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4번 노선이 존재했다는 근거가 발견될 때까지 부산 버스 4 문서 및 부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의 해당 서술 삭제(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2. 일반, 좌석버스
3. 급행버스
4. 특급좌석버스
5. 형간전환으로 다른 번호로 바뀐 노선



1. 개요[편집]


부산에는 예전부터 아주 많은 노선이 있었다. 그중 이거와 3~4개월에 한 번씩 하는 개편 등으로 변경, 폐지, 통합, 신설크리를 먹고 있다. 참고로 자료가 거의 없어 목록에 없는 노선도 있다.

폐선되기 직전의 노선으로 작성. 지명은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하되 혼동의 여지가 있는 경우 각주를 단다.

폐선 직전까지 수요가 많았거나 폐선으로 인해 시민 불편이 컸던 노선은 ★, 폐선 한참 이전부터 하루에 몇번 다니지 않거나 사실상 유령노선이었던 경우 ◎로 표시


2. 일반, 좌석버스[편집]


 기점종점경유지폐선연도운수사[1]폐선사유
1(1기)에덴공원연산교차로대티고개↔구덕운동장↔남포동↔부산역↔보림극장↔서면↔신리삼거리1988년제일여객1호선 개통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회사 부도 및 폐선
1(2기)민락동부암역광안리해수욕장↔수영교차로↔배산역↔연제구청↔송상현광장↔서면↔롯데호텔백화점2021년오성여객62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전기버스 전용 노선으로 개통했다 후에 62번으로 재통합
1-1에덴공원연산중학교대티터널↔서대신시장↔남포동↔부산역↔보림극장↔서면↔신리삼거리1988년제일여객1호선 개통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회사 부도 및 폐선
3(구)신평구덕운동장장림↔괴정시장↔서대신동1998년영신여객1호선 신평~서대신동 구간 개통 후 지속적인 수요감소로 인해 폐선
3-1홍티마을대티역장림시장↔구평고개↔괴정시장1997년영신여객마을버스로 형간전환
3-2다대포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장림1994년영신여객저수요 노선
5해운대신시가지부산진시장신시가지북부↔해운대역↔벡스코↔수영역↔망미동↔신리삼거리↔양정↔서면↔범일동2012년부일여객차고지 이전에 따른 통폐합★
6(구)영도산복도로괴정시장영선동↔영도대교↔남포동↔서구청↔부산관광고교↔송도입구↔감천.삼성여고↔괴정역2007년남부여객6-1번[2]으로 통합
8-1태종대서부터미널영도구청↔미광마린타워↔부산대교↔남포동↔구덕터널↔세원교차로↔사상역2005년신한여객저수요 노선
9-1청학동감천사거리일신마리나아파트↔신선동↔영도대교↔남포동↔송도아랫길↔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수산가공단지2016년남부여객9번으로 통합★
10(구)사직동대연동사직주공↔교대앞↔거제리↔서면↔중앙시장↔문현교차로↔문현안동네2007년국제여객저수요 노선, 10-1번[3]으로 통합◎
11-1다대포송도몰운대↔신평역↔사하구청↔괴정초등학교↔구덕운동장↔서여고↔부평시장↔서구청↔공동어시장↔송도해수욕장1992년동진여객광진여객과 안전여객이 동진여객으로 합병되면서 폐선
12(1기)구평영선동구평초등학교↔YK스틸↔괴정시장↔구덕운동장↔대학병원↔남포동1997년남부여객마을버스 로 전환
12(2기)서동전포동온천장↔식물원입구↔원예고등학교↔사직동↔거제리↔서면↔동성고교2007년세진여객저수요 노선
12-1구평충무동구평초등학교↔감천동↔고신대병원↔송도입구↔자갈치1985년남부여객불명
13태종대서부터미널영도구청↔부산대교↔부산데파트↔남포동↔구덕운동장↔괴정시장↔하단오거리↔엄궁동←→사상교차로2007년신한여객장거리 및 타 노선과 중복되는 노선★
14용호동서부터미널이기대입구↔경성대학교↔서면역↔가야동↔주례역↔사상역2002년시민여객, 오성여객2호선 개통에 따른 수요 악화
17-1감천2동당감주공고신의료원↔남포동↔부산역↔부산진시장↔서면↔진양교차로2007년영신여객17번으로 통합
