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오버워치)

최근 편집일시 : (♥ 0)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ExcitedAndLoudMiddle, 합의사항1=영웅-갤러리-대사 틀을 영웅 틀로 합함,
토론주소2=PumpedTacitLonelyBean, 합의사항2=현상의 '영웅/갤러리/대사/스토리' 틀 형태를 유지하되\, 가변형 레이아웃을 이용하고 영웅의 고유 시그니처 컬러를 제거,
토론주소3=GreedyBusyGrandioseSpring, 합의사항3=틀의 폭은 가로 100%로 하며\, 역할군 표시 칸 - 영웅 나열 칸은 서로 가로로 배치)]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영웅 목록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1
## ## 이하 영웅 항목 ##
}}}



인게임 내 영웅 갤러리 설명
VENTURE
벤처
본명Sloane Cameron
슬론 카메론
역할군공격
성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시우
파일:미국 국기.svg 발레리아 로드리게즈
파일:일본 국기.svg
출시일
2024년 3월 29일~4월 1일(선행 출시)
2024년 4월 17일(라이브)[1]
이 틀에서는 게임 관련 내용만 다룸. 스토리 관련 정보는 스토리를 참고.

1. 개요
2. 기본 정보
5. 능력 정보
5.1. 지속 능력 - 역할: 공격(Role: Damage)
5.2. 지속 능력 - 굳센 탐험가(Explorer's Resolve)
5.3. 지속 능력 - 갈아 버리기(Clobber)
5.4. 기본 무기 - 스마트 굴착기(Smart Excavator)
5.5. 좌Shift - 잠복(Burrow)
5.6. 우클릭 - 드릴 돌진(Drill Dash)
5.7. Q - 지각 충격(Techtonic Shock)
6. 운용
7. 성능
7.1. 장점
7.2. 단점
8. 평가
8.1. 경쟁전
8.2. 프로 대회
9. 상성
9.1. 돌격
9.2. 공격
9.3. 지원
10. 궁합
10.1. 타 영웅
10.1.1. 돌격
10.1.2. 공격
10.1.3. 지원
13. 패치 노트
14. 출시 전 정보
15. 기타
15.1. 2차 창작



1. 개요[편집]


벤처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 시리즈영웅이다.


2. 기본 정보[편집]





○○○ 테마곡

영웅 소개 문구


역사를 만들어보자!
(영어 원문)

영웅 선택 대사

2024년 3월 29일에 공개되었다.

PC방에서는 영웅 잠금 여부 상관없이 모든 영웅을 플레이할 수 있다.

전용 도전 과제 목록 【펼치기 / 접기】
도전 과제
(영웅 이름)을 위한 승리
일반전 또는 경쟁전 또는 똑같은 영웅도 환영에서 역할 자동 배정 또는 ?? 영웅으로 게임 35회 승리



3. 스토리[편집]


시네마틱, 코믹스, 소설 등의 행적을 포함한 인간 관계 및 스토리 관련 내용은 템플릿:오버워치/영웅/스토리으로 작성해 주세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웅이름/스토리)]


4. 대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벤처(오버워치)/대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능력 정보[편집]


소개 영상

역할생명력
파일:Dark_Circle_Damage.svg
공격
기본 250
+ 최대 보호막 75(지속 능력에 의해 발생)[2]
||
## 하얀 칸 10개, 파란 칸 3개, 기타 칸 1개 = 총 14개
생명력 정보
기본
방어력
보호막
추가 생명력
||
기본 능력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년 ?월 ?일
  • 패치 내용
- 패치 설명




5.1. 지속 능력 - 역할: 공격(Role: Damage)[편집]


파일:Damage.svg적에게 피해를 주면 일시적으로 대상이 받는 치유량을 감소시킵니다.
지속 시간: 2초
받는 치유량 감소: 15%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4년 2월 14일: 능력 리메이크



5.2. 지속 능력 - 굳센 탐험가(Explorer's Resolve)[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기술을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보호막을 얻습니다.

