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니싱: 미제사건

덤프버전 : (♥ 0)

배니싱: 미제사건 (2022)
Matin Calme[1], Vanishing
파일:영화_배니싱_미제사건_포스터.jpg
장르
범죄, 스릴러
감독
드니 데르쿠르[2]
관련 영화살인의 추억
추격자
각본
드니 데르쿠르, 마리옹 두소
원작
피터 메이의 1997년 소설 '킬링 룸'[3]
프로듀서
알렉시스 단테크, 남윤석
출연
촬영
악셀 코스네프로이
편집
발렌틴 페론
음악
루시 무살리
음향
자비에 드레이퍼스, 니콜라스 르프로이, 가두 나우딘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렌치 커넥션
수입사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제이앤씨미디어그룹
개봉일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21년 10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5월 13일
화면비
2.35:1
상영 시간
88분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스트리밍
상영 등급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평가
8. 흥행
8.2. 기타 국가
9. 기타



1. 개요[편집]


프랑스의 2022년 범죄ㆍ스릴러 영화. 감독은 드니 데르쿠르이며, 유연석, 올가 쿠릴렌코, 예지원, 최무성, 박소이 등이 출연하였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3.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신원 미상의 시체 발견!

대한민국이 발칵 뒤집혔다!

어느 날 심하게 훼손되어 신원을 알 수 없는 변사체가 발견되고

사건을 맡은 형사 `진호`(유연석)는 사체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해

국제 법의학자 `알리스`(올가 쿠릴렌코)를 찾아 자문을 구한다.

`알리스`는 최첨단 기술을 통해 사라진 흔적을 복원해내고,

`진호`는 단서를 통해 단순한 살인 사건이 아닌

장기밀매 조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직감한다.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기 위해 의기투합한 두 사람은

국제적인 범죄 조직의 정체와 마주하게 되고

충격적이고 처참한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게 되는데…

사라지는 건 모두 이유가 있다!

출처: 다음 영화



5. 등장인물[편집]


  • 유연석 - 박진호 역
  • 올가 쿠릴렌코 - 알리스 로네 역
  • 예지원 - 이미숙 역[4]
  • 최무성 - 전달책 역
  • 박소이 - 윤아 역
  • 이승준 - 닥터 리 역
  • 성지루 - 재영 역
  • 아누팜 트리파티 - 인도네시아인 전달책 역
  • 원미원 - 전달책의 어머니 역
  • 송지우 - 지아 역
  • 김우형 - 킬러 역
  • 김수하 - 중국여성 역
  • 길해연 - 윤아의 할머니 역
  • 김대현 - 백성현 역
  • 김명곤 - 조직의 두목 역
  • 엘루앙 카스텔레낙 - 알리스의 아들 역
  • 그레고리 가울레 - 해커 역
  • 잭 지우 헤이즐우드 - 헨리 역
  • 마리아 크리스티 단타스 - 헨리의 어머니 역
  • 마이클 리 - (특별출연)헨리의 아버지 역


6. 줄거리[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영화코드|
기자·평론가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평점 관람객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네티즌 평점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지수%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평점 / 5.0







페이지 터너로 주목받았던 감독이 한국에 와서 찍은 영화였으나 평은 처참하다. 스릴없는 스릴러 영화로 빈틈도 많고 기대하다간 실망만 클 영화이다. 한국을 배경으로 한국 홍보같은 것도 많이 나오지만 한국 흥행이 차디찬 것도 영화 자첸 저말 재미로 내세울 게 부족하기 때문.

게다가 원작은 중국 배경이었는데 한국으로 옮기면서 발생한 설정 붕괴가 심각한데다 딱히 개성도 없어서 몰입에 방해된다는 평이 많았다.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중국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8.2.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1] '고요한 아침'이라는 뜻이다. 이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는 한국을 은유하는 제목. 이 영화의 초기 제목이기도 했다.[2] '페이지 터너' 등을 연출한 감독이다.[3] 원작에서의 배경은 중국이나, 이 영화에서는 한국으로 배경이 바뀌었다.[4] 이미숙은 극중에서 알리스의 프랑스어 개인 통역사인데, 실제 이 역을 맡은 예지원은 평소 프랑스에 관심이 많고 프랑스어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 20XX/XX/XX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