합해 보았을 때, bms 자체보다는 QY100으로 대표되는 동인 1집 Wandering visitors 시절의 작품이 본인의 마음에 들지 않을 가능성이 조금 더 신빙성 있어 보인다. [97]


8. 여담[편집]


  • 특별히 심각하리만큼 기괴한걸 만들거나 하진 않았지만최근엔 만들기는 했다 sasakure.UK 명의가 뜬금없이 절대로 검색해서는 안 될 검색어 위험도 3으로 등재 된 적이 있었다. 원인은 명의와 연관 된 사기 사이트 때문인데, UK가 영국의 최상위 도메인이고 작곡가 명의에 온점이 하나 있어서 명의를 구글에 제대로 입력 할 경우 해당 사기 사이트로 이동이 되는 참사가 일어났기 때문. 현재 해당 사기 사이트는 폐쇄되었으며, 이후 sasakure.UK가 해당 도메인을 취득해 지금은 검색 시 그의 홈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1:15:33에 나무위키 sasakure.UK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사쿠레의 개인 레이블. [2] 필립 K. 딕의 유명한 소설인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의 패러디.[3] 앨범에 있는 곡들의 첫 글자를 따면 앨범명이 완성된다.[4] DECOUS*UKi라는 유닛 명의로 낸 앨범. 멤버는 DECO*27, kous, sasakure.UK, yuxuki. 각각의 명의를 합쳐서 유닛 명의를 만든 듯하다. 객원 보컬로 Cie, ef가 있다.[5] Maison ette Maison (kous, Q.i)과의 합작앨범. [6] 한자표기는 夕雁. 유카리(紫 등)가 아닌 장음 표기의 유우카리다.[7] 니코니코 생방송 인터뷰 中[8] 손거스러미를 뜻하는 영단어는 hangnail인데 a 대신 e를 사용한다. 오타인지 의도된 것인지는 불명. TJ는 UK에서 알파벳을 한 칸씩 앞으로 옮긴 것.[9] 공식적으로 여전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다만 2009년 11월에 공개 된 sweez의 웹 라디오에 등장해서 간접적으로 정체를 밝혔다. 라디오의 소개에 따르면 'TJ.hangneil'은 '사사쿠레의 지인'이라는 설정(?). 하지만 사사쿠레의 장난이고 동일인물 맞다.[10] 참고로, 8년 후 Lemuria의 BGA 중반부가 '아발론 느낌'라는 평을 받았다.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자연배경+글귀 조합은 보기 드문, 사사쿠레스러운 BGA로 인식되는 것.[11] 비단 개인작뿐 아니라 sasakure.UK가 작업한 버츄얼 유튜버의 오리지널 곡인 "レッド・ルーラー", "BlackFlagBreaker!!", "KINGWORLD" 등이 츄니즘, 유비트 시리즈 등에 수록되었다. [12] 네거포지*컨티뉴즈 의 설정의 기반이 된듯한 레트로 게임 분위기와 캐릭터들이 특징[13] VOCALOID 메구리네 루카의 10주년 베스트 앨범 메구리네 루카 10th Anniversary - Fabulous∞Melody - 특전으로 수록되었다.[14] HQ 리마스터[15] Remaster ver[16] しゅうまつ가 '주말'과 '종말'으로 이중 해석되는 걸 이용한 제목.[17] Band Remaster ver.[18] 이것은 동화책으로도 나왔다. 동화책을 샀더니 음반이 따라왔어요![19] 원래대로 해석하면 '기인(機人)'이지만, 이 시리즈에 나오는 안드로이드들을 총칭하는 이름이기도 하기에 본래 발음대로 놓아둔다.[20] 참고로, 아직 끝난 게 아니다! 幻実アイソーポス의 14번 트랙인 'エ-テルの機憶(에테르의 기억)'과 15번 트랙인 '再鋼築フィクション(재강축 픽션)'이 이 시리즈와 관련이 있는데, PV가 나올지 아닐지는 아직 미지수. 다만 '재강축 픽션' 같은 경우 일러스트는 나와 있다.[21] 2020-2021ver[22] Seventh Dragon 2020의 주제가.[23] DECO*27와의 합작.[24] 이번에도 DECO*27과의 합작. 희한하게도 크리스마스가 아닌 12월 27일이라는 날짜가 나오는데, 태그에 친절하게 12+27=39(ミク)라고 적어놨다.[25] Seventh Dragon 2020-II의 주제곡.[26]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 판 PV만 존재한다. [27]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 보스곡 중 한 곡으로 수록.[28] DECO*27와의 세번째 합작곡.[29] 프로토타입 나나쿠자쿠 수록곡.[30] PV 공개 이전에는 프로토타입 나나쿠자쿠 앨범에 실려있었다. PV의 테마가 여러모로 라라라 종말론.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에 이걸 연상하고 슬퍼(?)하거나 하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31] 환상의 미래공주도 수록곡.[32] 하츠네 미쿠 V4X의 공식 데모 곡. SQEX의 PC 게임 'Figureheads' 콜라보레이션 곡으로도 사용되었다.