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덤프버전 :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2017)
The Merciless
파일:불한당 메인포스터.jpg
감독변성현
제작윤지원
각본변성현, 김민수
각색이원재
출연설경구, 임시완, 김희원, 전혜진, 이경영
음악김홍집, 이진희
촬영조형래
편집김상범, 김재범
장르액션, 범죄, 드라마, 스릴러, 느와르, 로맨스, 퀴어, 피카레스크, 복수, 고어
제작사CJ ENM MOVIE, 폴룩스(주)바른손
배급사CJ ENM MOVIE
촬영 기간2016년 8월 18일 ~ 2016년 12월 10일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5월 17일
상영 시간120분 (2시간)
대한민국 총 관객수966,195명 (최종)
국내등급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
2. 예고편
3. 포스터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7. 평가
8. 흥행
8.1. 한국
9. 기타
9.1. 퀴어물인가?



1. 개요[편집]


2017년 5월 17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2. 예고편[편집]


▲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포스터[편집]


파일:불한당 메인포스터.jpg
파일:불한당 티저포스터.jpg
파일:불한당 스페셜포스터.jpg
파일:불한당 영문포스터.jpg
파일:불한당 한재호 포스터.jpg
파일:불한당 조현수 포스터.jpg


4. 시놉시스[편집]


범죄조직의 1인자를 노리는 재호와 세상 무서운 것 없는 패기 넘치는 신참 현수는 교도소에서 만나 서로에게 끌리고 끈끈한 의리를 다져간다. 출소 후, 함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의기투합하던 중, 두 사람의 숨겨왔던 야망이 조금씩 드러나고, 서로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면서 그들의 관계는 흔들리기 시작하는데…

믿는 놈을 조심하라!

믿음의 순간 배신은 이미 시작되었다!



5. 등장인물[편집]


  • 설경구 - 한재호[1]
해운대를 거점으로 둔 마약 조직의 간부로 고병철에게는 한 이사라 불린다. 천진난만하고 장난기가 가득한 아저씨로 보이지만 잔인하고 비정한 면을 가진 속을 알 수 없는 남자.
  • 임시완 - 조현수[2]
마약 조직을 일망 타진 하기 위해 투입된 언더커버. 어머니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한재호에게 의지하기 시작한다.
고병철의 조카. 한재호와 함께 고아원에서 자랐기 때문에 그를 동료 이상으로 생각하는 반면 삼촌 고병철에 대한 적개심은 매우 강하다. 직급은 상무.
경찰 조현수를 언더커버로 투입시킨 상관. 마약 조직을 소탕하겠다는 정의를 실현하고 싶어하지만 목적을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방식이 문제가 되어 조현수를 비롯한 다른 부하 경관들마저 불행의 구렁텅이로 몰아넣는다. 직급은 팀장.
해산물을 취급하는 오세안무역 회장. 그러나 실제 정체는 러시아 마피아를 통해 마약을 유통하고 납품하는 범죄자로 호시탐탐 한재호를 없앨 궁리를 하고 있다.
조현수와 자주 부딪히는 경찰 동료. 억울하게 변태로 몰리는 등 온갖 곤욕을 치르지만 천 팀장보다 조현수를 인간적으로 생각해주는 의외의 면도 있다.
한재호의 수행원. 그가 시키는 일은 군말 없이 뭐든지 하는 믿을만한 심복이다.
고병철의 사업을 방해하는 깡패로 많은 부하들을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건달답지 않게 곱고 예쁜 외모를 가졌다는 이유로 조현수를 우습게 취급하다 그의 손에 곤죽이 된다.
교도소를 관리하는 인물. 김성한의 고향 후배라는 이유로 그의 뒤를 봐주며 한재호를 위기에 몰아넣는다.
  • 김지훈[3] - 정식
김성한의 오른팔.
  • 최준영 - 용찬
  • 박수영 - 장목사
  • 조셉 - 오세안무역 조직원
  • 이규호 - 짝짝이 재소자1
  • 허준호[특별출연] - 김성한
다른 지역을 거점으로 두고 있는 조직의 보스. 한재호가 복역하는 교도소로 들어오면서 그의 자리를 위협한다.
  • 김성오[우정출연] - 정승필
천 팀장이 투입시킨 또 다른 언더커버로 슬하에 자녀가 있는 유부남이다.
  • 신소율[우정출연] - 오세안무역 광고 미녀1
  • 김보미 -오세안무역 광고 미녀2
  • 이루안[우정출연] - 오세안무역 광고 미녀3