18구서2동서부터미널장전동↔부산대학교↔온천장↔동부터미널[4]↔거제리↔서면↔부산진시장↔남포동↔구덕터널↔감전동1987년대성여객1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회사 부도
19(1기)구서2동구덕운동장부산대↔온천장↔부산교대↔연산교차로↔양정↔서면↔부산역1984년대성여객, 신진교통신진교통 철수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 및 대성운수 폐업으로 인해 18번에 통합
19(2기)구서2동문현교차로구서2동↔부산대학교↔사직운동장↔부산교대↔연산교차로↔시청↔전포동↔문현교차로2008년세진여객, 화신여객저수요 노선
21용당동시청경성대입구↔태평양아파트↔문현초등학교↔문현교차로↔문현역↔동성고교↔전포고개↔한신아파트↔송공삼거리2007년창성여객저수요 노선
23-1당감4동전포동진양교차로↔서면↔중앙시장↔자성대↔대연동↔문현동1991년신성여객수요 저조로 인해 유령화되었다가 폐선◎
25용당동당감주공아파트선암사입구↔서면(롯데)↔중앙시장↔자성대↔제7부두↔유엔기념공원2007년창성여객23번, 68번과 중복 노선으로 해당 노선들과 통폐합
28충무동부산교대자갈치시장↔초량안동네↔보림극장↔서면↔부산진구청↔어린이대공원↔사직운동장↔법원.검찰청2002년대일여객차고지 문제로 인해 103번에 통합★
28-1초읍동진시장초읍↔부암동↔부산진구청↔서면↔자유시장↔부산시민회관1997년대일여객저수요 노선
29(구)남산동연산6동부산대학교↔부곡시장↔서동고개↔세웅병원↔명장조양맨션↔충렬사↔동래역↔신리삼거리[5]2007년세진여객저수요 노선, 29-1번[6]에 통합◎
29-2남산동연산6동부산대학교↔세웅병원↔명장1동↔충렬고↔안락교차로↔동래역↔교대역↔신리삼거리2007년세진여객저수요 노선, 29-1번[7]에 통합◎
31-1해운대모라주공아파트재송동↔안락동↔동래고교↔세병교↔교대역↔부산시청↔양정↔서면↔가야↔개금↔주례↔사상2007년세익여객, 일광여객31번과 통합
32화명동르네시떼화명동↔수정역↔구포역↔모라↔서부터미널↔사상역2007년삼진여객2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단축운행하다 폐선[8]
32-1화명동부전시장화명동↔수정마을↔구포역↔모라↔서부터미널↔주례사거리↔경남정보대학↔가야↔서면1994년삼진여객32번과 통합
33-1(구)초읍구만덕일동아파트↔진구청↔서면↔가야↔개금↔주례↔서부터미널↔모라역↔구포역↔만덕그린코아1990년한창여객33번과 통합
34용당동모지포마을동명대↔부산공고↔성지공고[9]↔우암초등학교↔시민회관↔부산진시장↔부산역↔남포동↔송도해수욕장2002년창성여객저수요 노선◎
35서동남부민동명륜역↔사직운동장↔거제리↔서면↔좌천동가구거리↔부산역↔남포동↔대학병원 [10]2007년세진여객장거리 및 중복 과다 노선★
35-1안창마을구덕운동장보림극장↔부산진역↔부산역↔부산터널↔서여고↔동아대병원입구1992년세진여객마을버스로 전환
36-1해운대태광산업해운대↔수영교차로↔망미역↔연산토곡↔안락교차로↔동래시장↔동래전화국↔온천장↔장전역↔구서아파트1991년일광여객불명
39(1기)해운대충무동해운대↔수비삼거리[11]↔수영교차로↔대연고개↔문현교차로↔부산역↔중앙동↔충무동1991년부일여객139번과 통합
39(2기)해운대미남교차로해운대↔수영교차로↔연산동↔양정교차로↔연산교차로↔대선주조↔사직운동장1999년부일여객저수요 노선
40-1해운대구덕운동장북좌동↔해운대여상[12]↔수비삼거리[13]↔수영교차로↔광안리↔경성대↔자성대↔부산역↔국제시장1997년우진서비스저수요 노선◎
42-1반여1동부산진시장반여1동↔대우실업↔왕자맨션↔안락시장↔연산토곡↔수영↔경성대↔문현교차로1999년동성여객과소한 운행댓수로 인한 저수요 노선◎
43-1반여1동남부민동반여1동↔동래역↔거제리↔서면↔진시장↔부산역↔충무동↔자갈치시장1992년대진버스불명
44-1반여4동당감4동재송동↔동래역↔고속터미널[14]↔사직운동장↔거제리↔초읍동↔진양교차로2001년일신여객144번 신설을 위해 폐지
45남산동대우자동차부산대↔명륜동↔고속터미널↔사직동↔거제리↔어린이대공원↔부산진구청↔서면↔대우자동차1990년세진여객노선 단축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지
46(구)반여1동구덕운동장동래고교↔동래역↔교대역↔거제리↔서면↔범내골↔보림극장↔부산역↔부산터널↔서여고1987년동성여객1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선
47범어사입구재송동범어사입구↔침례병원↔온천장입구↔동래↔안락교차로↔해운대경찰서[15]2006년삼신교통저수요 및 247번[16]과의 중복으로 인한 폐선