[33] 우리들의 16bit 전쟁의 후속곡.[34] クイズRPG 魔法使いと黒猫のウィズ의 콜라보레이션 곡.[35] 白猫プロジェクト의 콜라보레이션 곡.[36] 보컬로이드로 배우는 고등학교 영단어 수록곡.[37] 우몽 수록곡. (Annabel ver.)[38] 매지컬 미라이 10th Anniversary 테마 곡[39] 네거포지*컨티뉴즈 의 후속곡[40] 프로세카 ULTIMATE 참가곡[41] 원곡은 흑집사 애니메이션의 엔딩으로 유명한 BECCA의 I'm ALIVE![42] 원곡은 BECCA의 Shibuya[43] Megpoid의 애칭이 GUMI인 것에서 착안한 곡.[44] 원곡은 kous의 椿姫[45] 마이리스트상 날짜는 10월 1일이지만, BOF 2009에 올라왔던 날짜가 9월 26일이었다.[46] BOF 2009 2위 작품. 이후 maimai에 수록.[47] 메이지 초기까지 エレキ를 エレキテル로 표기하였다.エ가 아니라 ヱ(지금은 사라진 글자이며 옛날에는 we로 발음되었다고 추정되는 글자로, 현재는 エ와 같이 취급된다)를 사용한 것은 사사쿠레 특유의 강조법으로 추정된다.[48] 유닛 명의 DECOUS*UKi로 낸 곡.[49] OSTER project 와 콜라보레이션 한 곡이다.[50] i:d 수록곡.[51] 리듬게임 CHUNITHM 오리지널 악곡으로 쓴 노래이다.[52] 인간과 키진 시리즈와 관련이 있는것으로 보인다.[53] 마카마카 모노모노시 수록곡.[a] A B C 곡의 설명란에 언급된 제목이다.[54] Diverse System RADIAL.04 수록곡.[55] 로스트피리카 수록곡.[56] 절멸 COMMONSENSE 수록곡.[57] CLOCKWORK ALPHA 수록곡.[58] 절멸 COMMONSENSE 수록곡.[59] 얼터너티브 걸즈 2의 미즈시마 아이리의 캐릭터 송.[60] 게임 A3! 제공 곡.[61] 우몽 수록곡.[62] 로스트피리카 수록곡.[63] 메조넷메종과의 합작.[64] 메조넷메종과의 합작.[65] lasah의 앨범 MOTHER에 수록.[※] 제목에 열람주의 표시가 붙어있다.[66] 불가사희 모노유카시 수록곡.[풀버전] [TJ.hangneil] A B C D E F G H I [67] Caligula -칼리굴라- 2의 캐릭터 리그렛의 테마 곡.[68] 게임 A3! 제공 곡.[69] 게임 A3! 제공 곡.[70] 명의는 lasah와의 유닛 명의인 sasalasah. 태엽 감는 사람과 태허새의 4년 만의(!) 후속곡이다.[71] sasakure.‌UK × TJ.hangneil. 두 명의의 합작곡으로는 처음이다.[72] 라이트노벨 '부엉이와 밤의 왕' 15주년 기념 이미지 송.[73] 우몽 수록곡.[74] sasakure.‌UK × TJ.hangneil[75] 필립 K. 딕의 유명한 소설인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의 패러디.[76] 앨범에 있는 곡들의 첫 글자를 따면 앨범명이 완성된다.[77] DECOUS*UKi라는 유닛 명의로 낸 앨범. 멤버는 DECO*27, kous, sasakure.UK, yuxuki. 각각의 명의를 합쳐서 유닛 명의를 만든 듯하다. 객원 보컬로 Cie, ef가 있다.[78] Maison ette Maison (kous, Q.i)과의 합작앨범. [79] 게스트 보컬 오디션인 "有形オーディション"에 당선, 게스트 보컬로서 참가하다가 2020년 정식 합류했다.[80] 2017년 활동 재개 시 합류.[81]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레퍼런스가 있다. 반전주의 곡 같이 현실세계의 문제를 건드리는 주제를 쓰는 경향이 짙은 것을 보면 이상할 것 없지만...[82] sasakure.UK 채널과 동시 투고[83] 하츠네 미쿠 버전과 동시 투고[84] 하츠네 미쿠 버전과 동시 투고[85] 처음으로 TJ.hangneil 명의를 쓴 곡이다.[86] 히나비타에 제공한 악곡.[87] '모도루모도루'라고 읽는다.[88] 위의 단락의 인간과 기신 시리즈의 최근에 만들어진 후속곡이다.[89] 穴山大輔와의 합작곡[90] 게키츄마이 콜라보로 수록[91] 위의 가설을 옳다고 가정할 시 과거 BMS와 그에 연관된 동인 앨범의 공개를 꺼려서라는 추측이 가능하다.[92] 다만 다른 작곡가들의 BMS 이식작들도 앨범 버전 교체가 딱히 특별하진 않은걸 생각하면 이쪽은 설득력이 약한 편.[93] 디버스 시스템에 곡을 투고하던 작곡가가 비마니 시리즈에 곡을 투고하거나, 반대로 비마니 시리즈에 곡을 제공하던 작곡가들이 참여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으니...[94] 지역대항 BMS 이벤트인 sen-goku의 연장선에 있는 이벤트.[95] 혹성 BM98(...).[96] 대표적으로 Yamajet, ルゼ가 있다. 그중에서도 임프레수는 1위이며, 관심도까지 합치면 다른 참가자들이 초라해 보일정도다.[97] 음질문제로 해당 앨범 발매를 망설였다는 기록이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