6. 줄거리[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의 줄거리에 대한 내용은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줄거리 문서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줄거리번 문단을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줄거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4112|
기자·평론가
5.60 / 10
관람객
8.21 / 10
네티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5.60 / 10
관람객
8.21 / 10
네티즌
/ 10
]]
평점 8.21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4.3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 10



MRQE
평점 / 10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 10




파일:구글 TV 로고.svg
별점 / 5.0


명명백백 러브스토리

새로운 문법의 영화라기보다는, 익숙한 설정을 영특하게 비튼 요소가 뭉쳐서 ‘뭔가 다른데?’라는 느낌을 주는 쪽이다. 재미있게 장난을 친(?) 몇몇 편집과 감각적인 영상이 조폭영화 특유의 기시감을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느와르의 외피를 입은 멜로물’을 만들고 싶었다는 감독의 목표는 성공적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이건 명백히 사랑이야기다. 서로 알 수 없이 끌리는데 타이밍이 맞지 않아 어긋나는 두 사람의 슬픈 사랑이야기. 설경구-임시완 커플 못지않게, 설경구-김희원의 서브플롯도 애잔하고 흥미롭다.

정시우 | ★★★☆


80년대 홍콩 양아치 포스

박평식 | ★★


사랑한다면 될 것을 왠 믿음 운운인가

이용철 | ★★★


불균질한 요소들을 잘 배치한 조각보

이주현 | ★★★


형식에 매몰된 감정

김성훈 | ★★☆


<프리즌>이나 <신세계>보다는 <무뢰한>에 가까운 곡진한 멜로

황진미 | ★★★☆


클리셰의 뻘밭에서도 맥동하는 감정.

이동진 | ★★★

기본적으로 익숙한 스토리이기는 하나 곳곳의 기발한 전개로 전형성을 깨는 부분들이 돋보이며, 강렬한 연출, 감각적인 촬영과 편집, 색감이 있는 영상미, 말맛이 살아있는 각본,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만큼은 호평할 부분이 있다.

개봉 시기에 영화 외적인 문제[4]에 대한 악평이 쏟아지면서 극장 흥행에 실패하고 그냥 묻혔다가 2차 시장에서 '막상 보니까 재미있네?', '생각보다 영화적으로도 우수하다' 등 뒤늦게 재평가가 이루어진 작품이다.

2017 청룡영화상에서 작품상 등 9개부문 최다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씨네21 올해의 한국 영화 중 하나로 뽑혔다.#


8. 흥행[편집]



8.1. 한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보이기 / 숨기기 ]
주차날짜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26,263명26,263명-위229,157,700원229,157,700원
1주차2017-05-17. 1일차(수)95,271명-명1위713,315,600원-원
2017-05-18. 2일차(목)91,667명2위687,727,400원
2017-05-19. 3일차(금)87,659명2위731,831,572원
2017-05-20. 4일차(토)150,449명2위1,289,300,573원
2017-05-21. 5일차(일)138,594명2위1,190,814,900원
2017-05-22. 6일차(월)50,096명2위377,148,100원
2017-05-23. 7일차(화)43,305명2위323,583,800원
2주차2017-05-24. 8일차(수)29,212명-명3위217,414,200원-원
2017-05-25. 9일차(목)22,610명4위170,543,500원
2017-05-26. 10일차(금)26,798명4위222,835,285원
2017-05-27. 11일차(토)42,573명5위360,468,295원
2017-05-28. 12일차(일)41,762명5위355,677,600원
2017-05-29. 13일차(월)19,379명4위144,208,700원
2017-05-30. 14일차(월)19,233명4위142,523,300원
3주차2017-05-31. 15일차(수)5,899명-명6위36,207,800원-원
2017-06-01. 16일차(목)3,779명7위27,554,800원
2017-06-02. 17일차(금)3,923명7위32,924,600원
2017-06-03. 18일차(토)5,171명11위43,911,300원
2017-06-04. 19일차(일)4,621명12위39,587,600원
2017-06-05. 20일차(월)4,476명10위34,093,200원
2017-06-06. 21일차(화)951명15위7,827,000원
4주차2017-06-07. 22일차(수)1,292명-명8위9,455,500원-원
2017-06-08. 23일차(목)-명-위-원
2017-06-09. 24일차(금)-명-위-원
2017-06-10. 25일차(토)-명-위-원
2017-06-11. 26일차(일)-명-위-원
2017-06-12. 27일차(월)-명-위-원
2017-06-13. 28일차(화)-명-위-원
합계 누적관객수 966,195명, 누적매출액 7,388,092,325원[5]

