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5호선/역 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부산 도시철도 5호선


1. 역 목록


1. 역 목록[편집]


  •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역번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5010.0사 상沙 上││■(지하2층)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경전선
사상구
5021.1새벽시장새벽市場■││■ (지하2층)
5031.8사상스마트시티沙上스마트시티??
5042.7학 장鶴 章│■│(지하1층)
5054.0엄 궁嚴 弓│■│(지하2층)
5065.9동아대東亞大■││■ (지하2층)사하구
5076.9하 단下 端■││■ (지하3층) 1호선
508강 변
(하구언)
[하단포구역]
江邊(河口堰)│■│ (지하7층)
509을숙도乙淑島■││■ (지하1층)
510사취등沙聚嶝■││■(지상2층)강서선강서구
511명 지鳴旨■││■ (지하1층)
512명지국제신도시鳴旨國際新都市■││■ (지하1층)
513서부법원·서부검찰청西部法院·西部檢察廳■││■ (지하1층)강서선
514중 신中 新■││■(지상3층)
515하 신下 新│■│ (지상3층)신호차량기지 인입선
516신 호新 湖│■│(지상3층)
517강서송정江西松亭│■│ (지상3층)
51813.47녹 산菉 山
(菉山産業工團)
■││■ (지상3층)

승강장형식은 부산광역시가 행했던 이전의 관습과는 다르게 기종점역이 섬식승강장이 아니다. 일단 해당 구간은 모두 지하구간인데, 기존 노선들이 조금이라도 지상구간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 또한 파격적이다.[1] 허나 이것도 명지 쪽으로 연장되면 지상구간이 생긴다.[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문서의 r4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문서의 r4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40:20에 나무위키 부산 도시철도 5호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하단포구역] 모 지역정치인이 내걸은 현수막에는 하단포구역이라고 적혀있다. 물론 둘 다 가칭이므로 이후 지명위원회 등에서 명칭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1] 홍보물에서도 이것만큼은 강조하고 있다.[2] 하지만, 최근 기사에 따르면, 하단에서 명지 입구까지는 침매터널로 건설되고, 명지 국제신도시 구간은 광주 2호선에 사용되는 저심도 방식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에 부산 5호선 전체 노선이 지하가 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