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현(축구)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대구 FC/박창현호

1 최영은 · 2 황재원 · 3 안창민 · 5 장성원 · 6 홍정운 · 7 김진혁 · 9 에드가 · 11 세징야
C
· 13 벨톨라 · 14 박세진
15 이원우 · 16 전용준 · 17 고재현 · 18 케이타 · 19 김영준 · 20 김강산 · 21 오승훈
VC
· 25 서도협
27 김동현 · 28 최민기 · 29 박재현 · 30 박용희 · 31 한태희 · 33 홍철 · 34 손승우 · 35 윤태민 · 36 김희승
37 이종훈 · 38 배수민 · 39 박재경 · 40 신한결 · 42 정윤서 · 43 유지운 · 44 김리관 · 51 한지율 · 74 이용래
88 이준희 · 99 바셀루스 · # 권광덕 · # 박상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원권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철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용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종현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박창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DB530F><height=80><width=25%>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윤정환
파일:윤정환 강원fc.png
||<width=25%><bgcolor=#ffd24f>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이정효
파일:player_19980384.png
||<width=25%><bgcolor=#b81c22>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정정용
파일:김천정정용.png
||<width=25%><bgcolor=#59b8f6>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최원권
파일:player_20000118.png ||
||<bgcolor=#007e6e>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이민성
파일:player_19970178.png ||<bgcolor=#b5191a> 파일:FC서울 엠블럼(적색배경).svg
서울
김기동
파일:player_19970114.png ||<bgcolor=#093968> 파일:수원 FC 로고.svg
수원
김은중 ||<bgcolor=#004290><color=#ffffff> 파일:울산 HD FC 엠블럼(4성).svg
울산
홍명보
파일:player_19970096.png ||
||<bgcolor=#2e57a6>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조성환
파일:2022조성환.png ||<colbgcolor=#034f36><color=#373a3c>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단 페트레스쿠
파일:headcoach.c5835459.png ||<bgcolor=#F58125>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김학범
파일:학범슨누끼.png ||<bgcolor=#ad181d>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박태하
파일:박태하감독프로필.png ||
||<-2><bgcolor=#eb49a3> ● WK리그 구단별 감독 ||<-2><bgcolor=#0068ac> K리그2 구단별 감독 ▶ ||
||<-4><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리그1파일:중국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일본 국기.svg J1리그 ||
||<-4>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박창현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대행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14대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김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5)
최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7)
이흥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박경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박창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
6대7대8대9대10대
유동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
홍명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공문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안익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박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2000)
11대12대13대14대15대
하석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김병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16대17대18대19대20대
황재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김형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신형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황지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7)
김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21대22대23대24대25대
배슬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최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오범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신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김승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박창현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대구 FC 감독
Daegu FC
이름박창현
朴昶鉉 | Park Chang-hyun
출생1966년 6월 8일 (58세)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직업축구 선수 (공격수 / 은퇴)
축구 감독
소속선수포항제철 아톰즈 (1989~1994)
전남 드래곤즈 (1995)
감독청구고등학교 (1997~1999)
전북 현대 모터스 (2000~2006 / 코치)
한양대학교 (2007)
포항 스틸러스 (2008~2010 / 코치)
포항 스틸러스 (2010 / 감독 대행)
정명고등학교 (2011~2012)
양천 FC (2013~2016)
홍익대학교 (2017~2024)
대구 FC (2024~ )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학력청구중학교 (졸업)
청구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언론학[1] / 석사)[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3.1.1. 코치
3.1.2. 감독 대행
3.3. 서울 양천FC U-18 감독&단장
3.5. 대구 FC 감독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축구 선수 출신 감독. 現 대구 FC 감독.


2. 선수 경력[편집]


1989년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당시에는) 고향 연고 구단인 포항제철 축구단(現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했다.

포항이 3번째로 우승했던 1992년과 1993년에는 K리그 베스트 11, 감투상을 차지할 정도로 공격수로 상당한 능력을 발휘했다. 특히 1992년에는 주장으로서 우승을 이끌었다. MVP를 차지했던 홍명보는 "신인상은 내가 타고 MVP는 박창현 선배가 탔으면 좋겠다"라고 했으나 MVP는 본인, 신인상은 신태용에게 돌아갔다.

사실 포항의 공격수 번호 18번은 황선홍이 달기 전에는 박창현의 등번호였다. 하지만 올드 팬들이 아니면 대부분 홍명보, 황선홍, 라데까지만 기억하고, 박창현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엄연히 위의 3명과 같이 포항을 이끌던 주전 공격수였으며, 지금도 포항 팬 중에서는 그의 활약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워낙 세 명이 K리그 레전드에 넘사벽인 데다, 국대에서 활약이 없어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현역 시절에는 리그에서 꽤 날리던 공격수였으며, 1992년부터 1994년까지 포항에서 뛰다가 1995년 같은 모기업에서 새롭게 창단한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여 8경기를 뛴 후 선수 생활을 마쳤다.

나름 포항 기준으로 봤을 때는 성골이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한 이후 1997~1999년 청구고등학교 축구부 감독, 2000~2006년 한양대학교 축구부 코치, 2007년 한양대학교 축구부 감독 등 모교를 차례로 거쳤다.


3.1. 포항 스틸러스[편집]



3.1.1. 코치[편집]


2008년 1월 친정 팀 포항 스틸러스의 코치로 발탁되었다.

세르지오 파리아스 전임 감독을 보좌할 당시에는 선수단과 파리아스 감독 사이의 훌륭한 중재자로서 활약했는데, 파리아스 감독이 유망주 육성을 잘했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사실 그 절반은 박창현과 당시 2군 코치였던 최문식 코치의 몫이기도 하다.