48노포동터미널[17]세산삼거리범어사입구↔부곡시장↔서동↔명장동↔안락교차로↔대동병원↔동래역↔미남교차로↔만덕1터널↔만덕성당↔구포역↔대저동↔강동동↔김해 불암동↔식만↔가락동↔조만포2006년삼신교통, 삼화여객저수요 노선◎
48-1남산동북구청(모라동)남산소방서↔두실역↔금정구청↔서동고개↔명장동↔동래역↔신만덕↔구포삼거리↔삼락동2006년삼화여객저수요 노선
49(구)범어사입구수영구청구서시장↔부곡시장↔동래우체국↔동래시장↔토곡↔수영교차로→감포천복개로→광안리해수욕장1999년삼신교통도시철도 2호선 공사 때문에 49-1번[18]과 통합
50-1두구동구서역노포동터미널↔범어사입구↔남산동↔구서롯데캐슬2008년삼신교통저수요 노선◎
50-2금정체육공원(경륜장)노포역금정체육공원정문↔금정체육공원입구↔노포동터미널2009년삼신교통저수요 노선
51(구)구서동전포동부산대학교↔온천장↔동래↔수영교차로↔경성대↔대연역↔문화회관↔우암초등학교↔동성고교→대우자동차→전포역2007년화신여객19번 신설을 이유로 폐선★
51-2구서동감만동부산대학교↔온천장↔동래↔수영교차로↔경성대↔대연역↔문화회관↔남광시장↔감만시장↔동항초등학교2005년화신여객저수요 노선
52-1반여3동충무동동래한전↔동래역↔교대역↔시청↔양정↔부전시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2007년일신여객저수요 노선
53초읍동명지동부산진구청↔서면↔가야.개금↔주례역↔서부산낙동강교↔대저2동↔명지시장.새동네2005년대경교통회사의 부도로 운행중단되었다 저수요로 인해 재개되지 못하고 폐지◎
53-1초읍동세산삼거리서면↔가야동↔서부산낙동강교↔대저2동↔강동동1993년대경교통저수요 노선◎
55(구)[19]반여3동범내골동부지원↔왕자맨션↔동래시장↔부산교육대학교↔연산로터리↔부산시청↔양정↔서면역2006년일신여객저수요 및 52번과 중복되는 노선
55-1동부법원초량시장동부지원↔왕자맨션↔동래시장↔교대역↔연산동↔양정↔서면↔배정고교1994년일신여객55번과 통합
56봉래동중앙공원.민주공원영선교차로↔영도경찰서↔영도대교↔남포동↔부평시장↔동아대병원입구↔덕원공고2000년남부여객저수요로 인해 유사노선인 70번으로 통합
57-1사직3동부산진시장여명중학교↔법원.검찰청↔사직실내수영장↔동래역↔연안교↔연산9동↔배산역↔양정역↔서면2007년학성여객57번과 통합
58-2(1기)용원충무동송정검문소↔성고개↔본녹산↔강서경찰서↔하단역↔대티터널1996년태화교통불명
58-2(2기)용원강서구청송정검문소↔성고개↔본녹산↔강서경찰서↔하단역↔서부터미널↔구포역1999년태화교통도시철도 2호선과 중복되는 노선으로 개통 후 폐선
58-2(3기)용원하단역영도산업↔경자청↔삼성전기↔삼창목재↔삼성자동차↔진동2006년태영버스58-1번으로 통합
58-3옥포괴정초교[20]구랑↔세산삼거리↔본녹산↔강서경찰서↔하단역↔괴정역1997년태화교통마을버스로 전환
59(구)동아대화명아파트구덕운동장↔국제시장↔부산역↔신암↔신주례↔신라대입구↔신모라↔구명역↔덕천교차로2003년태화교통저수요 노선, 59-1번[21]으로 통합◎
60감천고개대우버스감천2동↔괴정삼거리↔대티터널↔서대신교차로↔구덕운동장↔국제시장↔부산진역↔범내골2001년유한여객차고지 문제 및 지속적인 감차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선
60-1감천고개청학고개영도산복도로↔미광마린타워↔부산대교↔부산우체국↔대티터널1998년유한여객불명
63-1기장초읍북좌동↔해운대역↔수비사거리↔신리삼거리↔하마정2002년일광여객, 한일여객63번으로 통합
65망미(?)부산대(?)망미↔연산↔거제↔사직↔부산대학1970년대 ~ 1980년대 초(?)?불명
66(1기)당감동민주공원삼익아파트↔부암철길↔서면↔보림극장↔부산역↔남포동↔구덕운동장1987년태진여객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폐선
66(2기)당감동남부민1동삼익아파트↔부암철길↔서면↔보림극장↔부산역↔남포동1989년태진여객저수요 노선
66(3기)구포3동공항구포역↔서부터미널↔새벽시장↔서부산낙동강교1999년태진여객저수요 및 도시철도 2호선과 중복 노선으로 폐지
66(4기)태종대당감동태종대↔남포동↔서면↔당감동2023년신한여객17번으로 노선 변경★[22]
66-1당감동남부민1동당감시장↔부암새고개↔진구청↔서면↔보림극장↔부산역↔남포동1989년태진여객불명