벤처의 근거리 난투 유지력을 챙겨주는 패시브로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40의 추가 보호막을 얻는다. 보호막은 최대 75까지 중첩되며, 궁극기를 사용할 경우 한번에 최대 중첩 가능한 양인 75의 보호막을 얻는다.


5.3. 지속 능력 - 갈아 버리기(Clobber)[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빠른 근접 공격이 더 큰 피해를 줍니다.

근접공격이 보통 무기나 주먹으로 가격하여 한번에 40의 피해를 입히는 다른 영웅들과 달리 드릴로 공격하여 6번에 걸쳐 연속피해를 입히는 방식으로 최대 70의 피해를 입히며 여러번 피해를 주는 만큼 딜레이가 길다.

피해가 70으로 높은 편에 평타-평타-드릴 돌진-근접 공격이면 순식간에 330딜을 넣는 게 가능하기에 근접전을 할 때 중간중간 근접 공격을 섞어주는 게 좋다.


5.4. 기본 무기 - 스마트 굴착기(Smart Excavator)[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지진 충전물을 발사합니다. 충전물은 짧은 거리를 날아간 뒤 폭발합니다.
공격 유형: 투사체
탄환 수: 8발
공격력: 최대 80
치명타 판정: 없음
공격 유형:
탄환 수:
공격력 or 치유량:
항목04:
항목05:
항목06:
항목07:
항목08:
항목09:
항목10: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탈출 가능

(부가 설명)
갤러리 【펼치기 / 접기】

시네마틱 《이름》
하이라이트 연출 '이름'
게임 내 모습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대사 (영어 대사)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년 ?월 ?일
  • 패치 내용
- 패치 설명


드릴과 로켓 추진기가 달린 양손 무기로 드릴의 날이 4갈래로 갈라져서 드러나는 총구에서 지진 충전물을 발사하여 공격한다. 스킬을 사용하거나 근접 공격 시 갈라진 드릴이 합쳐져서 돌아가며 드릴의 날을 내밀어 공격을 한다. 충전물은 약 15m까지 날아가며, 헤드샷이 없는 투사체형 공격이다. 최대 사거리에 도달하거나 지형지물, 적 영웅에게 명중 시 폭발하며 범위 피해를 준다.[3]

피해량은 직격 기준 80으로 높은 편이고 폭발식이라 맞추기도 비교적 쉽지만 사거리가 상당히 짧아 거리조절이 필요하다.

5.5. 좌Shift - 잠복(Burrow)[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땅 속으로 이동하며 피해에 면역이 됩니다. 땅 위로 솟구칠 때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항목02:
항목03:
항목04:
재사용 대기시간:
항목02:
항목03:
항목04:
항목05:
항목06:
항목07:
항목08:
항목09:
항목10: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탈출 가능
갤러리 【펼치기 / 접기】

시네마틱 《이름》
하이라이트 연출 '이름'
게임 내 모습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대사 (영어 대사)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년 ?월 ?일
  • 패치 내용
- 패치 설명


스마트 굴착기의 드릴을 이용해 땅속으로 파고들어 지속 시간동안 땅밑을 헤집으면서 이동한다. 땅 밑에 있는 동안에는 피격 판정 자체가 아예 사라져 무적 상태가 되며[4] 이동속도가 소폭 상승한다. 잠복 상태에서는 무기를 사용할 수 없어 공격이 불가능하지만 드릴 돌진 스킬은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드릴 돌진 스킬의 쿨타임이 4초로 감소하는 대신 수평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며 충돌 피해가 있으니마나한 수준이 된다. 또한 계단이나 점프없이 지날 수 있는 낮은 턱은 무리없이 통과가 되지만 점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금만 턱이 높아도 이동에 제약이 생긴다. 잠복으로 이동 도중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경우 잠시 튀어나와서 떨어지고 바닥에 착지와 동시에 다시 파고들어 이동하는데 이 잠깐 동안에는 몸이 노출되어 피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지속시간이 종료되거나 도중에 좌클릭을 눌러 사용을 취소하면 튀어나오면서 주변에 넉백 피해를 준다. 직접 죄클릭을 눌러 튀어나오는 경우 키를 누르고있는 동안 에너지를 충전하고 떼는 순간 튀어오르는데 오랫동안 충전할수록 더 높이 튀어오르면서 주위에 적들에게 더 크고 넓은 넉백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단, 에너지 충전 도중에는 제자리에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능하다.

