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치간

덤프버전 : r20210301 (♥ 0)


파일:박치간.jpg
출생1886년 4월 14일
황해도 안악군 은홍면 학산리
사망1966년 4월 4일
서울특별시
묘소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상훈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박치간은 1886년 4월 14일 황해도 안악군 은홍면 학산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선명학교(善明學校) 교장으로 재직하던 1919년 3월 1일 경성에서 정계로, 유용원(柳龍源)과 함께 탑골공원에서 거행된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 이후 귀향하여 김광은], 박승도 등과 만나 온정리 장날인 3월 11일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그들은 매일 밤 학산리에 소재한 유용원의 집에 모여서 태극기를 만들고 독립선언문을 등사하며, 은홍·대행(大杏)·서하(西河) 면내의 각 교회에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도록 연락하였다. 3월 11일 오전 11시 온정리 교회내의 이정엽(李正燁)의 집에 수백명의 시위군중이 모이자, 박치간는 이들 앞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함으로써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들고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기를 앞세워 시가행진을 하였다.

이때 일본 헌병이 출동하여 시위군중에게 무차별 발포를 가해 많은 사상자가 발행하였다. 그후 일제의 대대적인 검속 때 그도 체포되었으며, 1919년 9월 11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후 안악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8.15 광복 후 북한의 급속한 공산화를 피해 서울로 월남했고, 1966년 4월 4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박치간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5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