67-1개금2동엄궁농산물시장가야시장↔서면롯데↔범내골↔보림극장↔부산역↔남포동↔서구청↔부평시장↔구덕터널↔엄궁중학교2003년대명여객운행 구간[23]의 위험성으로 인해 67번으로 통합
68-1용당동하단역감만동↔우암역↔중앙시장↔서면↔가야대로↔학장동↔엄궁동2007년창성여객68번으로 통합
69개성고교신만덕당감동↔부암교차로↔진구청↔가야↔개금↔사상역↔구포2동↔덕천주공↔신만덕2002년태진여객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지
69-1구포3동동성고교구포역↔백양터널↔개금주공↔서면(롯데)↔쥬디스태화2007년대일여객, 태진여객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노선이 계속 변경되다 결국 폐지
72회동동명장동세웅병원↔서동고개↔부곡2동↔온천장입구↔시싯골↔안락시영아파트↔충렬고교1995년삼화여객마을버스로 전환
73(구)일광역연산교차로-일광-기장↔반송본동↔반송우체국↔금사입구↔명장↔충렬사↔동래역↔교대역1996년대진버스, 동부여객불명
73-1반송개금주공아파트동부산대↔반송우체국↔반여동농산물시장↔금사전화국↔충렬사↔세병교↔연산토곡↔신리삼거리↔양정1995년대진버스불명
75구만덕신암덕천교차로↔모라↔서부터미널↔동서대입구↔신암↔보림극장↔중앙시장↔진시장↔보림극장2000년대일여객, 한창여객2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선
78온천2동용당동동부터미널↔대동병원↔동래고교↔연안교↔신리삼거리↔전포동↔문현교차로↔경성대↔대천중학교↔동명대2003년세진여객잘못된 노선 단축으로 노선 수요가 급감하여 유령화되었다가 폐지◎
78-1장전1동연산동동부터미널↔동래고교↔연안교↔신리삼거리↔연동시장1989년세진여객불명
79회동동신암서동고개↔온천장역↔동래전화국↔동래↔거제리↔서면↔신암2006년삼화여객179번에 통합
79-1회동동전포시영아파트서동고개↔온천장역↔동래전화국↔동래↔거제리↔서면↔범내골2006년삼화여객179번에 통합
80(구)남산동부산진시장남산고교↔부산대↔온천장↔사직운동장↔거제리↔서면↔범내골2007년세진여객80-1번[24]과 통합
82-1청학고개연산교차로신선동↔남항시장↔영도대교↔부산역↔진시장↔서면1988년유성여객82번과 통합
86-1망미주공대청공원연산교차로↔서면↔범내골↔수정산복도로↔덕원공고↔영주삼거리↔메리놀병원↔대청동↔동대신동↔혜광고교1990년동성여객86번과 통합
88-1(구)태종대개성고교동삼1동↔해동병원↔부산대교↔부산역↔보림극장↔서면↔부암새고개1990년신한여객불명
89서동청학동서동고개↔안락동↔연산동↔시청↔쥬디스태화↔진시장↔부산역↔영주동↔영도대교2007년삼화여객중복노선 다수 신설로 인한 적자 누적으로 폐지
89-1서동서부터미널서동고개↔안락주공↔토곡한양아파트↔서면↔개금주공↔백양마을↔신라대입구↔서부터미널2003년삼화여객저수요 노선◎
91에덴공원연일시장대티고개↔부산터널↔부산역↔서면↔연산국민학교↔연산동1991년영신상운저수요 노선
92연일시장서면연산교차로↔연산초등학교↔신리삼거리↔양정↔부전시장↔전포초등학교↔서면한전1990년세진여객불명
93감만동당감4동감만현대↔용당종점↔UN공원↔우암초등학교↔자성대↔범내골↔서면롯데↔진양교차로2007년신성여객저수요 노선
97개금2동국제시장경남정보대↔서부터미널↔구덕터널↔구덕운동장↔국제시장→부산대교→영선윗로타리→영도대교→남포동→국제시장1999년동남여객도시철도 2호선 중복 및 운행 구간의 위험성으로 인한 폐선
101-1영도중리대연사거리동삼주택↔영도구청↔해동병원↔영도대교↔부산역↔진시장↔문현교차로↔태평양아파트2007년신한여객101번과 통합★
103-1수영민주공원수영본동↔수영교차로↔신리삼거리↔양정↔부전시장↔서면↔범내골↔좌천동가구거리↔부산진역2000년대진여객저수요 노선
103-2수영안창마을수영본동↔수영교차로↔신리삼거리↔양정↔부전시장↔서면↔범내골↔범곡교차로↔범일초등학교1994년동성여객불명
105(구)하단민주공원사하구청↔괴정시장↔대티역↔구덕운동장↔동대신2동↔락서암2006년동성여객, 태화교통저수요 노선
106(구)민락동서면광안역↔대남교차로↔황령터널↔혜화사관학원↔서면복개천↔롯데백화점옆2007년오성여객, 용화여객저수요 노선
107(구)민락동덕포초등학교민락회센터↔광안리해수욕장↔경성대↔자유시장↔서면롯데↔서부터미널→덕포시장→청류탕→신모라사거리→서부산공고2002년오성여객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악화로 폐선