쿨타임은 땅 밖으로 나온 순간부터 돌아간다.

라이프 위버의 연꽃 단상이나 바닥이 벤처의 덩치보다 훨씬 얇은 곳에서 잠복하더라도 돌이 튀기는 이펙트만 나올 뿐 바닥 아래에 벤처의 몸이 있지는 않기에 어떤 각도에서도 피격에 면역이 된다.

잠복 사용 시에는 자동으로 재장전이 된다.

5.6. 우클릭 - 드릴 돌진(Drill Dash)[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앞으로 돌진해 적을 뒤로 밀쳐냅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항목02:
항목03:
항목04:
재사용 대기시간:
항목02:
항목03:
항목04:
항목05:
항목06:
항목07:
항목08:
항목09:
항목10: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갤러리 【펼치기 / 접기】

시네마틱 《이름》
하이라이트 연출 '이름'
게임 내 모습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대사 (영어 대사)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년 ?월 ?일
  • 패치 내용
- 패치 설명


스마트 굴착기의 추진기를 이용해 바라보는 방향의 직선상으로 빠르게 돌진하면서 드릴로 공격한다. 돌진은 겐지의 질풍참처럼 공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수평/수직 방향으로 모두 이동이 가능하며 돌진 도중 적과 충돌 시 대미지와 함께 뒤로 밀쳐낸다.

잠복 사용 도중에도 사용이 가능한데 이때는 땅밑에서 수평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충돌 피해도 5로 거의 없는 수준이 되지만 넉백 효과는 그대로이며 쿨타임이 4초로 줄어든다. 잠복의 지속 시간이 4초이므로 잠복을 사용하자마자 드릴 돌진을 쓰면 잠복 종료 후 0~1초만에 다시 드릴 돌진을 쓸 수 있다.

5.7. Q - 지각 충격(Techtonic Shock)[편집]


파일:아이콘이미지피해를 주는 충격파를 발사합니다.
궁극기 충전량: [5][6]
항목02:
항목03:
항목04:
궁극기 충전량: [7][8]
항목02:
항목03:
항목04:
항목05:
항목06:
항목07:
항목08:
항목09:
항목10: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갤러리 【펼치기 / 접기】

시네마틱 《이름》
하이라이트 연출 '이름'
게임 내 모습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대사 (영어 대사)
  • 발굴 개시!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년 ?월 ?일
  • 패치 내용
- 패치 설명


4발의 충격파 탄약을 장전하여 지속 시간 동안 전방으로 충격파 공격을 날린다. 충격파는 라인하르트의 대지 분쇄 처럼 부채꼴 형태로 지면을 타고 이동하며 범위가 약간 더 넓다. 충격파의 피해량은 130정도로 꽤 준수하며 약간의 넉백 효과도 있기 때문에 난전 상황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단,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벽 뒤, 혹은 너무 높은 벽 위에 있는 적은 공격할 수 없다.

6. 운용[편집]


근거리+콤보 형식의 딜링 방식, 높은 기동성, 추가 생명력 등 여러모로 딜러 시절의 둠피스트와 비슷한 구성을 하고있다.

7. 성능[편집]



7.1. 장점[편집]



잠복과 드릴 돌진 두 스킬 모두 이동기이자 생존기로 잠복은 사용시 4초간 땅속으로 들어가 무적판정이 되며[9] 다시 지상으로 나올때 높게 수직 기동을 한다. 드릴 돌진은 겐지의 질풍참과 같이 보는 방향으로 20m를 빠르게 이동하는 기술이다. 두 스킬 다 치고 빠지기에 용이해 돌진기로도 생존기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거기에 패시브의 효과로 두 스킬을 사용시 보호막이 풀 충전되어 75의 추가 체력도 생겨 생존성이 더욱 좋아진다.
궁극기 지각 충격의 코스트는 1800으로 딜러의 궁극기 치고는 무난한 코스트지만 벤처의 순간화력이 아주 좋아 몇번 치고박으면 궁극기의 충전의 체감 속도가 꽤 빠르다. 사용 시 전방 25m로 넓게 퍼지는 130딜의 지각 충격을[10] 총4번 발사해 맞은 적들에게 에어본을 적용하는 방식이라[11] 사용 난이도도 상당히 낮은 궁극기로 그냥 에임을 대고 클릭만 하면 되는 구조인데 반해 궁극기의 범위나 횟수가 넉넉해 사용 난이도에 비해 효율이 좋은편이다.

