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쉬빌급

덤프버전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 잠수함(SS)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바라쿠다급 (2대)R, 탱급R, 그레이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N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GN오하이오급*
SSBN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FFG(X))}
구축함구축함(DD)플레처급 구축함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순양함(CL, CA)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LHA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이오지마급R
LHD와스프급
LPD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뉴포트급R
LSV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스피어헤드급
소해함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재래식 항공모함(CV)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 항공모함(CVN)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대형호위함(범선)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파일:k68wiwcno29y.jpg

1. 개요
2. 제원
3. 개발 목적
4. 개발과 활동
5. 개량형
5.1. PSMM
5.2.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
6. 애쉬빌급 고속정 목록
6.1. 미국
6.5.1. 대한민국의 백구급 고속정 목록
7. 관련 항목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합중국 해군을 위해 개발된 건보트이다. 쿠바 미사일 위기에 대응해 개발했으며, 함급 명칭은 북캘리포니아의 도시에서 따왔다. 현재 대부분은 퇴역되어 박물관으로 쓰이거나 고철로 폐기됐다. 2척을 제외하고 거의 다 그리스, 터키, 콜롬비아, 한국으로 팔렸다.


2. 제원[편집]


애쉬빌급 건보트
Asheville-class gunboat
배수량244톤
전장50.1m
전폭7.3m
흘수2.9m
승조원24명
이전급PGM-39급
다음급미국없음
대한민국백구급[1], 참수리급
동력방식CODOG
기관커민스 VT12-875 디젤 엔진 × 2기
제너럴 일렉트릭 LM1500 마린 가스터빈 × 1기
최고 속력일반16노트 (약 30km/h)
가스터빈 사용42노트 (약 78km/h)
레이더무장통제Mk.63
사격통제AN/SPS-50
대함AN/SPS-53
무장함포3인치 50구경장 Mk.34 양용포 × 1문
보포스 40mm 60구경장 Mk.10 대공포 × 1문[2]
기타2연장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2정


3. 개발 목적[편집]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소련 상선들을 놓칠 뻔했던 사건은 미 해군에게 반응이 느린 기존의 증기터빈 구축함들 대신 고속으로 이동하여 적성국가의 고속함선들과 교전을 벌일 고속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했다.

결국 1960년대 미 해군은 우선 기존 함형에 반응성이 기민한 함선용 가스터빈 엔진을 장착한 고속정을 우선 취역시키고 수중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 수중익을 접목한 고속정을 차후 주력으로 삼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4. 개발과 활동[편집]



파일:01d404cee13274e339ca299eb75bd38589b01e263f91be0f8b34b4fc63a51843.jpg

애쉬빌급은 그러한 목적하에 탄생했다. 목표 추적용 레이더가 단독으로 달려있어 고속으로 이동하는 함선에 대한 독자적 추적이 가능했던 3인치 Mk34함포 1문과 보조적 대함임무를 맡은 보포스 40mm 포1문, 그리고 함선 수색 중 수상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4정으로 무장했다

파일:473f9d894b41e25d0bc23f8e7ebefc12a65f5b542b40aaa16873b234fc121ae0.jpg

하지만 정작 취역하자 원래 상정하던 작전구역이었던 카리브해가 소련과 미국의 화해로 조용해진 탓에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인도차이나로 보내진다. 당연히 북베트남 해군과의 대규모 전투가 있을 리 없었고 애쉬빌은 해안 초계외엔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한다.

그 후 스프루언스급같이 가스 터빈 엔진을 장착한 대형함이 건조되자 원양 항해능력도 부족한 애쉬빌급은 배치된지 10년만에 퇴역하고 타국에 공여된다.


5. 개량형[편집]



5.1. PSMM[편집]


미사일로 Hsiung Feng 또는 엑조세 MM-38 SSM 4발을 장착할 수 있고, 보포스 40mm Mk10 포를 장착한 버전.


5.2.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편집]


한국 위키피디아 문서 참고
대한민국 해군에서 애쉬빌급 고속정 1척을 도입한 후 그 성능에 만족하지못해 애쉬빌급을 요구사항에 맞게 개량하여 전기형 3척, 후기형 5척, 도합 8척의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을 건조한다. 백구의 전기 후기의 차이점은 추진체계로서 백구51은 13,300마력의 GE7LM-1500 가스터빈과 커민스 디젤2기를 장착하는 CODOG(Combined Diesel Or Gas turbine) 방식으로 최대 40노트지만, 백구52~54는 아베코 라이커밍의 TF-05 가스터빈 엔진 6기로 16,800마력의 COGAG(Combined Gas turbine And Gas turbine)로 고속을 낼 수 있다. 참고로 이 최고속도까지 가속은 약 30초라고 한다. 만재배수량은 268톤으로 조금 증가했다.