108(구)민락동엄궁농산물시장진로비치이파트↔수변공원↔경성대↔못골시장↔문현교차로↔자성대↔롯데호텔백화점↔가야.주례↔학장입구2007년오성여객108-1번[25]으로 통합
109해운대영선동신시가지북부↔코오롱아파트↔우1동↔수영교차로↔경성대↔진시장↔보급창↔항만청↔부산대교↔영선아랫교차로2006년부일여객저수요 노선
110(구)백병원감전동가야벽산/동의대↔서면롯데↔온천장↔금강원입구↔우장춘기념관↔만덕1터널↔구포시장↔북구청↔서부터미널2006년대도운수저수요 노선, 110-1번으로 통합
111(구)구포3동부산진시장구포전화국↔만덕1터널↔미남역↔사직야구장↔법원.검찰청↔거제리↔부전시장↔서면2007년태진여객3호선 개통으로 인한 수요 감소, 46번으로 노선 변경
111-1(구)금곡동부산진시장화명주공↔덕천교차로↔만덕1터널↔미남역↔사직야구장↔법원.검찰청↔거제리↔부전시장↔서면1999년국제여객, 삼진여객2호선과 중복으로 인한 수요 감소, 111-2번으로 통합
112반송주공전포동반송시장↔금사사거리↔충렬사↔동래시장↔교대역↔거제리↔정묘사↔어린이대공원↔진구청↔밀리오레2007년대진버스과다 중복노선★
114울만중앙시장덕두↔강서구청↔구포↔모라↔서부터미널↔주례↔가야↔서면↔범내골↔국제호텔1985년화진여객마을버스로 전환
116구포문현동북구청 ↔모라 ↔서부터미널↔ 주례 ↔가야 ↔서면 ↔중앙시장 ↔문현안동네1988년태화교통126번과 통합
117성산에덴공원대저↔구포↔사상↔가야↔서면↔부산역↔남포동↔대학병원↔괴정1982년태화교통불명
118김해구산동좌천동김해시청↔선암다리↔구포↔덕포동↔주례↔개금↔서면↔범내골↔진시장↔보급창1990년한진여객128번과 중복노선, 통폐합
119반송충무동석대화훼단지↔금사사거리↔충렬사↔동래시장↔서면↔범내골↔부산역↔남포동1988년대진버스129번 및 도시철도 1호선과 중복으로 인한 수요 감소, 129-1번 신설을 위해 폐지
120(1기)만덕주공동성고교덕천역↔북구청↔북부시험장↔서부터미널↔주례↔가야↔서면1988년대도운수불명
120(2기)하단SK뷰만덕삼성아파트엄궁아파트단지↔서부터미널↔신모라↔북구청↔구포역↔신만덕2007년대도운수잘못된 노선단축으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폐선
122(구)김해(구산동)전포동선암다리↔대사리↔강서구청↔산업도로[26]↔사상공단↔냉정고개↔신암↔범내골↔상공회의소→동성고교→서면로터리1990년화진여객123번과 통합
124(구)제도신암대사리↔강서구청↔구포대교↔구포↔모라↔서부터미널↔주례↔개금↔가야↔범천동1995년화진여객마을버스로 전환
125불암역구포시장김해불암역↔선암↔수안마을↔시례마을↔대동면행정복지센터↔안막1구↔대저수문↔강서구청역↔평강역↔강서구청역↔구포시장2023년태영버스차고지 이전에 따른 폐선, 913번으로 대체
128김해(구산동)엄궁아파트단지김해향교↔활천동↔선암다리↔대사리↔평강↔강서구청↔구포역↔삼락공원↔북부면허시험장↔서부터미널↔학장입구↔학장반도보라아파트2012년금진여객, 성원여객, 태영버스부산김해경전철과 중복 노선
129반송부산진시장반송주공↔금사사거리↔충렬사↔동래시장↔동래역↔교대역↔시청↔양정↔부전시장↔서면↔범내골2011년대진버스4호선과 중복 노선★[27]
129-2수영(고려제강)구포2동수영본동↔수영교차로↔신리삼거리↔양정↔롯데호텔.백화점↔당감입구↔신개금LG↔신주례LG↔신모라↔구남마을2007년대진버스차고지 폐쇄로 인한 폐지★
130(구)김해(구산동)덕천역김해향교↔김해시청↔활천역↔지내동삼거리↔선암다리↔대사리↔평강↔대저안동네↔강서구청↔구포삼거리↔구포역↔구포시장2007년금진여객, 태영버스, 한진여객저수요 노선◎
130김해(구산동)장전역김해시청↔선암다리↔대저안동네↔강서구청↔구포역↔신만덕↔동래역↔온천장역↔부산대학교2015년금진여객124번 신설을 위해 폐지★
131(1기)? 아파트구포구포경유[28]1981년?[29]불명
131-1용호동부산대학교이기대입구↔경성대↔수영교차로↔연제구청↔양정↔하마정↔거제리↔사직운동장↔미남교차로↔동래지하철역→금정세무서2007년부일여객131번과 통합
132화명동전포동화명동↔수정역↔구명역↔신모라↔신라대입구↔사상역↔주례굴다리↔가야대로↔서면↔전포동2003년삼진여객저수요 노선
135한국해양대학교민주공원동삼동↔한진중공업↔영도대교↔국제시장↔보수동↔동아대병원↔혜광고교2015년신한여객잘못된 노선변경으로 인한 수요 감소, 이후 190번과 통합
137범어사입구당감동남산새벽시장↔구서시장↔장전역↔부산대학교↔온천장↔동래역↔거제리↔시청↔양정↔서면↔당감입구1989년삼신교통49-1번 신설을 위해 폐지