딜러 답게 모든 스킬 하나하나가 다 고화력으로 스킬을 연계 시 체력 250~300의 영웅은 원콤도 가능하다. 드릴 돌진+평타+근접공격으로 250체력의 영웅은 원콤이 가능하고 이 콤보에 평타를 한번 섞을시 300짜리 영웅도 원콤이 가능하다.[12] 이외에도 모든 공격의 화력이 높은데다 기동성이 높은 근접 영웅이다보니 제대로 물고 늘어지면 탱커들도 무시못할 화력을 낼수 있어 스킬 연계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 최대 화력이 높아지기도 한다.

벤처의 근접공격은 패시브로 인해 다른 영웅의 근접공격 35딜의 2배인 70딜을 욱여넣을수 있어서 겐지,둠피스트,정커퀸 등의 영웅들처럼 근접공격의 중요성이 상당히 높다. 거기다가 틱뎀으로 4번에 걸쳐 공격하며 판정도 꽤 넉넉해서 여러명에게 근접해 한번에 많은 딜을 욱여넣을수도 있다. 여러모로 근접 전투가 많은 벤처에겐 쏠쏠한 능력이다.

7.2. 단점[편집]


보호막 생성,이동기,공격기등 모든 능력을 스킬이 겸하고 있어 패시브를 포함한 모든 능력이 스킬에 크게 관여해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면 벤처는 그저 사정거리 15m의 유리대포밖에 되지않는다.

벤처는 모든 기술을 다 써도 최대 사정거리가 25m밖에 되지않는 완벽한 근접전 영웅이다. 즉 원거리 대응을 위해서라면 있는 스킬 다 써가며 본인이 다가가야 한다. 하지만 다른 근접 영웅들과는 다르게 벤처는 모든 이동기가 화려하고 사운드도 커서 어그로가 많이 끌리는데에 비해 이동기의 이동속도는 꽤 느린편이라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거리를 좁히는 방법도 녹록치 않다. 그렇기에 원거리 대응 기술이 전무한 벤쳐는 원거리에서 그냥 두들겨 맞던지 온갖 어그로를 끌며 정면에서 대놓고 거리를 좁히는 수밖에 없다.

근접 영웅인 벤쳐는 근접에서 순식간에 상대를 녹이는 순간 화력은 탁월한 편이지만 지속 화력은 1초에 2발 밖에 못쏘는 평타 스마트 굴착기밖에 없다. 그렇기에 상대가 원거리 포킹 조합이나 벤처가 따라잡지 못할 돌진 조합을 들고오면 벤처는 할수있는게 없다.

대부분의 근접 영웅들이 으레 그렇듯 벤처도 근접 암살에 실패해 스킬 관리가 똑바로 안될시 아군의 케어가 없다면 그냥 본인이 맞으러 찾아온 샌드백밖에 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른 근접 영웅들과의 차이라면 겐지,트레이서,둠피스트 등 근접 암살자 영웅들은 암살에 실패하더라도 바로 도망가거나 방어스킬로 버틸수 있지만 벤처의 경우 드릴 돌진을 제외하면 빠르게 적과 거리를 벌릴 기술도 본인을 지킬 방어기술도 없다.

잠복은 땅속으로 들어가면 무적판정이 되어 긴급 상황에서 탈출하거나 적에게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반대로 치유를 포함한 버프 효과도 받지 못하며 땅속에 들어가는 순간 받고있던 효과들도 모두 끊긴다.[13] 게다가 공용 자가 치유 패시브도 1초를 남기고 안켜져서 잠복 사용 중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은 힐팩 밖에없다.