개봉 첫날에 1위를 차지했으나, 바로 다음날 겟 아웃에 밀려서 2위로 내려 앉았다. 그리고 나서 하루 뒤인 5월 19일, 겟 아웃의 절반에 해당할 정도로 급격하게 벌어졌다. 포털사이트에서의 평점 테러가 상당한 이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5/24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그리고 5/25 노무현입니다가 개봉하면 최종결과는 더 암울할 것으로 예상된다. (손익분기는 230만명이다.)

결국 6월초 100만 관객을 넘지 못하고 iptv 서비스를 시작했다. 칸영화제 초청이라는 홍보를 열심히 해봤지만 손익분기점의 절반도 넘기지 못했다.


9. 기타[편집]

















9.1. 퀴어물인가?[편집]


배우들과 감독이 인터뷰에서 로맨스물퀴어물이라고 반복적으로 강조한 바 있으며, 일부 장면들에서 여지없이 드러난다. 다만 제작사 측의 반대로, 흥행을 위하여 퀴어물 대신 한국에서 잘 먹히는 장르인 느와르물로 광고를 하도록 하여 대외적으로는 느와르로서의 정체성이 강조된 편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팬들 혹은 평론가들도 있다. 홍보 면에서도 그렇고 작중 한재호가 바이 섹슈얼임을 표현하는 대사도 제작사 측의 반대로 삭제되었다고 감독이 인터뷰도 했다. 아마 실제로는 더 많은 첨삭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감독은 트위터에서 불한당을 퀴어물로 해석한 이에게 잘 해석하였다고 말하기도 하였고, BL적인 트윗을 리트윗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변 감독은 "저는 이 영화를 계속해서 멜로영화라고 이야기했었다. 사실 준비하면서도 느와르보다는 멜로를 더 많이 봤다"라 말한데다 배우인 설경구는 캐릭터와 영화를 설명하며 "브로맨스 이야기를 많이 하시는데, 저는 이 영화를 찍으면서 임시완이라는 배우와 사랑도 하고 질투도 했다" 라고 말하며 브로맨스가 아니라 '로맨스'라며 재정정하였다. 브로맨스는 남자들끼리의 우정으로 인한 흐뭇한 분위기를 말하고 로맨스는 성애적인 사랑을 의미한다.[8]

실제로 상당수 관객이 퀴어물 내지 로맨스를 느꼈다고 말했으니, 이는 감독의 장치였다는 말이 있다. 성소수자 커뮤니티 등지에선 퀴어물로 분류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9:31:35에 나무위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어 더빙판 성우-사쿠야 슌스케(설경구 전담 성우다.)[2] 일본어 더빙판 성우-오오사카 료타[3] 감시자들에서 은행강도단의 일원인 물먹는 하마로 나왔다.[특별출연] [우정출연] A B C [4] 감독 변성현이 SNS에 남긴 글들이 정치적, 지역비하적 논란이 일었다.[5] ~ 2017/06/07기준[6] 심상정, 유승민은 호평하면서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는 비하했다.[7] 소수 의견이지만, 한국은 확실히 느와르 물에 환장하는 시장은 맞지만 멜로 + 느와르의 조합은 대중적으로 먹히는 장르가 아닌것 같다며, 장르를 두 영화의 흥행 실패 요인으로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8] 브로맨스와 BL을 혼동하는 관객이 많은데 이 둘은 아주 큰 차이점이 하나 있다. 브로맨스는 남성캐릭터 간의 진한 우정만 있지 섹슈얼적인 사랑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서로를 성적인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