전기형의 주요 무장은 AGM-78 스탠다드 암 미사일과 미국 해군용 Mk.34 76mm 함포다. 이외에 보조 무장으로 에머슨 30mm 쌍열포와 M2 중기관총 2정, 대함미사일 회피용으로 RBOC Mk.33 디코이와 Mk136 발사기를 장비했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jyj5858_127.jpg
형상이나 무기체계가 현재의 윤영하급 고속함을 떠올리게 한다.

후기형은 76mm 함포를 자동속사포인 오토멜라라 76mm 함포로 교체하고 대함미사일AGM-84 하푼으로 변경됐다. 당시 해군 복무한 예비역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에는 거의 지금 세종대왕급 모시듯 해군 최강 함정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3]


6. 애쉬빌급 고속정 목록[편집]



6.1. 미국[편집]


이름함번취역퇴역
USS AshevillePGM-846 August 196615 December 1976
USS GallupPGM-8522 October 19669 October 1984
USS AntelopePGM-864 November 19671 October 1977
USS ReadyPGM-876 January 19681 October 1977
USS CrockettPGM-8824 June 196715 December 1976
USS MarathonPGM-8911 May 196815 December 1976
USS CanonPGM-9026 July 19689 October 1984
USS TacomaPGM-9214 July 196912 April 1995
USS WelchPGM-938 September9 October 1984
USS ChehalisPGM-948 November 1969
USS DefiancePGM-9524 September 19696 August 1987
USS BeniciaPGM-9625 April 197030 August 1996
USS SurprisePGM-9717 October 19696 August 1987
USS Grand RapidsPGM-985 September 1970.
USS BeaconPGM-9921 November 19691 July 1975
USS DouglasPGM-1007 February 19711 October 1977
USS Green BayPG-1015 December 19691 July 1975


6.2. 그리스[편집]


이름함번인도/공여재취역
Tolmi (ΤΟΛΜΗ) (ex-Green Bay)30 October 198918 June 1991
Ormi (ΟΡΜΗ) (ex-Beacon)30 October 198918 June 1991


6.3. 콜럼비아[편집]


이름함번인도/공여사용국가의 재명명
USS TacomaPGM-9220 September 1995ARC Quita Sueño (P-111)
USS WelchPGM-9320 September 1995ARC Albuquerque (P-112)


6.4. 터키[편집]


이름함번인도/공여사용국가의 재명명기타
USS DefiancePGM-951973Yildirim (P-338)침몰 1985
USS SurprisePGM-971973Bora (P-339)


6.5. 대한민국[편집]


이름함번인도/공여사용국가의 재명명기타
USS BeniciaPGM-961973년백구(PGM 51/351/581)1998년 스크랩


6.5.1. 대한민국의 백구급 고속정 목록[편집]



함번건조사진수인수취역퇴역비고
PGM-51/351/581타코마 조선소1969년 12월 20일1971년 10월 15일1971년 10월 15일1996년 10월 31일미 해군에 반환
PGM-52/352/5821975년 3월 14일
PGM-53/353/5831976년 2월 1일
PGM-55/355/5851976년 2월 1일1997년 6월
PGM-56/356/586코리아 타코마1977년1998년 2월
PGM-57/357/5871977년
PGM-58/358/5881977년
PGM-59/359/5891977년
PGM-61/361/5911978년1998년 7월

7. 관련 항목[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S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SSM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범고래급
SSN362사업
항공모함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아스널쉽{합동화력함}
구축함DDG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호위함FFG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울산급
PF두만강급R
초계함PCC동해급R, 포항급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유도탄고속함PKG윤영하급
PGM백구/검독수리급R
PKMM기러기 121·122R
고속정PKM
PKMR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갈매기급R
상륙함LPH독도급
LST-II (LSD)천왕봉급
LST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R
시흥R
상륙정LSF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LSML
MLS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MSC
MHC
MHS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AOE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ARS
ATS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ASR청해진, {강화도}
훈련함ATH한산도
정보함AGS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ASL남양정·R, 다도해R
수리함ARL덕수R
수송함AKL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ATA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전투정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항만경비정(YUB/HP)
근무지원정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단정, 주정고속단정(RIP),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타기관 함정해양경찰청고속순시정, 고속방탄정, P-정, 해누리급, 해우리급, 태극급, 한강급, 제민급, 태평양급, 삼봉급
육군, 국과연육군경비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8:29:57에 나무위키 애쉬빌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SMM (Patrol Ship Multi-Mission)으로 불린다.[2] 철거 후 여러 종류의 미사일을 운용할 수도 있다.[3] 농담이 아니라 이 정도 화력이라면 지금 기준으로도 윤영하급과 동급 함정인데 당시엔 한국 해군의 주력 함정이 기어링급과 PCC였음을 생각하면 당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