9시즌의 판정 대 격변 이후에 나온 영웅이기에 벤처도 기본적으로 히트박스가 매우 크고 기본 자세도 허리를 굽히고 있는 모양새라 젠야타처럼 호리호리한 디자인에 비해 꽤나 맞추기 쉬우며 커다란 코트와 배낭을 메고 무기도 딜러치곤 꽤 큰편이라 전체적으로 딜러치고는 히트박스가 크다. 거기다가 공격 판정은 후하지만 벤처 본인의 피격 판정은 엄청 빡빡해서 잠복을 사용할 시 땅속에 들어가면 무적이지만 땅에 완전히 몸이 다 들어가기 전까진 판정이 그대로 지상에 남아있어 땅에 들어가기 직전에 얻어맞으면 그대로 데미지를 입는다. 몸이 완전히 땅속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판정이 그대로 지상에 있기에 발 한짝이라도 지상에 남아있으면 돌진,로켓펀치,갈고리 등의 공격에도 그대로 맞아 잠복이 끊기기도 한다.

벤처의 모든 기술은 선딜레이가 꽤 긴편으로 즉발성 기술은 드릴 돌진밖에 없다. 잠복도 땅속에 완전히 들어갈때까진 0.5초의 딜레이가 있고 잠복하는 높이에 따라 이 딜레이는 더더욱 길어진다. 평타인 스마트 굴착기도 0.4초의 딜레이가 있고 근접 공격도 틱뎀이다보니 공격 시간이 길고 딜레이도 0.8초로 다른 영웅의 근접공격보다 훨씬 딜레이가 길어 전체적으로 근접 영웅 치곤 빈틈이 많다. 그렇기에 다른 근접 영웅들처럼[14] 한순간에 콤보를 욱여넣는건 불가능하고 시그마처럼 차례차례 순서를 밟아가며 스킬 콤보를 넣어야한다. 여기서 문제라면 시그마는 중거리 영웅인데다 방벽과 키네틱 손아귀등 자신을 지킬 방어스킬도 있어 차근차근 콤보를 때려박으면 되지만 벤처는 근접 영웅인데다 자신을 지킬 방어수단도 없어서 그저 패시브 보호막 수급으로 맞아가면서 콤보를 때려 박을수밖에 없다.

8. 평가[편집]


기동성이 높고, 뛰어난 순간 딜링 능력을 가진 서브딜러. 유효 사거리가 짧은 대신 높은 기동성을 받아 우회, 교란에 능하다.

8.1. 경쟁전[편집]




8.2. 프로 대회[편집]




9. 상성[편집]



9.1. 돌격[편집]















9.2. 공격[편집]














히트박스가 넓은 벤처는 캐서디의 평타를 상당히 잘 맞으며 캐서디에게 대놓고 잠복을 쓰면 "나 수류탄 붙여주세요"하고 광고하는 꼴이다. 궁극기 시전 중인 캐서디를 궁으로 올려버린다면 석양각이 넓어지기에 캐서디를 띄우지 말자.





9.3. 지원[편집]













10. 궁합[편집]



10.1. 타 영웅[편집]



10.1.1. 돌격[편집]












진입한 벤처를 방벽으로 케어하기 좋으며 궁극기 연계도 상당하다.


10.1.2. 공격[편집]













캐서디는 벤처의 짧은 사거리를 어느정도 커버해 줄수있고, 벤처는 잠복이나 궁으로 적을 띄워서 석양과 연계를 하는 등 캐서디와의 꽤 궁합이 좋다.





