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안전한 항공편(캐나다 기준)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노선
4. 그 외 유의사항



1. 개요[편집]


북한이탈주민이 해외에서 안전한 항공편을 기재한다.


2. 상세[편집]


캐나다에 2001년 8월에 처음으로 제 1호로 불리우는 리성대 북경주재 북한 대사관 경제무역담당 외교관으로 탈북민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편 미국에서도 예전부터 탈북민으로도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2006년 테러 사건이후로 ESTA가 시행이 되고 입국 심사를 까다롭게 심사를 한 것 때문에 대체지로 캐나다행으로 많이 갔고, 그 10년 이후에는 캐나다에서도 탈북민 숫자가 늘어났다고 한다.


3. 노선[편집]


캐나다에 있는 공항중 국제선에 있는 공항들은 애버츠퍼드 공항, 커먹스 공항, 프린스조지 공항, 선더베이 공항, 데어레이크 공항, 갠더 공항, 멍크턴 공항, 프레더릭턴 공항, 빅토리아 공항, 벤쿠버 하버 비행센터, 켈로나 공항, 리자이나 공항, 새스커툰 공항, 세인트존스 공항, 윈저 공항, 워털루 공항, 빌리 비숍 토론토 시티 공항, 해밍턴 공항, 세인트존 공항, 온타리오 런던에 공항 등 총 28개의 공항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이용해도 안전한 항공사와 경로
목적지경유/도착 국가이용 항공사경유/도착 공항
전체
파일:미국 국기.svg

아메리칸 항공로스엔젤리스
댈러스
샬럿
시카고
마이애미
워싱턴(DCA)
필라델피아
뉴욕(JFK)
뉴욕(라콰디아)
델타 항공뉴욕(라콰디아)
뉴욕(JFK)
애틀렌타
디트로이드
미니엔폴리스
솔트레이크시티
유나이티드 항공샌프란시스코
로스엔젤리스
덴버
휴스턴
시카고
워싱턴
뉴욕(EWR)
남아메리카행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에로멕시코멕시코시티[M]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아라젯산토도밍고[M]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비앙카산살바도르
보고타[M]
파일:파나마 국기.svg

코파 항공파나마시티[M]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캐리비안 항공조지타운
킹스턴
포트오브스페인
유럽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아조레스 항공푼샬
폰타델가다[M]
아조레스섬
포르투
TAP 포르투갈 항공리스본[M]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항공런던(히스로)[V][M]
런던(개트윅)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에어 링구스더블린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어 프랑스파리(샤르드골)[V][M][1]
과들루프[MC]
Corsair파리(오를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KLM 네덜란드 항공암스테르담[V][C][E][M]
파일:독일 국기.svg

콘도르 항공프랑크푸르트[V][C][E][H]
루프트한자프랑크푸르트[V][M]
뭰헨[V][M]
유로윙스프랑크푸르트[CC][HC]
파일:덴마크 국기.svg

스칸디나비아 항공스톡홀름
코펜하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국제항공취리히[M]
에델바이스 항공취리히[VC][C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네오스 항공밀라노(말렌사)
례이캬비크(케플라비크)
ITA 항공로마
파일:폴란드 국기.svg

LOT 폴란드 항공뱌르샤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항공[MC]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항공례이캬비크(케플라비크)[V][H]
PlAY 항공례이캬비크(케플라비크)[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항공이스탄불[V][M]
이집트 항공카이로
카타르 항공도하[MC]
로열 요르단 항공암만[MC]
로얄 에어 모로코카시블랑카[MC]
튀니스 항공튀니스[MC]
에티오피아 항공아디스아바바
사우디아 항공제다
에티하드 항공아부다비
에미레이트 항공두바이[M]
[3]파키스탄항공카라치
라호르
이슬라마히드
에어 인디아뉴델리[V]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대한항공인천[V]
에바항공타이베이
중화항공타이베이[VC]
필리핀 항공마닐라[V]
에어 뉴질랜드오클랜드[VC]
피지 항공나디[VC]
콴타스시드니[VC][4]
전일본공수도쿄(하네다)[VC]
일본 항공도쿄(나리타)[VC]
ZIPAIR도쿄(나리타)[VC]

4. 그 외 유의사항[편집]


  •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교민들은 미국 ESTA가 면제되고,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교민들도 캐나다 eTA가 면제 된다.
  • 캐나다에 있는 공항들은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수리남, 도미니카연방, 생바르테레미, 생마르댕, 앵궐라 가는 노선들이 없다. 이들은 한국과는 달리 환승을 1번만 환승해도 된다.[5]
  • 미국, 캐나다, 영국 시민들과 탈북민들은 아예 단체 관광객 외에는 러시아, 이란을 갈 수 없다. 탈북민들이 이 곳에 왔다면 바로 북송해 버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M] A B C D E F G H I J K L M N 몬트리올 공항으로도 이용가능[V] A B C D E F G H I J K 밴쿠버 공항으로도 이용가능[1] 이 공항은 오타와 공항, 퀘백 공항으로도 이용가능[MC] A B C D E F 몬트리올 공항으로만 이용가능[C] A B 캘거리 공항으로도 이용가능[E] A B 에든먼턴 국제공항으로도 이용가능[H] A B 헬리펙스 공항으로도 이용가능[CC] A B 캘거리 공항으로만 이용가능[HC] 헬리펙스 공항으로만 이용가능[VC] A B C D E F G H 밴쿠버 공항으로만 이용가능[2] 헤밍턴 국제공항으로만 이용가능[3] 파키스탄은 제2세계 국가이고 역시 친중 국가이지만 대북제재에 참여했고 미국 눈치도 보기 때문에 적어도 위 국가들보단 비교적 안전하다[4] 토론토 국제공항에서도 시드니 노선이 있는데, 실상은 호주 시드니가 아니라 캐나다 노바시코샤에 있는 시드니이기 때문에 이 노선을 이용할 시 주의해야한다.[5] 한국은 아예 중남미 행이 없기 때문에 2번 이상 환승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