140송정구덕운동장해운대역↔올림픽교차로↔센텀시티.벡스코↔수영교차로↔문현교차로↔부산진역↔부산역↔중앙동↔국제시장↔보수동책방골목↔동아대부민켐퍼스↔동대신동2007년부산여객저수요 노선
142기장서면내리↔송정↔신시가지남부↔해운대역↔센텀역↔수영교차로↔신리삼거리↔연제구청↔부산시청↔전포초등학교↔서면한전2007년해동여객타 노선 및 도시철도 3호선과 중복을 이유로 폐지★
147서창금정세무서개운중학교↔신명마을↔덕계상설시장↔월평삼거리↔동면우체국↔노포역↔팔송↔두실↔금정구청2007년삼신교통저수요 노선
151구서아파트용당동부산대학교↔온천장↔수영↔경성대↔용소삼거리↔부산수산대[30]→시립박물관→남광시장→감만시장→용당세관1993년화신여객불명
151-1구서아파트용당동부산대학교↔온천장↔수영↔경성대↔남광시장→감만시장→용당세관→부산수산대[31]→용소삼거리1993년화신여객불명
157사직3동구포2동고속터미널↔사직야구장↔거제리↔부전시장↔서면롯데↔가야시장↔냉정고개↔서부터미널↔신모라↔구남시장1999년학성여객도시철도 2호선과 중복으로 폐선
157-1김해공항사직3동강서구청↔구명역↔신모라사거리↔개금사거리↔서면롯데↔부전시장↔거제리↔사직야구장↔구.부산백화점2006년학성여객저수요 노선◎
159강서구청하단역구남마을↔신모라↔서부산공고↔덕포초등학교↔서부터미널↔르네시떼↔감전동수문앞↔엄궁삼거리↔남태평양호텔2008년삼진여객저수요 노선, 일부 구간 마을버스로 대체
168(구)개금2동서면백병원↔신암↔동성고교1998년대명여객저수요 노선
168-1개금2동신암백병원↔서면↔동성고교1996년대명여객저수요 노선
173연산9동서부터미널연산교차로↔시청↔양정현대아파트↔부암교차로↔신개금↔신주례LG아파트↔신라대입구↔덕포초등학교1999년동성여객89-1번으로 변경
178브니엘고회동동금정구청↔장전역↔부산대학교↔온천장역[32]↔서동고개[33]↔서동초등학교↔라이프타운↔금사시장2008년세진여객저수요 노선
182(구)기장벡스코교리↔기장읍사무소↔용궁사↔송정해수욕장입구↔해운대역2007년해동여객181번과 통합
185(구)기장장산역교리↔기장읍사무소↔오신↔송정해수욕장입구↔부흥고등학교↔좌동사무소2005년부산여객저수요 노선
187(구)좌천동부터미널좌동삼거리 ↔정관면사무소↔월평삼거리↔동면우체국↔노포동터미널↔팔송↔두실역↔금정구청↔온천장역1997년동부여객37번과 통합
191에덴공원부산대학교동아대학교↔괴정↔부산터널↔교통부↔신암↔당감입구↔초읍↔거제리↔동래↔온천장1989년밀성여객불명
200(구)해운대남영아파트해운대역↔해운대경찰서↔동래한전↔동래시장↔만덕2터널↔만덕성당↔북구청↔서부산공고↔신라대입구2002년일광여객200-1번[34]과 통합
201김해공항서면한전서부산IC↔럭키아파트↔경남정보대↔개금사거리↔가야시장↔롯데호텔.백화점2012년대도운수부산김해경전철 개통 및 저수요로 인한 폐선
202식물원입구모라주공아파트금정초등학교↔부산대↔부곡시장↔온천입구↔동래전화국↔대동병원↔신만덕↔구포역↔북구청2007년일광여객3호선과 중복으로 인한 폐선
205남포동감만동세관앞↔2부두↔3부두↔4부두↔항만소방서↔5부두↔6부두↔7부두↔8부두1981년불명저수요 노선
211사직동명장안동네고속터미널↔우장춘기념관↔전자공고↔온천장↔온천입구↔동래전화국↔동래교교↔충렬사.서원시장→명장1동사무소1995년국제여객저수요 노선
221김해장유면하단역↔장유온천↔장유중학교↔김해롯데워터파크↔율하2지구↔수가마을↔조만포↔생곡↔하단역2023년태영버스차고지 이전에 따른 폐선, 220번 증차로 대체
222다대포충무동다대현대아파트↔장림삼거리↔구평고개↔감천사거리↔송도입구↔부산정보디자인고[35]↔서구청2006년동진여객, 영신여객저수요 노선
235사직동해운대(좌동)사직2치안센터↔미남역↔온천초등학교↔온천장↔동래고교↔연산토곡↔수영교차로↔운촌↔해운대역2005년국제여객, 부일여객, 세익여객저수요 노선
300(구)동아대학교김해국제공항하단역↔을숙도↔명지시장.새동네↔염막1구↔작지↔금호마을↔맥도자연생태공원↔공항입구↔국제선청사↔국내선2008년부산공항여객저수요 노선
301(구)영산대학교사직운동장덕계↔월평삼거리↔노포동↔남산새벽시장↔구서롯데캐슬↔부산대학교↔금강원입구↔럭키상가↔미남역2007년삼신교통301번과 통합
302-1송정구.법원북좌동↔해운대↔수영교차로↔남천동↔대연동↔문현교차로↔부산진역↔부산역↔중앙동↔(상)남포동/(하)국제시장2001년부산여객2003번 특급좌석버스로 변경
303에덴공원구포시장동아대↔엄궁삼거리↔감전동↔괘법동↔서부터미널↔모라↔구포역1985년태화교통불명