10.1.3. 지원[편집]













10.2. 전장[편집]




11. 관련 업적 및 도전과제[편집]


업적보상
귀요미 업적명 (영어명)

귀요미 업적 해금 방법
파일:벤처 스프레이 귀요미.png
"귀요미" 스프레이
픽셀 업적명 (영어명)

픽셀 업적 해금 방법
파일:벤처 스프레이 픽셀.png
"픽셀" 스프레이


12. 영웅 갤러리[편집]




13. 패치 노트[편집]


라이브 서버 기준



14. 출시 전 정보[편집]


블리즈컨 2023 1일차에, 12시즌에 나올 지원가 스페이스 레인저와 동시 공개되었다. 추가로 벤처의 게임 플레이 영상의 일부가 공개되었는데, 드릴처럼 생긴 투사체 무기를 사용하고, 무기로 땅을 파 땅속에 잠복해 있다가 튀어 나오면서 구역에 피해를 주는 스킬, 전방으로 짧게 돌진하는 스킬이 확인되었다.


15. 기타[편집]


파일:오버워치 벤처 콘셉트 아트.png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벤처의 콘셉트 아트



그리고 아트 총괄 디렉터와 똑같이 생겼다.






15.1. 2차 창작[편집]






[1] 경쟁전에서는 출시 ?주 후인 2024년 4월 ??일에 활성화되었다.[2] 앞서 해보기(24/03/29~24/03/31) 기준[3] 시그마의 초구체와 유사한 매커니즘으로 벽에 튕기지만 않는다고 보면 된다.[4] 단, 유사한 무적스킬인 리퍼의 망령화, 모이라의 소멸 등의 스킬과는 판정이 약간 다른데 완전 무적은 아니고 피격 판정만 사라지는 방식이라 힐밴, 부조화, 부상 등의 디버프까지 해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적군의 피격 판정만 사라지는 망령화와는 달리 벤처의 잠복은 아군의 피격판정도 사라져서 땅밑에 있는 동안에는 아군 힐러의 치유도 제대로 못 받는다. 힐팩은 정상적으로 먹을 수 있다.[5] 준 피해량 및 치유량 1당 1 포인트만큼 충전된다고 가정한다. 참고[6] 궁극기는 전투 시작 후 초당 5 포인트씩 자동으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아무런 공격이나 치유도 안 하고 기다리면 궁극기가 완전히 충전되는 데 ?분 ?초가 걸린다.[7] 준 피해량 및 치유량 1당 1 포인트만큼 충전된다고 가정한다. 참고[8] 궁극기는 전투 시작 후 초당 5 포인트씩 자동으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아무런 공격이나 치유도 안 하고 기다리면 궁극기가 완전히 충전되는 데 ?분 ?초가 걸린다.[9] 무적 판정이 되기에 해킹,화상,둔화등 모든 상태 이상도 땅속에 들어가면 바로 풀린다.[10] 이와 비슷한 메커니즘을 가진 스킬은 오버워치 1의 딜러시절 둠피스트의 지진강타와 스킬 메커니즘이 상당히 유사하다. 물론 이쪽은 궁극기인만큼 범위도 더 넓고 데미지도 더 강하다.[11] 전방 범위 말고도 수직 범위도 꽤 넓어서 이동기를 써서 하늘을 날지 않는한 거의 대부분 맞는다. 겐지의 2단 점프가 아슬아슬하게 맞을정도로 수직 판정도 좋다.[12] 잠복,드릴돌진을 사용시 둠피스트처럼 벽을끼고 사용 시 벽에 부딪히는 판정으로 인해 틱뎀이 2번 중첩되어 250짜리 영웅도 스킬 하나에 원콤이 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판정 버그일 확률도 있어서 이후 본섭 적용시 수정될수도 있다.[13] 지상에서 루시우,정커퀸에게 이속 버프를 받던 도중 땅속으로 잠복할시 받고있던 이속 버프도 끊기며 땅속에 있는 벤쳐의 위에서 키리코의 방울이나 아나의 생체 수류탄 등을 던져도 전혀 받지 못한다.[14] 둠피스트의 스킬콤보,겐지의 우근질,트레이서의 트풍참 등등[15] 한 시즌에 2개월, 그것도 2시즌마다 한 명씩 나오니 4개월에 고작 하나가 나오는 셈이다.[16] 성소수자 캐릭터를 추가하는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더라도, 캐릭터 출시 이후 몇 달 내지 몇 년이 지나서야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여론도 적지않게 존재한다.[17] 서양 논바이너리들 사이에서는 '지정 성별' 이라고도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