파리아스 감독의 경우 겉보기에는 과감하기 신인을 기용하는 듯했지만, 사실 본인이 확실하게 믿음이 가지 않는 경우에는 벤치에 두기만 해서 박창현, 최문식 코치가 파리아스 감독에게 몇몇 선수를 추천하고 추천하고 또 추천하여 2009년의 잠재력을 터뜨렸다고 한다.


3.1.2. 감독 대행[편집]


파일:external/www.steelers.co.kr/SK001_20100512_160401.jpg
포항 스틸러스 감독 대행 시절

세르지오 파리아스 감독이 떠나고, 2010년 부임한 상반기 와우데마르 레무스 감독이 희대의 삽질로 경질된 이후 임시 대행 체제로 포항 스틸러스를 맡아 감독 경질 3일 후에 벌어진 AFC 챔피언스 리그 16강 전임 감독 형님과의 더비(가시마 앤틀러스전)에선 어수선한 선수단 분위기를 잘 추스려 원정에서 1:0 승리를 이끌어냈다. 그리고 인터뷰에서는 "전임 감독이 하던 대로 했을 뿐이다."라고 말했는데 알 만한 사람은 그 전임 감독이 누군지 다 알고 있다. 이래저래 또 다른 전임 감독지못미.

본인은 다른 감독이 올 때까지만이라고 생각한 듯했으나, 가시마와 16강에서 선전과 당장 리그 중반에 데려올 감독이 마땅히 없다는 점에서, 그리고 다시 데려올 수 있게 된 감독은 포항 입장에서 너무 괘씸해서 포항 구단 사장은 2010 시즌은 박창현 코치 대행 체제로 가겠다고 못을 박아 버렸다. 나름대로 파리아스 감독을 보좌하며 쌓아 놓은 공적이 있으니 성남 일화 천마신태용 감독처럼 2010 시즌 성적에 따라 정식 감독으로 승격될 가능성이 거론되었다.

나름대로 포항 출신이고 성골 중 한 명인 허정무와 국대 코치였던 박태하도 포항의 레전드라는 걸 생각하면 월드컵 대표팀이 해산한 이후 대표팀 코치진과 감독의 행선지는 십중팔구 포항으로 예상되었으나 결국 이 분께서는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자리를 옮기고, 박태하 코치는 계속 대표팀에 남으면서, 포항의 새 코칭스태프 인선에서 벗어났다.

2010년 10월 부산 아이파크를 이끌고 있던 황선홍 감독이 FA컵 결승에서 ACL 진출권 확보에 실패, 부산과의 재계약이 사실상 불발되면서 포항으로 감독이 올거라는 설이 퍼지고 있었다.

박창현 감독 대행 본인도 아직 감독으로서 역량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지 구단이 감독 교체를 원하면 순순히 물러나겠다고 인터뷰에서 밝혔으나 이 인터뷰 이후 이 다음 경기에서는 "신임 감독 내정설 때문에 팀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어차피 나는 감독 그만둘 사람 아니냐"라면서 구단을 디스해 버렸다. 이 때문에 포항 스틸러스 공식 웹사이트 게시판에서도 박창현 감독을 연임해야 한다, 새 감독을 데려와야 한다 등으로 꽤나 씨끌한 상황이지만 사실상 대다수 팬의 여론은 신임 감독 취임에 무게를 두었고 결국 황선홍 감독이 선임되면서 자연스레 대행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물러나던 날 구단 홈페이지에 작별 인사를 올렸는데 포항 팬들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어찌됐든 팀의 레전드인 데다가 막장까지 떨어진 팀을 이끌어서 9위까지 올려놓았기 때문. 비록 포항에선 보기 힘들어졌으나 다른 팀으로 가서도 그 명성을 이어나갔으면 하는 게 포항 팬들의 바람이다.


3.2. 정명고등학교 감독[편집]


포항을 떠난 이후 정명고등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부임 2년 차인 2012년에 백운기 준우승을 이끌고도 학교 재단(계림학원) 측의 횡포로 연말에 축구부가 해체됐다.[1]


3.3. 서울 양천FC U-18 감독&단장[편집]


2012년 말 제자들을 데리고 서울에서 양천 FC U-18를 창단하고서 감독을 맡았다.

2017년 홍익대로 부임한 뒤에는 양천FC의 단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3.4. 홍익대학교 감독[편집]


2017년, 김종건의 후임으로 홍익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해 2019년 권역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으며, 이동경, 황재원 등을 키워 내기도 했다.

2022년 10월 성남 FC 감독직 부임설이 났지만, 성남이 이기형을 감독으로 임명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2023년 26년 만에 추계 4강에 올리는 등 U리그에서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3.5. 대구 FC 감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FC/박창현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박창현 대구FC 오피셜.jpg
2024년 4월, 최원권 감독과 결별한 대구 FC의 차기 감독으로 정해졌다는 단독 기사가 나왔다.#

2024년 4월 23일 고향 구단 대구의 14대 감독으로 선임되며 지도자 데뷔 27년 만에 프로 구단 감독으로 데뷔했다. 또한 포항 감독 대행 이후 14년 만에 K리그에 돌아왔다.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6:52:17에 나무위키 박창현(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명고등학교 축구부의 해체 이후 부천시 관내 고등학교 축구부는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축구부밖에 남지 않았고, 그마저도 2014년 학교측 체육 담당자와 학부모들의 횡포로 해체되어 부천시 관내 고교 축구부가 전부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했고 유소년 인프라가 붕괴되기에 이른다. (...) 틀렸어 이제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