304서동태종대온천장↔동부터미널↔교대앞↔거제리↔하마정↔부전시장↔서면↔범내골↔보림극장↔부산역↔중앙동↔부산대교↔교통순찰대↔한진중공업↔청학동↔영도구청↔동삼하리↔해양대입구1984년삼화여객, 신한여객, 태종여객불명
305반송부산대학병원반여농산물시장↔서3동치안센터↔협진태양맨션↔충렬사↔경동APT↔연산8치안센터↔토곡한양APT↔연제예식장↔망미우체국↔부산지방병무청↔신리삼거리↔연제구청↔세정상업고교 ↔양정↔송공삼거리↔부전시장↔서면↔범내골↔부산진시장↔부산진역↔초량↔부산역↔남포동↔서구청2006년대진버스저수요 노선
306구포3동부산대학병원구포3동↔고려제과↔덕천초등학교후문[36]↔덕천주공↔신만덕↔제2만덕터널↔미남반도스카이뷰↔사직운동장↔법원.검찰청↔거제리↔부전역↔서면↔범내골↔부산진시장↔부산진역↔부산역↔남포동↔서구청2007년태진여객도시철도 3호선과 중복으로 인한 폐지
307-1김해공항해운대강서구청↔구포시장↔덕천역↔신만덕↔동래시장↔해운대경찰서2000년우진공항버스불명
308다대동입구당감4동장림시장↔신평↔하단교차로↔사하구청↔괴정시장↔대티터널↔서대신동↔동대시장↔부산터널↔부산역↔진시장↔범내골↔서면로터리↔진양교차로↔당감입구1985년광성여객, 영신여객, 현대여객불명
309김해(구산동)충무동김해시청↔평강↔강서구청↔삼락공원↔사상경찰서↔서부터미널↔구덕터널↔구덕운동장↔국제시장↔남포동2007년금진여객, 태영버스, 한진여객1004번 급행버스 신설을 위해 폐지
310김해공항충무동강서구청↔신모라↔서부터미널↔새벽시장↔학장입구↔구덕터널↔구덕운동장↔국제시장↔남포동↔대학병원2005년우진공항버스회사 부도로 인한 폐선
333부산역부산역부산고→부산컴퓨터과학고→민주공원→아르미나아파트→부산고2017년신한여객, 유한여객, 남부여객저수요 노선, 190번과 통합
347봉우아파트교대앞태원아파트↔덕계상설시장↔노포역↔팔송↔두실↔금정구청↔온천장역↔명륜동역↔동래역2004년삼신교통저수요 노선
378온천2동용당동동부터미널↔동래역↔동래시장↔연안교↔연산교차로↔신리삼거리↔문전역↔못골시장↔대연동부산은행↔석포여중2003년세진여객잘못된 노선변경으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폐선◎
501영선윗교차로영선윗교차로영선아랫교차로→남항시장→영도구청→동삼주택→동삼중리→75광장→청소년수련원→2송도곡각지→한국테크노과학고2006년신한여객,세진여객,남부여객저수요 노선
502안창마을까치고개안창마을입구↔성북고개↔동구청↔부산역↔남포동↔충무동교차로↔대학병원1998년삼성여객87번과 통합
503선암사입구동성고교주공사거리↔국제백양아파트↔당감사거리↔삼익아파트↔서면롯데백화점↔밀리오레→대우자동차→지오플레이스2006년태진여객69-1번과 통합◎
504반여3동교대앞재송동↔동부지청↔왕자맨션↔동래한전↔동래고교→세병교→교대앞→동래역→메가마트→동래시장→동래고2009년일신여객144번과 통합
505다대5지구대티역다대동↔장림동↔구평동↔감천삼거리↔괴정시장1997년동진여객마을버스로 전환
507고신대학교부산역동삼주택↔영도구청↔한진중공업↔미광마린타워↔부산대교↔연안부두↔중앙동2007년유한여객저수요 노선
510교대역온천장역대선주조↔사직야구장↔사직2치안센터↔달북초등학교↔화신아파트↔금강공원↔식물원↔온천화목타운↔소정천1997년국제여객마을버스 부산 버스 동래10부산 버스 동래10-1로 분리됨. 이후 동래10-1번은 저수요로 폐선
555강서구청역부산신항컨테이너터미널강서체육공원↔서부산유통단지↔명지새동네↔녹산농협↔르노삼성자동차↔화전산단↔부산신항만↔선창2021년삼진여객,금진여객,태진여객저수요 노선
586삼성여객토곡삼거리안남초등학교↔태광아파트↔부산소방본부↔경상대학↔현대아파트↔연일시장↔연산교차로2007년삼성여객저수요 노선◎

3. 급행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폐선연도운수사폐선사유
1005(구)기장서면기장교리↔반송↔반여1동↔안락교차로↔연안교↔연산교차로↔부전시장↔서면롯데백화점2012년[37]부산여객, 세익여객, 해동여객차고지 이전으로 인한 폐선★
1006(구)해운대정관스펀지↔장산지하철역↔신도시시장↔송정해수욕장↔내리초등학교↔기장2주공↔기장시장↔일광역↔화전리↔좌천↔정관2012년[38] [39]부산여객, 세진여객, 해동여객, 부일여객, 일광여객차고지 이전으로 인한 형간전환
1010??2023년 11월 10일 마지막 운행[40]좌석버스 차량 가스 주유 문제로 인하여 전기버스를 도입하기 위해 106번으로 전환


4. 특급좌석버스[편집]


특급좌석버스는 2004년 초반에 모두 폐선되었다.
번호기점종점경유지폐선연도운수사
2001해운대충무동중1동↔해운대역↔벡스코↔광안리입구↔경성대↔문현교차로↔부산진역↔부산역↔남포동2002년부산여객
2002(1기)해운대하단좌1동↔해운대역↔벡스코↔광안리입구↔경성대↔문현교차로↔부산역↔대신동↔괴정동1999년부일여객
2002(2기)해운대공항좌1동↔해운대역↔벡스코↔동래시장↔만덕2터널↔덕천교차로↔구포역2002년부일여객
2002(3기)해운대노포동좌1동↔해운대역↔벡스코↔동래시장↔온천장역↔두실역↔범어사역2004년부일여객, 삼신교통, 해동여객
2003송정충무동송정↔대동아파트↔해운대역↔경성대↔문현교차로↔부산진역↔부산역↔남포동↔대학병원↔구.법원↔국제시장2002년부산여객


5. 형간전환으로 다른 번호로 바뀐 노선[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폐선연도운수사변경 후의 번호
98다대포서면다대포↔다대현대아파트↔장림현대아파트↔장림중소기업은행↔롯데마트↔신평↔신평입구↔부영아파트↔영주터널입구↔YMCA↔중앙시장↔네오스포↔서면2007년동원여객1000
239기장부산역송정↔미포↔해운대역↔수영교차로↔경성대학교입구↔대연고개↔부산진시장↔부산진역2007년부산여객1003
240해운대(좌동)하단신시가지↔해운대역↔수영교차로↔자성대↔부산역↔대티터널2007년부일여객1001
247서창재송동장백아파트↔덕계↔노포동↔두실↔부곡시장↔동래시장↔해운대경찰서↔재송볼링장2007년삼신교통1002
302송정부산대학병원해운대백병원↔해운대해수욕장↔센텀시티.벡스코↔경성대학교↔문현교차로↔부산역↔남포동2007년부산여객1003
126-1금곡동가덕도선창율리역↔낙동고등학교↔덕천역↔김해공항↔명지새동네↔명지신도시↔르노삼성자동차↔부산신항2011년금진여객, 삼진여객, 성원여객1009
1006해운대정관장산역↔송정↔내리↔기장시장↔일광↔화전↔좌천↔예림리↔정관면사무소↔정관신도시2012년부산여객, 부일여객, 일광여객, 해동여객182
99-1회동동시청금사시장↔라이프타운→/←금사입구↔세웅병원↔명장정수사업소↔충렬사.서원시장↔연산교차로↔시청↔양정청소년수련원2012년세진여객1010
1007정관센텀시티정관신도시↔철마↔번영로(오전)/반여1동(오후)↔왕자맨션↔재송동2015년세진여객10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41:28에 나무위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폐선 시기 기준[2] 현 6번[3] 현 10번[4] 현재의 롯데백화점 동래점[5] 폐선된 회차지인 신리삼거리로 변경당시 노선은 부산대학교↔부곡시장↔서동고개↔세웅병원↔명장조양맨션↔안락초↔서원시장↔동래역↔신리삼거리 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노선이 변경 되었고 기존 금사교차로 가던 노선을 서동중심로(세웅병원 우회전) 변경, 명장안동네 미경유로 변경하였다.[6] 현 29번[7] 현 29번[8] 2호선 개통 전에는 서면까지 가던 노선이었으며, 고수익 노선이었다. 항목 참고[9] 현 성지고교[10] 원래 온천2동 출발 노선 이었으나 2006년 4월 세진여객이 온천2동 영업소를 매각하고 나서 계열사인 삼화여객 서동본사로 연장하게된다[11] 현 올림픽교차로[12] 현 해운대관광고교[13] 현 올림픽교차로[14] 현재의 미남역[15] 원래 서창↔침례병원↔온천장입구↔동래↔안락교차로↔해운대경찰서 노선이었는데 98년도 247번이 개통으로 범어사입구로 단축 되었다.[16]부산 버스 1002[17] 삼화여객 차량은 임의대로 범어사입구까지만 가기도 했다.[18] 현 49번[19] 링크되어있는 노선은 당시 노선과는 무관하다. 밑에 노선정보가 서술되어 있으니 참고.[20] 개통초기엔 충무동까지 갔었다.[21] 현 59번[22] 사실 66번의 경우 66이라는 번호만 사라지고 노선 자체는 17번이라는 노선으로 거의 비슷하게 인계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기존의 17번이 171번으로 변경되며 이 과정에서 당감동의 반발이 엄청났으며, 특히 서병수 시장의 눈가리고 아웅식 17번 지켜내기는 시민들에게 엄청난 비판과 조롱거리가 되었다[23] 엄광로 구간. 도시철도 중심 개편에서 186번을 해당 구간으로 투입하려는 계획이 있었다[24] 현 80번[25] 현 108번[26] 현 낙동대로[27] 이때 129번 폐지 노선분을 타 노선에 투입하지 않고 순감차분으로 활용하여 논란이 되었다[28] 오래전에 폐선된 노선이라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역사 참조. [29] 폐선 당시 남은차량을 32번에 투입했다고 한다.[30] 현 부경대 대연캠퍼스[31] 현 부경대 대연캠퍼스[32] 삼화여객이 운행했을 시절에는 한때 오시게로로도 운행했었다. 즉 금정6번. 금정6-1번의 종점을 경유했었다.[33] 155번 차고지이자 삼화여객 본사 앞으로 지나갔었다.[34] 현 200번[35] 현 부산관광고교[36] 2015년 기준 북구 1-1번이 편도경유하는 구간이다.[37] 2014.12.27. 용원~지사산단 운행으로 재신설[38] 2012.5.27. 182번으로 형간전환[39] 2018. 2. 3. 태종대~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 운행으로 재신설[40] 2023년 11월 11일 106번으로 형간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